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雇傭保障法 理念에 입각한 雇傭保險法의 批判的 考察

Title
雇傭保障法 理念에 입각한 雇傭保險法의 批判的 考察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on Employment Insurance Act based on the thought of Employment Security Law
Authors
姜賢珠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고용보장법고용보험법고용보장법 이념법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93년 12월 22일 고용정책입법의 모법이라 할 수 있는 '고용정책기본법'과 고용보험제의 도입을 명시한 '고용보험법'이 제정되었다. 그리고 이 두 법률의 제정취지에 맞추어 '직업안정 및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은 1994년 1월 7일 '직업안정법'으로 개정되었다. 이러한 고용정책입법은 헌법상 '근로권' 및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구체화한 것으로 이는 국가가 고용 및 실업문제에 대해 소극적이었던 종전의 태도를 벗어나 적극적 보장을 통하여 위 권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것임을 선언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노동법학은 이러한 입법들의 등장과 상황변화를 반영하는 가운데 위 권리의 의미내용을 파악하여 고용관계의 성립·유지와 실업자의 생활보장 등 고용관계 전반에 걸친 통일적인 이론적 기초와 규범적 의미를 다져야 할 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기된 주장의 하나가 바로 일본 노동법학에서 제기된 '고용보장법'론이다. 본 논문은 그러한 '고용보장법'논의를 참조하여 고용정책입법의 중심제도라 할 수 있는 '고용보험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제2장 및 제3장에서 우리나라에서 '고용보장법' 논의가 타당하며 또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그 법이념의 규범적 의미내용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장 및 제3장의 논의에 의할 때 고용보장제도이면서 동시에 사회보장제도로 파악할 수 있는 우리나라 고용보험법의 문제점과 입법론상의 과제를 제4장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우리나라 고용보험법이 부수적 목적이 본래적 목적에 우선되고 있으며 실업자의 생활보장이라는 본래적 목적은 물론 근로 능력의 유지를 통한 適職으로의 재고용을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용보험법은 앞으로 상당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Both 'Basic Employment Policy Act', the mother law of various employment policy legislations and 'Employment Insurance Act' which stipulated the introduction of employment insurance were enacted by Korean government on December 22, 1993.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ment tenor of the two laws, 'Employment Security and Promotion Act' was amended and replaced by 'Employment Security Act' on January 7, 1994. Substantiating constitutional 'Right to work' and 'Right to have a life worthy of man', these employment policy -related legislations have the meaning in the sense of the nation's declaration of guaranteing the rights above. Through reflecting appearance and condition change of these legislations and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rights above, labor jurisprudence must solidify the unified theoretical draft and normative meaning involving comprehensive employment relations - the creating and maintenance of employment relation and living security of the unemployment, etc. And one of claims to solve these tasks is that of 'employment security law' insisted in Japanese labor jurisprudence. This study aims for examining critically 'Employment Insurance Act' as the central scheme of employment policy-related legislation referring to such 'employment security law' arguments.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and 3, this study confirms the propriety of and necessity for 'employment security law' arguments, and makes clear the contents of 'Right to work' and 'Right to have a life worthy of man'. On the basis of chapter 2 and 3, issues and tasks are presented while examining Korean 'Employment Insurance Act' critically in the view of 'employment security law' in chapter 4. With the considerati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concluded that 'Employment Insurance Act' has basic problems. Above all I would like to criticize the fact that the incidental goal takes precedence of initial goal. In addition, there are another problems ; the initial goal to guarantee livelihood of the unemployed as well as the resumption for suitable employment through maintaining ability to work can't be attained practically. Therefore I think hereby 'Employment Insurance Act' is necessary to be legally supplemented on and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