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윤정-
dc.creator유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3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59-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variables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ADHD+CD/ODD) or without (ADHD) externalizing symptoms. The subjects in this research were 86 boys and girls (aged range 6 to 14 years) consisted of 20 ADHD, 22 comorbid ADHD (ADHD+CD/ODD) and 44 normal control group (NC). We have collected data on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which was normalized by KyungJa Oh and Helen Lee (1988) i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roblem patterns and severities of children. The psychosocial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es are determined by the survey of previous research. The following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re selected for analyses :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level, life stress event, and the rat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relatives. The indexes of family adversity above are obtained from hospital chart records and interviews with mother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mothers to extract marital discord,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are as follows : (1) Marital Adjustment Scale (MAS) devised by Spanier (1976) and translated by SungJa Shin (1981) ; (2) Parenting Stress Index (PSI) devised by Abidin (1990) ; (3)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MBRI) developed by Schaefer and translated by WonYoung Lee (1983). The data a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rosstabs,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BCL Profiles yeild distict patterns and severities of problem behaviors among ADHD, ADHD+CD/ODD and NC group. Two clinic groups are deviant on hyperactivity scale. ADHD+CD/ODD which has scored the highest on aggressive and delinquent scale regarded as externalizing problem is significantly higher on externalizing problem than ADHD or normal control group, wherea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DHD and ADHD+CD/ODD on internalizing problems. 2. ADHD+CD/ODD group is supposed to have higher level of family adversity suggested by the lower SES, lower parental educational level, higher life stress events, and more psychiatric disorders in relatives compared with ADHD or normal control group. 3. In M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an affective ADHD+CD/ODD group has significantly the lowest score on each factor expression. of the measure of marital adjustment. 4. Parents of ADHD+CD/ODD are much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parenting stress when compared with the parents of ADHD, and parents of AHDH are much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parenting stress when compared with the parents of normal control group. 5. In parenting attitude percieved by Parents themselves, mothers of clinic groups have more hatred, negative attitude. Especially, mothers of ADHD+CD/ODD have the lowest tendency in the mean score on affective, accepted attitude. In an inapropriate parenting attitude percieved by children, compared with parents of normal control group, parents of clinic groups are supposed to have more negative, governed, and contradictory attitude. Especially, fathers of ADHD+CD/ODD have the most negative, contradictory attitude and mothers of ADHD+CD/ODD have the most restrictive, negative, and contradictory attitude. 6. A close association is found between child problem behavior and each of psychosocial variables.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to influence on the aggressive behavior of a child : (1) life stress event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 (2) dyadic consensus ; (3) child domain stress ; (4) hatred and negative attitude perceived by parents ; (5) father's passive negative and interference attitude perceived by children. The two ADHD groups (ADHD & ADHD+CD/ODD) resemble each other, but the comorbid ADHD brings greater social disability and more adverse family environment including family background, marital adjustment,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hild's influence on parents. In additions, parents' influence on children is assumed by the result of a close association between child problems and psychosocial variables above.;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 중에서 품행장애나 반항성장애와 같은 외면성 증후와 병발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와 그렇지 않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 간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 학력, 생활스트레스 사건, 친인척의 정신병력 등의 가족 배경과 부모의 결혼 만족도, 양육자 스트레스, 어머니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등의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차이를 가정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6세에서 만 14세의 남녀 아동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20명과 품행장애나 반항성 장애와 병발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22명과 정상 통제집단 아동 44명이었다. 각 아동들과 아동의 어머니들에게 본 연구와 관련된 평가 도구를 배부,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들의 '문제행동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오경자와 이혜련(1988)이 번안하여 표준화한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을 사용하였다. '가족 배경의 열악함'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선정된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학력수준, 생활스트레스 사건, 친인척의 정신병력 유무를 진단 챠트와 면담 그리고 지면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부모의 결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paniel(1976)의 MAS (Marital Adjustment Scale)를 신성자 (1981)가 번안,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양육자 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PSI (Parenting Stress Index)를 이화여대 언어청각센터(1995)에서 번안하여 예비 표준화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aefer의 MBRI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1959)를 이원영 (1983)이 수정,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기선 (1990)이 표준화한 '어버이와 자녀 관계진단검사 : 자녀용'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임상 집단은 과잉활동 척도에서 통제집단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제 집단과 비교할 때 외면성 척도로 간주되는 비행과 공격성 척도에서 ABHD+CD/ODD집단은 ADHD집단 보다 더 강하게 이탈된 점수를 보인 반면에, 일반적으로 내면성 척도로 간주되는 우울, 신체화, 정서불안, 위축 척도에서는 통제집단 보다 임상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ADHD 와 ADHD+CD/ODD 간에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2.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학력수준, 생활스트레스 사건, 친인척의 정신병력 등의 가족 배경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 집단의 상대적인 빈도 비율을 살펴볼 때 임상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열악한 수준의 가족 배경을 갖고 있으며, ADHD+CD/ODD집단이 가장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학력, 가장 많은 수의 생활스트레스 사건과 친인척의 정신병력으로 설명되는 더 열악한 수준의 가족배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 결혼 적응에서 임상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는 뚜렷하였으며, 특히 '애정표현도'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애정표현도, 일치도, 결합도에서 통제 집단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ADHD+CD/ODD집단이 더 강하게 이탈되었으며, ADHD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4. 양육자 스트레스에서 ADHD+CD/ODD집단이 ADHD집단 보다, ADHD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5. 부모가 지각한 양육태도에서 임상집단의 어머니들은 통제집단에 비교했을 때 더 증오적이고 거부적이며, 의존성을 조장하는 양육 태도를 더 많이 갖고 있었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태도에서는 통제집단에 비교할 때 임상집단의 부모는 아동에게 더 거부적이며, 지배적이고, 모순적인 양육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특히 ADHD+CD/ODD집단의 아버지가 가장 거부적이고, 모순적인 양육 태도를 갖고 있으며, ADHD+CD/ODD집단의 어머니가 가장 엄격하고, 거부적이고, 모순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6. 이상의 연구의 결과로 아동의 문제행동이 부모의 결혼 만족, 스트레스,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심리사회적 변인들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상관이 높은 결과는 불리한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아동의 문제 행동의 심각성 정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아동정신병리 증상에 관한 분류 = 5 B.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 7 C. 병발 장애 (Comorbidity Disorder) = 8 D. 아동 정신장애와 심리 사회적 요인 = 12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측정 도구 = 19 C. 조사 절차 = 24 D. 자료 처리 = 25 Ⅳ. 결과 및 해석 = 26 A. ADHD, ADHD+CD/ODD, 통제집단 간의 문제행동 양상 비교 = 26 B. ADHD, ADHD+CD/ODD, 통제집단의 가족배경 비교 = 29 C. ADHD, ADHD+CD/ODD, 통제집단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 비교 = 31 D. ADHD, ADHD+CD/ODD, 통제집단의 양육자 스트레스 비교 = 33 E. ADHD, ADHD+CD/ODD, 통제집단 간의 부모 양육태도 비교 = 35 F. ADHD, ADHD+CD/ODD, 통제집단과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력 비교 = 39 Ⅴ. 논의 및 결론 = 42 참고문헌 = 49 부록 = 57 Abstract = 63 감사의 글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94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의력결핍과잉행동아-
dc.subject외면성증후병발-
dc.subject심리사회적 변인-
dc.title주의력결핍과잉행동아와 외면성증후병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아 간의 심리사회적 변인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sychoso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ADHD with and without Extenalizing Symptom-
dc.format.pageviii,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