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黃聖子-
dc.creator黃聖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78-
dc.description.abstractThe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in Christianity deals with the responsibility that a church should take in a political realm. Today, in a Korean Church the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is important because a Korean Church is split in a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of a church. The recognition of a Korean church about a political power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heologycal tradition on violence of Western Christianity. Because in Western history only a state power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an agency to use violence,the problem of a political power have been discussed in the classical Tradition of Christianity about violence. The basis, purpose ,and limitation of a political power are a compulsory power for the preservation and control of a public order that was considered as legitimacy and limitation about the use of un authorized violence. From an early Christianity to the Reformation period, three Traditions, that is, Pacifism, the Just War, the Crusade gained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The Tradition of Pacifism refused a political power passively, retreated in a political province , and as a result,evaded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a church. The Tradition of the Just War approved a political power,but did not make an alternative plan about criticism and confrontation with decay and dictatorship of a political power. The Crusade came into power,and a church intended to rule over the world.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a chruch became corrupt. A Korean chruch was influenced by the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in a classical Christian tradition. Becaus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a Korean chruch remained in the theological tradition of the West, a church did not exceed the limit of a classical Christianity tradition. But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in Korea,When Christinity have the intention of a political reform, a Korean chruch got near the understanding of a new political power. The reforming Christian movement that was accumulated on historical experience as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produced the theological bases to be conscious of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a church. In historical experience of a church without being fettered by theological tradition of the past, a Korean church has to accept the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that a modern society reqests. Based on the concept that Sovereignty rests with the people, pluralistic modern society refuses dectatorship. A Korean church in the distinctive quality of a moder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 at a critical movement of a nuclear war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a new political power. Therefore, as a basis for an understanding of a new political power, chapter 4 proposes Ethics of Responsible Society of Walter G. Muelder. Ethics of Responsible Society in a viewpoint of Christianity illuminates realistic problems in political realm and makes a chruch understand a political power critically and to take part in a society positively to realize the values in a responsible society. And Pacifism of Muelder makes a Korean church at a crisis of a nuclear war pursue an ultimate peace positively.;기독교의 정치 권력에 대한 이해는 정치적 장에서 교회가 감당해야 할 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오늘날 한국 교회의 정치 권력에 대한 이해가 중요시되는 것은, 교회의 정치적 참여와 책임의 문제에 있어서 한국 교회의 분열 양상이 표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 권력에 관한 한국 교회의 인식은 서구 기독교의 신학적 전통의 깊은 영향을 받아 왔다. 서구 역사에서 오랫동안 일반적으로 국가권력만이 유일하게 폭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법적으로 권한을 부여받은 기관으로 여겨져왔기 때문에, 정치 권력의 문제는 폭력에 관한 기독교의 고전적인 전통 가운데서 논의되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정치 권력의 기초와 목적 및 한계는 사회 질서 유지와 통제를 위한 강제적 힘 곧 공인된 폭력의 사용에 관한 합법성과 한계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초기의 기독교로부터 종교 개혁기에 이르기까지 폭력에 관한 평화주의, 의로운 전쟁론, 성전론의 세 가지 전통은 정치 권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낳게 하였다. 평화주의 전통은 정치 권력을 소극적으로 외면함으로써 정치적 영역에서 후퇴하여 교회의 정치적, 역사적 책임을 회피했고, 의로운 전쟁론의 전통은 정권을 승인하지만 정치 권력의 부패와 독재화에 대한 비판과 교회적 대응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성전론은 정치 권력화된 교회의 뒤틀린 변혁 의지에 의한 부패를 드러냈다. 이러한 고전적인 기독교 전통에서의 정치 권력의 이해는 한국 교회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 교회사를 통해 살펴볼 때 한국 교회가 서구의 신학적 전통의 입장에 머물러 있을 때, 교회는 고전적인 기독교 전통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한국적인 상황에 기초하여 기독교가 정치적 변혁의 의지를 가졌을 때 한국 교회는 새로운 정치 권력에 대한 이해로 접근해 가게 되었다. 특히 3.1 운동이라는 평화로운 정치 참여적 역사의 경험에서 누적되어 온 정치 변혁적인 기독교 운동은 교회의 정치적, 역사적 책임을 자각하는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러한 교회사적 경험 위에서 한국 교회는 과거의 신학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그 전통의 긍정적인 요소들을 기초로하여 각 장점들을 기초로하여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정치 권력의 이해를 받아들여야 한다.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는 국민주권론에 기초하여 독재화된 권력을 거부한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특징과, 핵전쟁의 위기에 있는 한반도의 현실은 한국교회의 새로운 정치 권력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새로운 정치 권력 이해를 위한 신학적 기초로서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 뮬더의 책임 사회 이론을 제시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 뮬더의 책임 사회 이론을 소개한다. 책임 사회 윤리는 오늘날 정치적 장에서의 현실적 문제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해 줌으로써, 한국교회로 하여금 정치권력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예언자적 기능을 다하고, 책임사회의 실현을 위해 교회가 적극 참여할 것을 고무한다. 그리고 뮬더의 평화주의에 기초하여 핵전쟁의 위기에 처한 한반도의 상황에서 한국교회로 하여금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궁극적 평화를 추구하도록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방법 = 2 Ⅱ. 정치 권력에 대한 기독교 전통 = 4 A.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평화주의적 전통 = 5 B. 의로운 전쟁론의 전통 = 8 1. 어거스틴의 두 도성론 = 8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주의 = 12 3. 루터의 두 왕국설 = 13 4. 칼빈의 신정론 = 17 C. 성전론적 전통 = 20 Ⅲ. 정치 권력에 대한 한국 교회의 신학적 입장 = 22 A. 평화주의적 기독교 = 22 1. 선교 초기의 천주교 = 22 2. 일제하의 개신교 = 25 B. 의로운 전쟁론의 전통 = 30 1. 이승만 정권과 타협적 기독교 = 30 2. 70년대 이후의 보수주의 교회 = 34 C. 정치 변혁적 기독교 = 37 D. 정치 권력에 대한 서구 기독교 전통과 한국 신학에 관한 평가 = 41 1. 서구의 신학적 전통에 대한 평가 = 41 2. 한국 교회의 정치 권력에 대한 이해 평가 = 44 3. 한국 교회에 요구되는 정치 권력 이해 = 47 Ⅳ. 뮬더의 책임 사회 윤리에 기초한 정치 권력 이해 = 50 A. 책임 사회 이론 = 51 1. 책임 사회의 정의 = 51 2. 책임 사회 규범으로서의 도덕법 = 53 B. 책임 사회에서의 기독교와 정치 권력 = 56 1. 책임 사회에서의 정치 권력 이해 = 56 2. 책임 사회가 추구하는 민주주의 제도와 가치 = 59 1) 정치 체제로서의 민주주의 = 59 2) 책임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 = 60 C. 뮬더의 평화주의 = 62 D. 책임 사회 윤리에 근거한 한국 교회의 정치적 책임 = 65 Ⅴ. 결론 = 69 참고문헌 = 72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874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교회-
dc.subject정치권력-
dc.subjectKorean Church-
dc.title한국 교회의 정치 권력에 관한 비판적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a Political Power of a Korean Church-
dc.format.pagev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