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尙明-
dc.creator李尙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3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254-
dc.description.abstractBeginning with the Ball & Brown(1968), many positive accounting research has presented various evidences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accounting information and stock prices. But they have neglected the study stock valuation by using accounting inforamtion. The main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that, as the perspective toward accounting information shifted from measurement to information perspective around the time of Ball & Brown, accounting research has had less interest in stock valuation by using accounting information. Whereas, in traditional perspective, accounting research has been focuced on measurement perspective, in which accounting number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stock prices, more than informations perspective. In measurement perspective, it was suggested that book value and accounting earnings is available to determine stock prices by Ohlson(1991). However, under serious inflation,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gap between book value and market value. This gap cause not only problems about principles of matching costs with revenues but also limitation of proper evaluation stock prices by keeping a book without cosdideration of monetary value that was acquired at different point. To improve limitation of this gap, asset revaluation has been implementing in Korea. After asset revaluation, variance in asset revaluation is kept as a asset revaluation reserve. Therefore this will recover gap between book value and market valu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sset revaluation can explain stock price more clearly by improving book value and accounting earnings. A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evaluating the value-relevance of the asset revaluation reserve is to consider associations between raw returns and accounting earning, asset revaluation reserve. It is tested whether independent variable; book value, accouning earning, asset revaluation reserve and the net increment to asset revaluation reserv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endent value; stack prices. And accounting earnings variable, the net increment to asset revaluation reserve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aw returns. A total of 76 firms which revaluated their asset between 1991-1995 are selected as sample firms. The main research method is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 ①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s and asset revaluation reserv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s and the net increment to asset revaluation reserv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idea of results ①,② is that asset revaluation improves book value and accounting earnings. ③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raw return or total raw return and the net increment to asset revaluation reserve was not significant. ④ In additional test, in control firm, coefficient of book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experiment firm, but coefficient of cordinary earnings per share was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al firm. For proper evaluation of firm value, firm will be motivated to revaluate asset. And asset revaluation is expected to inform lenders and investors of finance state of firm.;Ball & Brown(1968) 이후 회계연구는 회계정보와 주가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정보적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반면에 전통적 회계방법인 가치측정적 관점은 회계수치와 주가를 직접 연결하여 주가평가에 유용한 회계수치를 발견하고자 하는 회계의 본질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로 최근 Ohlson에 의해 체계화 되었다. Ohlson은 가치측정적 관점에서 주가평가에 유용한 회계수치로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장부가치는 회계의 보수주의에 근거하여 취득원가로 기록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실제 시장가치와는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인플레이션에 심각한 나라에서는 장부가치와 시장가치의 차이가 더 크게 발생하므로 장부가치는 주가평가에 제대로 기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장부가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산재평가제도를 들 수 있다. 자산재평가는 자산을 현재 시점의 시장가치로 다시 평가하며 이때 발생한 자산재평가 차액은 장부 가치의 재평가적립금으로 계상된다. 따라서 자산재평가는 장부가치가 시장 가치에 근접하도록 개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장부가치가 자산재평가를 통하여 시장가치로 개선됨으로써 실제로 주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가치측정적 관점에서 제시된 주가평가와 주식수익률을 이용하여 자산재평가가 유용한 회계정보인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1991년에서 1995년 기간동안 자산재평가 결정공시를 한 76개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와 자산재평가적립금간에는 1%수준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설명력도 67%로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산재평가를 통하여 장부가치는 시장가치로 개선됨과 동시에 개선된 장부가치를 이용하여 주가를 평가하는 것이 의미있음을 제시한다. 둘째, 주가와 자산재평가적립금 순증분간에는 1%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자산재평가적립금 순증분은 회계이익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인 미래기대수익에 대한 오차를 줄이므로 회계이익을 이용한 주가평가시에도 유용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stepwise를 실시한 결과, 장부가치, 자산재평가적립금(또는 적립금순 증분), 경상이익 순으로 설명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산재평가적립금이 경상이익보다 주가에 대한 기여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세째, 연간주식수익률과 자산재평가적립금 순증분간에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것은 단기 측정기간에는 회계측정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를 충분히 통제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네째, 3년으로 확장된 주식수익률과 자산재평가적립금 순증분간에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첫째, 표본 수의 부족과 둘째, 자산재평가는 공시시점이나 결정시점에서 미래수익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주식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다른 정보에 의해 자산재평가정보가 희석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다섯째, 실험기업과 통제기업간에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의 회귀계수, 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통제기업의 경우 장부가치의 회귀계수는 실험기업보다 높았으나, 주당경상이익에 대한 회귀계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산재평가 실시여부나 경과정도에 따라 주가평가시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의 가중치가 다름을 나타낸다. 또 설명력에 있어서는 실험기업이 높게 나타나 자산재평가가 주가평가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치측정적 관점에서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을 사용하여 주가를 평가하고자 할 때 자산재평가가 기여하고 있음을 실증검증을 통하여 밝혀냈다. 따라서 올바른 기업가치를 평가받고자 하는 기업에게는 자산재평가가 동기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채권자나 투자자에게는 자산재평가가 기업의 현상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범위와 방법 = 4 C. 논문의 구성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산재평가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6 1. 자산재평가제도 및 목적 = 6 2. 자산재평가절차 = 8 3. 자산재평가제도의 변천과정 = 8 4. 자산재평가의 현황 = 10 B. 자산재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 13 1. 자산재평가의 정보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 13 2. 자산재평가의 동기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18 C. 실증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 = 24 1. 주가평가와 주식수익률에 대한 고찰 = 24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 36 A. 연구가설 = 36 B. 연구모형 = 41 1. 가설 1과 가설 2의 희귀식 도출 = 41 2. 가설 3과 가설 4의 희귀모형 = 43 C. 변수정의 = 45 D. 표본기업 및 자료선정 = 49 Ⅳ. 실증분석결과 = 51 A. 가설 1과 가설 2에 대한 실증분석 = 51 1. 가설 1의 검증 = 54 2. 가설 2의 검증 = 56 B. 가설 3 검증 = 59 C. 가설 4의 검증 = 61 D. 추가 검증 = 66 Ⅴ. 결론 = 70 A. 연구결론 및 연구의의 = 70 B. 연구 한계점과 향후방향 = 73 참고문헌 = 74 부록 = 78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07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산재평가-
dc.subject기업가치결정-
dc.subject경영학-
dc.title자산재평가가 기업가치결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Firm Valuation to Asset Revaluation-
dc.format.pagevi, 8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