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선-
dc.creator김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68-
dc.description.abstractRate of female employee has been increasing after the industrialization of 1960s. But it doesn't mean the improvement of women's position. Because female job has been concentrated at the occupations of lower position and the promotion of female employee has been based on the discrim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male.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sex-role norms assign the different role expectations to men and women. In the norms, men are expected the role of economic attainment and women are expected the role of domestic attainment. This sex-role model forced women to stay at home and to carry out the role of mother/wife, first of all. So that working women have to bear dual role burden. The study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women's job consciousness, which i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gender-discrimination in the Financial organization. At this time, job consciousness means career expectation, promotion expectation, and job commitment. for the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sonal variance and gender-discrimination consciousness on the job consciousness. As a research method, a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working women employed in Financial Organizations. Using SAS statistical program, total 338 results of survey were processed. Before the data analysis, I inquired into the women's job condition employed in financial Organizations, mainly, the proportion of females by the degree of education, by the position in the job, by the chance of promotion, by the difference of wage, etc. This result obviously shows the real condition of the direct or indirect discrimination on women. For example, the following is the proportion of female to male by position, in the six higher raked banks. The percentage of position over senior accountment is in men's case 53.1% and in women's 27%. This shows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s recognition about this condition is also included in women's gender-discrimination consciousness. The following results are the output of the analysis. Firstly, factor that influenced on career expectation are years of education, marriage, and position. The attitudes toward the conflicts of role between work and family, sex-role attitudes, gender-discrimination attitudes a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ut the evaluation of organization's equality is the important variance. Secondly, years of education, positions, experience of promotions, evaluation of organization's equality ar the important variance on the expectation of promotion. The higher learned and the higher degree of position and the more experience of promotion, the higher expectation of promotion is appeared. Especial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he evaluation of organization's equality. Meanwhile, the reason why the attitudes toward the conflicts of role between work and family, sex-role attitudes, gender-discrimination attitud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s considered that women accept the dual role burdens naturally and simultaneously women accommodate by acception the discriminations in her post Namely, women are living in the separate world both personal and public(job) area. So this is the special phenomenon in Korea. Thirdly, job commitments are effected by the years of education, the experience of promotion, sex-role attitudes and the evaluations of organization's equality. this fact indicates job consciousness is influenced directly by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equality than sex-role burdens. Finally, this result suggests the facts that the social settings should be improved by supports of gavernment and supports in law. In order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the work experienc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 social dimension, and women herself should get rid of the dichotomous 'masculine/feminine' diagram, should have an active subjectivity, and should change the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sex-role norms.;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론 증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활동 참여의 양적 증대가 여성의 지위를 항상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직장에서 여성에게 주어지는 업무는 하위직에 집중되어 있으며, 승진에서 남성에 비해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직장에서 여성에게 부당한 인사조치가 관행으로 제도화되어 있음에도 그 원인을 여성의 "직업의식 부족" 탓이라는 사회 관념이 강하게 존재하여서 직장 여성의 성취를 제한하는 기제가 되었다. 한편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은 남성은 가계 부양자로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당연시 되고, 여성의 경제적 활동은 단순히 남성의 보조적인 일로 여겨졌다. 즉 여성은 가정이라는 성 역할에 기반하여 "어머니/아내"로서의 역할수행이 우선적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직장 여성에게는 이중적인 역할 수행의 부담이 지워지게 된다. 이러한 이중 역할 부담은 여성이 직장을 그만두는 요인이 되어 왔다 그 결과 여성은 결혼하면 직장을 그만둔다는 편견이 생겨나고, 이것은 더욱 여성의 취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금융사무직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의 직업의식이 과연 사회적 편견대로 단기 직업으로 생각하고, 일에 대한 열성이 부족한가에 문제 의식을 갖고, 여성의 직업적 상황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과 성차별의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직업의식은 근속기대, 승진기대, 직무헌신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인적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근속년수, 결혼여부, 승진경험, 이직 경험 등이며, 성차별의식은 성역할 태도와 성차별 태도로 구별하였다. 성역할 태도는 다시 일-가정 역할 갈등, 사회적 성역할 태도로 나뉘며, 성차별 태도는 직장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대한 것과 조직의 성 평등성에 대한 태도로 개념적 정의를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와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총 338부였다. 표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에 의해 통계-처리되었다. 연구결과 분석에 앞서 연구 대상인 금융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구체적인 직업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금융권 내 여성의 학력별 인원 현황, 직급별 인원 현황, 승진현황, 임금 현황 등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여성에게 직, 간접적인 차별이 직장에서 제도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금융사무직의 고용구조를 보면 여성의 시간제 취업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졸 여성의 비율이 다른 직종에 비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6대 시중은행 직급별 인원현황을 보면 대리급 이상의 남성 비율은 53.1% 인데 반해 여성의 비율은 2.7%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승진에서도 여성은 남성의 10%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승진과 업무배치, 임금에 있어서 객관적인 직업조건을 여성들이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성차별의식에 포함하였다. 여성의 성차별의식과 직업의식과의 관계를 요약하면 첫째, 근속기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특성 중 교육년수, 결혼유무, 직위이다. 반면 일-가정 역할 갈등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에 대한 태도, 성차별에 대한 태도는 근속기대에 유의미하지 않았고, 조직의 성평등성에 대한 인지만이 근속기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진기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육년수, 직위, 승진경험, 조직의 성평등성 평가이다. 전문대졸 이상 집단이 고졸이하 집단보다 승진기대가 높았으며, 직위가 높고 승진의 경험이 있는 사람은 승진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한편 일-가정 역할 갈등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에 대한 태도, 성차별에 대한 태도는 근속기대에서 처럼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직의 성평등성에 대한 인지는 승진기대에 중요한 변수인데, 여성이 조직의 기회가 평등하다고 생각할수록 승진기대가 높았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여성 낮은 승진 기대는 차별적인 조직구조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직무헌신은 교육수준과 승진의 경험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직업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정도가 높고, 승진의 경험이 있는 경우 동일시 정도가 높았다. 한편 성차별의식과 직무헌신과의 회귀분석 결과에서 조직의 성평등성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성역할 태도가 직무헌신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은 일-가정의 이중역할 부담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동시에 직장에서의 차별대우에 순응함으로써 자신의 직장생활에 적응해가는 것으로 보인다. 즉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은 직업세계와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여서 일-가정의 역할 갈등이나 성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직업의식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에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조직의 기회구조가 여성에게 평등하게 주어진다고 여길 때 근속기대, 승진기대, 직무헌신도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여성 개인의 성역할 부담 즉 일-가정 역할 갈등 보다는 조직에서의 성평등성 인지가 직업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일에 대한 경험치 자기 개발과 직업적 성취를 높이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도적인 차원에서 성차별적인 관행이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여성이 일을 통해 자기 실현을 꾀하기 위해서는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차별적인 남녀차별 규정을 개선하고, 이분법적 성역할 규범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 스스로 '남성다움/여성다움'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태도를 갖는 의식의 변화가 이뤄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Ⅱ. 이론적 논의 = 6 A. 성역할과 성차별의 개념 = 6 B. 직업 영역에서의 성차별 = 10 1. 규범적 제약 및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 10 2. 조직에서의 성차별 = 17 C. 성역할 태도와 직업의식 = 21 1. 직업 영역에서 성역할 태도와 관련된 논의 = 21 2. 직업의식 논의 = 25 Ⅲ. 개념정의 및 연구문제 = 30 A. 개념정의 = 30 1. 성차별 의식 = 30 2. 직업의식 = 38 B. 연구 문제 = 39 Ⅳ.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41 A. 금융사무직의 현황 = 41 B. 조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절차 = 52 C. 척도의 구성과 신뢰도 검증 = 54 Ⅴ. 결과 분석 및 논의 = 57 A.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57 B. 개인특성과 성차별 의식 = 60 C. 개인특성과 직업의식 = 67 D. 성차별 의식과 직업의식 = 75 Ⅴ. 결론 및 제한점 = 85 참고문헌 = 89 부록 = 97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556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차별의식-
dc.subject여성-
dc.subject직업의식-
dc.subject금융사무직-
dc.title성차별의식이 여성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금융사무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ON WOMEN'S JOB CONSCIOUSNESS-
dc.format.pagevii,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