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다래-
dc.creator박다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2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쟝 쥬네 Jean Genet의 극작품 『발코니』 Le Balcon를 통하여, 그 속에서 현실과 환상이라는 존재의 두 가지 양상이 대립과 상호의존을 거쳐 합일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포착함으로써, 기존의 사회학적 관점에 기초한 Le Balcon 연구에 대해 반성하고, 오히려 소설에서부터 희곡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에 있어 일관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쥬네의 사상을 검토해 보는 데 있다. 이에 소설 『도둑일기』 Journal du Voleur에서부터 계속적으로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는 '거울 miroir'과 '그 거울에 비친 영상 image du miroir'이라는 테마가 Le Balcon에서도 역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위의 현실과 환상이 어떤 사물의 실체와 그 영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시하여, 이로부터 본 논문을 전개시켜 나가고자 한다. Ⅱ 장에서는 우선 각 등장인물에게 나타나는 '거울'의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거울에 비친 영상'이 갖는 의의를 연구함으로써 현실과 대립되어 있는 듯 보이는 환상의 가치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던 쥬네의 의도를 살펴 볼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직접적인 거울의 존재 뿐 아니라, 연극무대 위에 간접적으로 나타나 있는 반사상의 의의가 사회까지도 포괄하는 광범위한 것임도 더불어 나타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Ⅲ 장에서는 Le Balcon 속에 내재되어 있는 극중극 형태 역시 이 영상의 반사가 은유적으로 적용된 것이며, 이로부터 도출되는 제의성이 결국 연극의 자기반사장치로 작용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과의 일체감을 유발시킴으로써, 연극이 그 기원으로 회귀, 참된 연극성에 도달하고 있음이 밝혀질 것이다. 본문의 마지막 장인 Ⅳ 장은 Ⅱ 장과 Ⅲ 장에서 살펴 보았던 쥬네의 여러 시도들에 대한 해석으로서, 이제까지의 연구를 통해 나타난 환상과 현실의 문제가 결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환상인 동시에 현실이기도 한 연극이라는 쟝르를 통해, 그리고 구체적으로 Le Balcon 속에서는 '로제 Roger의 거세 의식'을 통해 결국 융합되어 조화로운 통일체로 나타나고 있음이 결론적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 요컨데, '거울'에 의해 '실체'와 '영상'으로 은유되고 있는 현실과 환상은 연극위에 세워지는 또 하나의 연극으로 인해 연극의 허구성이 극한까지 밀어붙여짐으로써 그 두 양상 간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드러내어 관객에게 진정한 현실의식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Le but de cette e′tude est de saisir, dans le the′a^tre de J. Genet, Le Balcon, le processus de l′unification des deux co^te′s de l′Etre, le Re′el et l′Illusion par l′opposition et l′interde′pendance. Ainsi, on re′fle′chisse le point de vue sociologique de′ja existant, et par conse′quent, on ve′rifie l′ide′e centrale de J. Genet qui apparai^t tout le long de ses oevres. De cette facon, on de′couvre le the`me 'miroir' et 'l′image du mirior' qui apparai^t toujours a` partir du roman Journal du Voleur, comme le sujet principal de Le Balcon. On conside`re comme le point de de′part de cette e′tude, le Re′el et l′Illusion qui apparai^t par le substance du Chose et son miroir. Pour cette e′tude, dans le chapitre Ⅱ, on constate le sens de l′image du miroir aux personnages du the′a^tre et le sens du miroir qu′on utilise comme l′accessoire. Dans le chapitre Ⅲ, 'le the′a^tre dans le the′a^tre'. qui se trouve a` l′inte′rieur de Le Balcon du the′a^tre soi-me^me fonctionne comme l′appareil du reflet et fait retourner au the′a^tre a` l′origine. En conclusion, le sujet du Re′el et l′Illusion dans Le Balcon se re′ve`le concre`tement par ′la ce′re′monie de la castration de Roger′ et qui s′unit pour l′unification harmonie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거울의 이미지 = 8 A.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영상 = 9 B. 무대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거울과 그 영상 = 37 Ⅲ. 극중극 = 45 A. 역할 놀이 = 46 B. 제의성 = 55 Ⅳ. 현실과 환상 = 67 A. 현실과 환상의 상호의존성 = 68 B. 현실과 환상의 합일 = 74 Ⅴ. 결론 = 81 BIBLIOGRAPHIE = 84 Re´sume´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50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Jean Genet-
dc.subjectBalcon-
dc.subject환상-
dc.subject현실-
dc.titleJean Genet "Le Balcon"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환상과 현실의 문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L'Etude sur Le Balcon de jean Genet : A propos du sujet du Reel et d'Illusion-
dc.format.page8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