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선욱-
dc.creator안선욱-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9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플라톤의 『법』(Nomoi)에 나타난 도덕교육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플라톤의 철학을 형이상학적인 관념론으로 파악하고, 플라톤의 도덕교육을 주지주의(主知主義)적 측면에서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플라톤의 사상은 유토피아적이고 초월적인 것이라고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플라톤 교육론의 이상주의적인 특성만을 중심으로 논의한다면, 실제 생활의 영역에서 전개할 수 있는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가 어렵다. 플라톤의 『법』은 『국가』에 비하여 도덕교육의 실제적인 측면을 더 많이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법』을 통하여 플라톤의 도덕교육론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구체적인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첫째, 플라톤의 사상에 대한 선행이론들은 무엇인가? 둘째, 『법』의 중심사상은 무엇인가? 셋째, 플라톤이 제시한 법률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넷째, 『법』에서 제시된 도덕교육의 개념은 무엇인가? 다섯째, 『법』에서 제시된 도덕 교육 과정은 무엇인가? 이상의 문제들에 관련하여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연구는 플라톤의 교육론이 『국가』를 위주로한 철인왕 중심의 철학교육이라고 본 것에 비하여, 『법』에 나타난 교육론은 지적인 능력이 없는 일반적인 시민들에게 중점을 둔 도덕교육이다. 일반 시민들의 영혼적 특성은 철학적인 부분이 약한 반면 욕구적인 부분과 감정적인 부분이 강한 것이다. 『법』에서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영역에 관계되며 실천적인 행위 영역과 관련된 도덕교육이다. 둘째, 실제적인 영역에서 추구되는 덕성은 실천적인 지혜(phronesis)와 절제(sophrosyne)의 덕이다. 실천적인 지혜는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영역에서 발휘되는 지혜인데, 이는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영역을 탐구하는 철학적인 지혜와 대비를 이룬다. 절제의 덕성은 한 개체의 내부에서 더 나은 부분과 더 못한 부분 사이의 올바른 지배와 복종의 관계를 통하여 전체적인 조화와 평화를 이루는 것이다. 국가의 차원에서 절제의 덕성을 적용하면, 시민은 국가의 법에 복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절제의 덕은 감정이 이성의 지배에 잘 순복하여 감정과 이성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셋째, 법률의 유형은 강압적인 법과 교육적인 법으로 나누어진다. 강압적인 법은 처벌과 규제의 역할을 중시하고 교도(矯導)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플라톤이 제시하는 법률은 시민을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지도하는 교화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법은 교육의 매개물이 된다. 법은 서문과 본문으로 구성되는데, 서문에서 법의 원리와 정당성을 설명하고 설득한다. 설득어는 법의 명령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시민에게 이해시키는 것이고, 훈계와 교훈을 통하여 법의 정당성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교육의 개념은 직업 전문 교육, 시민 교육, 감정 교육이라는 세 가지의 요소로 분석된다. 직업 전문 교육은 아동이 어린 시기부터 적성에 알맞는 분야에 관련된 놀이를 하고, 이를 통하여 그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탁월성을 갖추는 것이다. 시민 교육은 국가의 법에 올바르게 복종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다. 법에 대한 시민의 복종은 법의 강압적인 지배에 의한 굴종이 아니라, 법의 목적과 의도와 교훈을 내면화하여 자발적으로 법을 준수하는 것이다. 감정 교육은 개인의 영혼적인 측면에서 감정이 이성의 판단에 잘 순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이성이 선하다고 판단한 것에 관련하여 쾌락의 감정이 따르고, 악하다고 판단한 것에 관련하여 불쾌의 감정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감정 교육은 선악의 도덕적인 판단에 관련하여 감정적인 분별력을 갖도록 습관화하는 것이다. 다섯째, 도덕 교육 과정은 크게 아동기의 도덕교육과 성인기의 도덕교육으로 나누어진다. 아동기의 도덕교육은 아동을 대상으로 주로 조화로운 곡조와 신체적인 율동을 통하여 절제의 덕성을 이루도록 한다. 성인기의 도덕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제례와 일련의 공동체 훈련을 통하여 법에서 제시된 도덕성들을 재교육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플라톤의 도덕교육론은 주로 지식의 영역에 관련하여 주지주의적인 전통의 시조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법』에 나타난 플라톤의 도덕교육론은 감정적인 영역과 의견의 영역에서 인간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법』에서 도덕교육의 교수 방법은 두 가지로로 분석된다. 첫 번째는 감정이 이성의 도덕적인 분별력을 따르도록 습관화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법률 서문을 통하여 시민을 설득하는 것이다. 설득은 의견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관습의 다양한 방법들이 교육적인 수단으로 활용된다. 도덕교육에서 제기되는 난제 중의 하나는 이상과 실제 사이의 괴리이다. 이에 대하여 플라톤의 『법』에 나타난 도덕교육론은 이상과 현실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현대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 도덕교육론에서는 이성과 관습의 패러독스가 제기되는데, 이는 합리적 이성 중심의 입장과 관습적 도덕성 중심의 입장으로 대비된다. 플라톤의 『법』에 나타난 도덕교육론은 이성과 관습의 패러독스를 해결하고 양자를 통합하는 대안책으로 모범적인 교육모델이 될 수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educational study is to reinforce the practical and empirical side of the theory of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Laws(Nomoi) by Platon. The reasons for this particular study are as follow: Until now, most studies of Platon's educational theory were focused on the metaphysical philosophy in accordance to the philosopher-king from the Republic and the dialogues from the early and the middle ages of Platon. This means the previous studies of Platon's moral educational theory were more interested in the theorectical and conceptucal senses. As a result, Platon is simply valued as a metaphysicion in the view of the philosophy and a intellectualist in the view of th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more on the practical and realistic side of Platon' Laws. To follow the above goals, this study has come up with five main problems to research on. First, what are the preparations of the Laws and the concepts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Platon? Second, what is the basic morality of the Laws?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gislation in the Laws? Fourth, what is the concept of education in the Laws? Fifth, what are the basic steps of the moral educational progress suggested by the Law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evious studies claimed that Platon's moral educational theory in accordance to Republic was very metaphysical. However, through this study based on the Laws, Platon's moral educational the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ality of the human rather tnan any theorectical concepts. In addition, the moralities suggested from the pactical and empirical side are practical wisdom(phronesis) and temperance(sophrosyne). Next, the responsibilities of legislation are not only to punish and restrict criminals but also to lead and persuade the citizens sincerely in terms of education. There are three points how the empirical and practical studies are commonly found, which are the professional education, the citizen education, and the emotional education. Lastly, the system of mo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educational progresses; one is for children, and the other is for adults. The moral educational progress for children is taught mostly through music and dance; while the moral educational progress for adults is taught by the common worship and several public training organizations. Through these ways, the moral education proclaimed by the Laws is to re-enforce and re-educate citizens of the polis. According to the Laws, there are two practical ways to teach people the morality. One is the habits of emotion, and the other is the persuasion through the preface of legislaton. The emotion is characterized by pleasure and pain. Children have to be trained to feel pleasure at the good things and pain at the bad things. The persuasion must be explained as the relation between true knowledge and true opinoin. True opinion has the qualities of both knowledge(episteme) and opinion(doxa). All the concepts such as practical wisdom, persuasion, and true opinion listed in the Laws are related to opinion(doxa). In the practical and empirical study, the moral education cannot be learned only by critical teachings through knowledge but with the helps of habitual emo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opin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 6 Ⅱ. 사상적 배경 = 9 A. 이론적 배경 = 9 1.『법』에 대한 선행 이론들 = 9 2. 플라톤의 사상의 기본 개념 = 19 B.『법』의 중심사상 = 27 1. 인간론 = 27 2. 도덕론 = 32 Ⅲ.『법』에 나타난 도덕교육론 = 48 A. 법의 교육적 의의 (意義) = 48 1. 법과 교육의 상호 관련성 = 48 2. 교육적인 법의 유형 = 52 B. 도덕교육의 개념 = 58 1. 도덕교육의 세 가지 요소 = 58 2. 쾌락에 대한 도덕교육적 해석 = 64 C. 도덕교육과정 = 75 1. 아동기의 도덕교육 = 76 2. 성인기의 도덕교육 = 90 Ⅳ. 결론 = 101 A. 요약 = 101 B. 논의 = 105 참고문헌 = 117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7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Nomoi-
dc.subject플라톤-
dc.subject도덕교육론-
dc.title법(Nomoi)에 나타난 플라톤의 도덕교육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oral educational theory of Platon in the Laws-
dc.format.pagevii, 12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