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경-
dc.creator조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4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폴 엘뤼아르 Paul Eluard의 시 전반에 나타난 몸의 변용과 글쓰기 기법을 고찰하여, 시인의 지향의식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본 논문은 엘뤼아르 시에 나타나는 몸이 소외되고 고립된 개인을 연결시키고 분열되고 파편화된 세계를 이어주며 현실과 초현실을 소통시키는 매체, 즉 '연통관 Les vases communicants'이 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연통관'으로서의 몸이 표출하는 지향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의 Ⅱ, Ⅲ장에서는 몸의 부분들과 전체의 변용을 살펴보았고, Ⅳ장에서는 그러한 몸의 특성과 관련된 글쓰기 기법과 지향의식을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출되는 '눈', '손', '가슴' '핏줄'을 통해 몸의 부분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눈'은 태양·정원·다리·새 등의 이질적인 이미지들로 자유롭게 변용하면서 원거리의 사물들을 수용하는 매체로 작용하였다. 또한 '눈'은 다른 대상과 시선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자아 정체성 identite을 인지하고 서로 간의 동일화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현실의 이면을 볼 수 있는 절대적 가시력을 지닌 '눈'은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그들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시인의 시적 사명감을 반영하였다. '손'은 대상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대립 하는 것들을 이어주려는 의지를 '손바닥', '손금'을 통해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손'은 만지는 대상을 능동적으로 변형하여 새롭게 생성시키는 창조자가 되었으며, 인식할 수 있는 힘을 통해 인류에게 지혜의 빛을 전달하는 지상의 조력자의 역할을 하였다. 한편 인체 내부의 순환 기관인 '심장'과 '핏줄'을 흐르는 '피'는 식물적 상상력으로 전이될 때 흰 피인 '수액'으로 변용되었고, 세계와 우주 공간으로 확장될 때 지상의 '길', 지하의 '수맥', 천상의 가벼운 피 '바람'으로 변용되었다. '피'는 우주 만물들을 이어주고 소통시키면서 우주의 흐름을 주도하여 그들을 살아가게 하는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었다. 엘뤼아르 시에서 이러한 몸의 부분들은 여러 이항대립을 화해시키는 매개항이 되고 있으며,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타인들을 향한 확산의 계기가 되고 있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몸 전체로 확대하여, 시인에게 있어 유한성 극복의 대상이었던 몸이 어떻게 초월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 전환되는가를 밝혔다. 시인의 초월의 방법은 크게 수평·수직 두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수평적 방향의 모색에서, 시인은 대지 위에 자신의 존재를 다수로 늘림으로써 존재의 소멸을 극복해나가는 '대지적 상상력'을 보여주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시인은 타인을 모두 자신의 '쌍둥이 형제', '분신 double'으로 규정하여 그 육체적 '많음'을 강조하였고, 그러한 '분신'들이 이 땅에 무수히 많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지상 위의 모든 사람들과 동화됨으로써 존재의 연속성을 보장받고자 하는 의식을 표출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인은 많은 사람들을 생산해내는 여인의 '배'를 집착적으로 드러내면서 세대간의 끝없는 이어짐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과 사물을 무한한 숫자로 쪼개어 증식시키고, 증식된 대상들이 '어디에나' 있도록 편재시켜 공간의 경계를 지우고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였다. 수직적 방향의 모색에서, 시인은 '나체'에 가벼움과 상승의 의지를 투영하여 '공기적 상상력'을 보여주었다. '나체'가 된 자는 자신의 육신을 무겁게 짓누르는 옷과 치장을 벗어버렸기 때문에 중력의 무게를 벗어날 수 있었다. 또한 '나체'는 낡은 것을 벗고 끊임없이 새로워지려는 의지를 표출하면서 부활의 상상력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다시 태어나다', '다시 시작하다', '첫번째', '새벽"이라는 어휘가 표상하는 생성의 시간과 연계되었다. 시인은 일상 시간의 흐름을 단절하고 순간 속에서만 처음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면서 수직적 초월의 길을 열어 보이고 있다. Ⅳ장에서는 Ⅱ·Ⅲ장에서 밝힌 몸의 특성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엘뤼아르적 언술기법의 특징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서 종합적으로 표출되는 시인의식의 지향성을 규명하였다. A절에서 엘뤼아르는 'A de B'라는 은유형식과 부가 형용사적 용법, 접속사 'et'가 이루는 대조법과 모순어법, 연결의 동사 사용을 통해 단어의 낯설음과 친근함을 함께 표출시키면서 단어와 단어를 연결짓는 매개적 품사 용법을 활용하였다. 이것은 떨어져 있는 사물들의 조화로운 이어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몸의 부위들의 매개적 용법과 일치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표출되는 시인의 연결 의지는 '지속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B절에서 고찰한 열거·반복 기법의 다양한 양상들은 의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몸 이미지 안에 용해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열거의 기법은 끝없이 늘어나고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증식의 주제와 연관되었다. 또한 말줄임표에 의한 미완적 형식은 그 외적 의장(意匠)을 통해 시적 대상으로 집중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시적 기법의 열려있는 객체성(客體性)은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독자로 하여금 상상하도록 하는 능동적인 유도장치의 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타자지향적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한편 시인은 반복의 기법을 통해 시에 통일감과 리듬감을 부여하면서, 의미를 심화시키고 독자의 주의를 집중시켰다. 반복되는 사물들은 끝없이 다시 시작함으로써 항상 현재의 시간에 놓이게 되었으며, 이는 '나체'가 표상하는 생성의 시간과 연계되었다. 이러한 '지속의식'이나 '타자지향성'은 C절에서 고찰한 인칭 대명사 '나' '너' '우리'의 용법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표출되었다. 인칭 대명사들이 보여주는 관계성은 우리 '나'와 '너'가 보여주는 무수한 변형의 형태로 표출되었으며, 언제나 '우리'라는 연대의식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열린 관계를 향한 시인의식의 일관된 지향성을 드러내고 있다.;Eluard est un poe´te quit est a` la recherche de la meilleure vie << ici >> et << maintenant >>. Pour cela, il veut rapprocher des individus isole´s, relier les parties divise´es du monde et faire communiquer re´el et surre´el. Eluard l'a, a` sa manie´re propre, re´alise´ dans ses m poe´mes au moyen de la mktamorphose poe´tique du corps. Comme le corps est ce qu'on peut le plus aise´ment percevoir, il rece´le une force paradoxale ; a` savoir que le corps re´ve´le un monde transcendantal qui est l'essence me^ de la poksie d'une manie´re re´elle et qu'il montre l'abstrait d'une fac_¸on concre´te. La` reside la force du paradoxe. Et come le corps enveloppe aussi bien la vie que la mort, il ve´hicule l'ide´e d'une certaine ambivalence et peut e^re alors l'interme´diaire pour aider a` la circulation d'objets contradictoires ou de´saccorde´s. Si le corps rempli ce ro^le, les contradictions disparaissent. Nous pouvons donc remarquer ici que le corps peut sans doute e^tre ces << vases communicants >> de´finis par Breton. A partir de ce point de vue, cette etude va tenter d'examiner les caractkristiques de la metamorphose du corps et le rapport avec l'e´criture e´luardienne. Notre but est d'essayer, dans trois diffe´rentes parties, d'e´clairer les ve´ritables intentions du poe´te ainsi que sa conscience. Dans la premiere d'entre elles, nous allons nous attarder sur les caractkristiques des trois diffe´rentes parties du corps les plus fre´quemment e´voque´es chez Eluard: les yew, les mains et les veines. Penchons-nous tout d'abord sur les yeux. Ceux-ci semblent pouvoir e^tre regroup6 dans trois categories distinctes car, chez Eluard, il y a << les yeux de maison >>, << les yeux de deux miroirs en vis a vis >> et enfin << les yeux de miroir sans tain >>. Les premiers remplissent le ro^le d'interme´diaire recevant sans distinction toutes choses sans prendre en compte ni le temps ni·l'espace. Les seconds soulignent un reflet sans fin. Ceux qui se regardent, de´couvrent leur identite´ et celle de l'autre. Les derniers, enfin, repre´sent l'absolu, ils repre´sentent l'art poe´tique d'Eluard qui aspire a` montrer ce que personne n'a encore vu. Les mains peuvent aussi e^tre classe´es en trois groupes distincts. C'est a dire qu'il y a << les mains lieuses >>, << les mains cre´atrices >> et << les mains pensantes >>. Tout comme la se`ve , la rue, la source ou encore le vent qui partent d'un inte´rieur et se dirigent vers un exte´rieur, les veines, elles aussi, ne cessent de se me´tamorphoser. Dans un deuxie´me temps, nous ne nous sommes plus limite´s a` ces trois pre´ce´dentes parties corporelles et nous avons e´largi la recherche a` tout le corps. Pour le poe`, le corps peut, avant tout, servir d'interme´diaire avec le monde exte´rieur, mais il doit aussi surmonter l'obstacle pose´ par sa propre limite. D'une fac_¸on originale Eluard a re´solu ce proble´me de limite en utilisant la force me^ne du corps. Nous avons pu ainsi de´couvrir deux aspects transcendantaux chez Eluard. L'un se dirige horizontalement vers la terre. Le poe´te souligne alors la ressemblance avec l'autre ou bien il tient ce dernier pour son double. Il multiplie aussi son corps ou le place n'importe ou`. Cette ubiquite´ et cette multiplication repre`sentent la victoire sur les limites du temps et de l'espace enfermant le corps. D'autre part, sa transcendance prend aussi pour direction la verticalite´ en s'attardant sur la nudite´ du corps humain. Pour Eluard, l'acte d'enlever ses hasbits signifie celui de se libe´rer de la pesanteur. Le corps nu, libe´re´, devient de`s lors plus ae´rien. Nous avons remarque´ aussi que l'imagination du poe`e fait que le corps ne cesse de se renouveler, un corps ancien fait toujours place a' un nouveau. La poe´sie d'Eluard est marque´e par des mots tels que << aube >>, << premier >> ou << recommencer >> qui rappellent la nouveaute´ ainsi que le the´me du Phe´ix. Dans troisie`me temps, nous nous sommes attarde´ sur les caracte´ristiques corporelles aborde´es dans les deux pre´c´dentes parties. Nous avons tout d'abord remarqu´ qu'Eluard usait beaucoup d'un discours fonctionnant en tant qu'inte´rme´diaire. Chez lui, la preposition << de >> exprime souvent la me´taphore << A de B >>. Elle est ou bien utilisee´ c o m e e´pithe´te. La conjonction << et >> est constamment utilisee´ pour exprimer l'oxymoron. Les verbes << joindre >>, << unir >> et << nouer >> soulignent les liens qui peuvent exister entre des objets totalement diffe´rents ou << he´t´roge`nes >>. Ils s'harmonisent alors les uns les autres et tous les mots sont emprunts de nouveaute´. La rencontre entre des mots concrets et abstraits, celle entre des mots exprimants des ide´es ge´ne´rales et le vocabulaire du corps de´montrent la sensibilite´ et la justesse du choix lexicale re´alise´. par le poe´te. Cela vise a` tout relier, que ce soit en terme de distance ou de temps. Nous avons ensuite tente´ d'e´tudier l'e´nume´ration et la repetition en fonction de la transcendance corporelle aborde´e dans le seconde partie. L'e´nume´ration peut e^tre sans fin. Nous pensons donc que ce de´sir de discourir est sans doute intimement lie´ a` cette multiplication du corps. Eluard a souvent utilise´ la repetition afin de donner une certaine unit6 a` ces poe`mes, de leur donner un sens plus profond, du rythme et de surprendre le lecteur. Ce choix de l'e´nume´ration et de la re´pe´tition de´coule sans doute de cette volonte´ d'aller vers l'autre. L'emploi des pronoms personnels comme << je >>, << tu >> et << nous >> tend a prouver ce de´sir de dure´e et de rencontre de l'autre. En effet, chez Eluard, le rapport entre << je - tu >> et << nous >> repre´sente la solidarite´. Le poe´te re´ve´le ainsi sa constante volonte´ d'ouverture et d'intimite´ avec les autres. Pour conclure, ce corps sur lequel Eluard s'est penche´ librement me´tamorphose´ a` l'aide de l'imagination du poe`te et a fait nai^tre de nouveaux rapports entre les choses. Cette vision d'un corps polyse´mique nous fait de´couvrir un Paul Eluard poete´ du re´el aussi bien que du sure´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결체로서의 몸과 세계의 신체화 = 6 A. '눈'과 세계의 현시화(顯示化) = 8 B. '손'과 세계의 감각화 = 22 C. '심장'·'핏줄'과 세계의 순환 = 37 Ⅲ. 초월지향체로서의 몸과 세계의 확대 = 47 A. '닮음'과 수평적 확대 = 47 B. '벗음'과 수직적 상승 = 63 Ⅳ. 육화(肉化)된 언어와 관계의식 = 72 A. 매개적 품사들의 용법과 지속성 = 72 B. 열거·반복의 기법과 타자지향성 = 86 C. 인칭 대명사의 용법과 열린관계성 = 96 Ⅴ. 결론 = 103 참고문헌 = 107 Re´sume´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657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Eluard-
dc.subject-
dc.subject변용-
dc.subject글쓰기-
dc.titleEluard 시에 나타난 몸의 변용과 그 관계적 글쓰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a Metamorphose du corps et son ecriture chez Eluard-
dc.format.pagevii, 11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