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기업조직의 유연화 과정과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기업조직의 유연화 과정과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FLEXIBILITY ON ORGANIZATION IN 'O'ADVERTISING AGENCY
Authors
민현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기업조직유연화 과정효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기업들은 최근에 기업의 경영합리화전략, 유연화 전략 도입의 일환으로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전문직에 도입된 능력주의 관리체계는 '전문성 강화', '경쟁력 강화'라는 취지로 전문성에 대한 의식강화와 교육훈련강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이용의 극대화를 피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다. 본 논문은 유연화 전략과 조직문화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유연화 전략이 조직문화를 어떻게 이용하고 또 변형시키는가, 그리고 그것이 결과적으로 어떻게 새로운 통제기제로 이용되는가를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최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부상하고 있는 광고대행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전문직문화의 내용과 유연화 전략의 도입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유연화 전략을 도입한 ○광고대행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사원들과 경영진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보조연구로 사내자료 등에 대한 문헌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질적 방법을 통한 가설검증 과정을 거쳐 유연화 전략과 조직문화의 관계성과 유연화 전략의 두 갈래 진행방향을 밝혀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연화 전략의 도입은 기업내 신전문직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그 정당성이 강화되었다. 전문가의식, 일중심주의, 친밀한 사원간의 관계형성은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체계 도입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로인해 기업의 조직구조가 변형되었다. 둘째, 신전문직 문화라는 이데올로기는 새로운 노동통제 전략에 중요한 변수가 되다. 사원들은 자발적인 훈련량의 증대와 자율적 통제를 통해 노동량과 노동시간의 중대경향을 나타냈으며, 조직의 통제기제는 관료적 통제로부터 유연적 통제기제로 변화되었다. 셋째, 유연화 전략은 노동과정의 개별화와 원자화, 경쟁의 격화, 대응력 약화등의 노동통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신전문직으로 구성된 조직원들은 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면서 일종의 일상적 저항을 포함한 독특한 조직문화를 창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경영측이 주도하는 경영전략의 변화와 구성원들의 문화간의 역동적 관계를 볼 수 있었으며, 둘째는 기존의 유연화 논의에서는 유연화 전략에 따른 조직의 유연화 방향에 대한 논의에만 촛점이 맞추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연화 전략에 의해 공식적 조직구조의 유연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조직내부 성원들의 관계는 경쟁의 심화와 개별화로 경직화된다는 이중적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첫째, 개별기업의 사례연구이므로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점, 둘째, 신전문직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사원들의 의식배경이 되고 있는 사원들의 사회경제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연화전략을 기업 및 외부환경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분석과 연결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Recently the enterprises that introduce new management strategies are increasing. Amomg others a rational merit system combined with some flexibility measures is introdeced to maximize labor efficiency and labor productivity. This system accompanies training programs on the job, in case of professionals, for the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consequently the spirit of the competition among the employees is created or reinforced.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strategies of flexibility take advantage of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 advertising agency which adopted the strategies of flexibility was the case of this study. New professionalism was regarded as the organizational cultural character of this case.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new professionalism was elaborated through which the introduction of managerial flexibility was partially explain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2 employees including 2 managers and were supplemented by various publications of the compan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HOW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flexibility affect the organizatioanl culture and is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wo hypothesis are set up to be verified by qualitatative data: One was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fm is an independent as well as a dependent variable. In other word the new management strategies and 'New Professional culture are the products of the previous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other hypthesis was that the effect of a new managerial strategy are not unidirectimal, so that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organizational flexibility would in effect increase flexibility as intended in same respects, but at the same time regidity other organizational aspe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strategies of flexibility was influenced and its legitimacy was strengthened by new professional culture that was inculcated within the firm by the characteristic of its own production and the personal. Strong professional conscionsness, job-centrism, and intimate relationship among employees acted as a background of the new management trategy and in turn transformed by it. Second, the ideology of the new professional culture was a critical variable in new labor control. Labor intensity was increased, and the working hours increased through intensive "voluntary" job-training and self-control. In this way bureaucratic labor control was transformed into another type of labor control with flexibility. Third, the strategies of flexibility resulted in individualiz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 workers, the strengthened competition among the employees, and the weakning of the workers' power to cope with the management. This study tried to shift the view of the change of management strategies from the effiency-centered discussion and from the arguments lead by stak-capital relations to the practical organizatioanl culture includung employees' daily protests, manif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mechanism of labor control. This study, however, has its limitations: first, the findings are hard to generalize for it was based on a case study; second, it overlooks employees' social-economic background which could have influenced on employees' consciousness and behaviors and third, the intrcduction of the flexibility strategy was not discussed in the under context at the structura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