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楊惠鈴-
dc.creator楊惠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59-
dc.description.abstractA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post-romanticism in Germany, Richard Strauss is a composer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19^(th) and the 20^(th) century.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19^(th) century and developed German Lied by the employment of his proper musical technique like as shown in that of modem time. His Lied can be divided in two parts, as those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period. Lied created in the former period can be cited from Op.10 in 1885 to Op.46 in 1899. The main features in this period, which influenced by Robert A. Schumann(1810-1856) and 49 Johannes Brahms (1833-1897). They are of the lyricism, the composition of the melody of diatonic scale and the balanced sense by the application of concise forms. His Lied cerated in the latter period can be noted from Op.47 in 1900 to his last Lied 『Vier letzte Lieder』 in 1948. The feature in this period is of the composition of gradual employment of melody of chromatic scale by the influence of Wilhelm R. Wagner(1813-1883). They show more splendid melody, consonance and larger musical range than those of the former period. The lied of Op. 48, my study object in this term paper,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latter period. The first lied had been based on the poem of Otto Julius Bierbaum, and for the other songs, the poems of Karl Henckell had been adopted. The first and the third lied are of a 4-part form, the second is of a 3-part form accompanied by prelude and postlude, the forth is of a 3-part form accompanied by coda and the fifth one is a 5-part form. Each composition employs the way of accentuating the melody of vocal music part by the piano, and the accompaniment and the vocal part are closely coupled. In piano part, the simple rhythm and the coherence are expressed as the continuant sound in the highest and the lowest music line and the melody of vocal music line has a jumping structure of the I-V chord in each tune. In consonance, they have the modulation of the third chord, the concord prohress of I, V, V_(7) chord and the harmonic shift by secondary dominant and provisional signs.;독일 후기 낭만파의 대표적 작곡가인 Richard Strauss는 19세기에서 20세기로 향하는 전환기의 작곡가로 19세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독일의 Lied를 현대에 가까운 기법으로 발전시킨 작곡가로 평가된다. 그의 가곡은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전기는 1885년의 op. 10에서부터 1899년의 op. 46까지의 작품이 포함된다. 그 특징은 Robert A. Schumann(1810-1856), Johannes Brahms(1833-1897)의 영향으로 서정적이며 전음계적 선율과 간결한 형식을 기초로 하여 균형감이 있다. 후기에 속하는 Lied는 1900년의 op. 47부터 1948년에 작곡된 그의 마지막 Lied 『 Vier letzte Lieder 』까지로 본다. 그 특징은 Wilhelm R. Wagner(1813-1883)의 영향으로 점차 반음계적 선율이 쓰여졌고, 따라서 선율이 더 화려하며 화성과 음역의 폭이 전기에 비해 훨씬 넓다. 본 논문은 R. Strauss의 가곡을 대상으로 하여 여러 문헌을 통해 그의 가곡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중 op. 48의 5곡을 분석, 연구한 것이다. op. 48의 5개의 가곡은 1900년에 작곡되어 시기적으로는 후기에 속한다. 제1극은 Otto Julius Bierbaum의 시이며, 그 나머지 곡은 Karl Henckell의 시를 가사로 채택하여 제1, 3곡은 4부 형식, 제2곡은 전주와 후주가 수반되는 3부 형식, 제4곡은 coda가 따르는 3부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5곡은 5부 형식이다. 각부는 성악부 선율의 진행에 의해 다시 2-3개의 부분으로 세분된다. 각 악곡은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고 피아노부에서는 성악부 선율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피아노부와 성악부가 동일한 선율선으로 유기적인 결합을 보이며 주제적 동기의 전개방법으로는 단순한 리듬과 일관된 음형을 동형진행, 반복등의 기법으로 발전된다. 피아노부의 하성부에서는 지속음이 유지되고 성악부의 선율은 각 조성의 I, V화음선을 도약하는 선율구조를 갖는다. 화성적으로는 3도 관계의 전조와 전통적인 I, V, V_(7)위주의 화성진행을 하며 2차적 도미넌트와 임시표에 의한 화성적 변화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R. Strauss의 가곡 = 2 Ⅲ. R. Strauss의 가곡 op. 48의 분석 = 10 Ⅴ. 결론 = 44 참고문헌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3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곡-
dc.subjectRichard Strauss-
dc.subject독일가곡-
dc.titleRichard Strauss의 가곡에 관한 연구 Op.48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Op.48 of Richard Strauss-
dc.format.pagevi, 4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