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청소년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Reception Study of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 : Teenagers' Reading of KBS 2TV's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청소년텔레비전오락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a particular television program - KBS 2TV's - is popular among Korean teenagers whereas older generation of the society criticizes the program for its low quality. As a way of examining this c d t d phenomenon,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asked in the study. Those are : 1) why teenagers are watching and 2) how teenagers are reading . Eight interview sessions were held with four groups of high school boys and four groups of high school girls. Group interview method was used following a viewing session of an pre-recorded episode of . As shown in previous audience studies revealing activeness and Critical ability of television viewer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teenagers as television viewers are actively and critically interacting with television texts. The interview data shows that they utilize various decoding schem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moral,' 'ludic,' 'ideological,' and 'aesthetic'. Their readings of a television text are grouped as such based on the critical dist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viewers and the involvement of morality in their talks about the text. However, each individual viewer's decoding pattern cannot be logically explained since decoding position of each teenager is not always consistent. They are taking different decoding positions even with identical issues in the text. It varies depending on how much they are emotionally immersed in the text and how much they appreciate the production quality of the text, and SO on. This seemingly illogical aspect of decoding patterns cannot be explained by any other research method but the ethnographic approach, which values real viewers' actual experience in their own voice. complexity of television viewers' relation with television text is once again uncovered in this study. Television viewers should be conceptualized as inter-discursive subjects and it should be re-emphasized that text reading is finalized at the t when an actual viewer decodes a television text. Therefore, even exactly identical texts can be deco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scursive strategy and the contextual factor which is in effect at the moment of actual encounter. Further analysis of teenagers' readings of the program shows that their viewing experience ha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notion of 'pleasure'. The notion of 'pleasure' provides an answer to our first research question, which is, why teenagers are viewing . Simply speaking, they are watching because it is pleasurable to do it. However, the concept of pleasure should be further probed since it in and of itself is a problematic notion. The interview data tells us that types of pleasure are many even if the term is undifferentiatedly used among the viewers. One type of pleasure has to do with their anticipation of a coming event while they are waiting to watch an episode of the show. They all know what to expect from the coming show based on their past viewing experience of the identical show or similar ones of the same genre. The viewers are experiencing even more diverse pleasures when they are actually interacting with the show: pleasure of being able to evaluating the content and the format of the show; pleasure of allowing themselves to transgress mainstream ideological values; and pleasure of empathizing with narratives of the show. The process doesn't stop there. They share their viewing experience with friends at school after the show is over. Talking about the show with friends is a way of sustaining and extending a pleasurable moment even longer. Their enjoyment of the program can be best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y are in a position of evaluating what is good and what is bad. at is to say, these teenagers who are always in a position of being evaluated by teachers, parents, and other grown-ups are now placed in a position of evaluators. They are able to evaluate what they see on the screen including the performance of actors and actresses, the casting, and the camera movement. They are all amateur critics but they feel confident in what they are saying about the program due to their knowledge in and familiarity with popular cultural realm.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teenagers are actively and critically by producing various meanings of a text and experiencing all sorts of pleasure. The activeness and critical ability of teenagers as television viewers didn't get much attention previously from producers and critics. But as this study shows, any discussion about a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 should be done from the perspectives of red viewers not from those of producers and critics.;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을 KBS 2의 <슈퍼선데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청소년들은 왜 <슈퍼선데이>를 시청하는가? 둘째, 청소년들은 <슈퍼선데이>를 어떤 방식으로 읽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1, 2학년 2-3명으로 구성된 남자 4그룹, 여자 4그룹 등 총 8개 그룹이다. 각 그룹별로 <슈퍼선데이>에 대한 공동 시청이 있은 후,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청소년들의 그룹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의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시청에 있어 농동적이며 비판적인 능력이 부각되었다. 이는 두번째 연구문제인 청소년들은 <슈퍼선데이>를 어떤 방식으로 읽고 있는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슈퍼선데이>에 대한 다양한 해독 양식을 프로그램과 청소년들의 실생활과의 연계성의 유무에 따라 지시적 해독과 비평적 해독으로 나누었다. 또 다른 해독 양식을 분리시키는 축은 윤리적 평가의 유무인데 해독 내용에 있어 윤리성의 개입 여부에 따라 지시적 해독을 도덕적 해독과 유희적 해독으로, 비평적 해독을 이데올로기적 해독과 미학적 해독으로 나누었다. 청소년들의 <슈퍼선데이>에 대한 다양한 해독은 늘 논리적이지는 않다. 출연진에 대한 청소년 자신의 호감도, 실생활과의 연계성, 제작의 수준 등에 따라 청소년들은 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상이한 해독을 하고 있었다. 이런 수용자의 해독에 있어서의 모순성은 과거 양적 연구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수용자가 지닌 복잡한 속성을 나타내주고 있는 것이다. 수용자는 다양한 담론을 지니고 있으며, 수용자와 텍스트가 만나는 순간 해독이 결정된다. 그 해독의 순간에 수용자가 지닌 담론이나 주변의 상황적 요소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느냐에 따라 똑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다른 해독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해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이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을 시청하면서 경험하는 즐거움 다양한 유형의 것임을 말게 되었다. 청소년들의 이런 즐거움의 경험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청소년들은 왜 <슈퍼선데이>를 시청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즐거움에 대한 기대, 즐거움의 경험, 즐거움의 유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즐거움에 대한 기대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전부터 프로그램이 즐거움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시청에 임하는 것이다. 즐거움의 경험은 시청 순간에 얻어지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형식적인 면에 대해 평가를 함으로써 얻게 되는 즐거움, 기성세대의 가치관에 대한 저항을 통한 즐거움, 프로그램의 내용과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즐거움 등이 있다. 즐거움의 유지는 친구들과 텔레비전에 관해 여담을 나눔으로써 시청 순간에 얻었던 즐거움을 유지 또는 확장시키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출연진의 연기, 캐스팅의 적절성, 카메라의 움직임 등 다양한 면에 대해서 평가를 하고 있었는데, 청소년들의 이런 평가는 대중문화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평가를 받는 위치에 있는 청소년들이 오락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평가자의 위치에 서게 되는데, 이는 청소년들이 오락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가장 큰 즐거움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은 <슈퍼선데이>를 능동적이며 비판적인 입장에서 시청하고 있었으며, 이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해 다양한 의미와 즐거움을 생산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텔레비전 시청에 있어서의 능동성과 비판성은 이제까지 제작자나 비평가에게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동일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일지라도 그것이 시청자들과 만나는 순간에 비로소 텍스트로서 완성되므로,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제작자나 비평가의 시각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이 프로그램의 실제 시청자인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