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한국 근대 정기간행물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 1889-1945

Title
한국 근대 정기간행물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 1889-1945
Other Titles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Periodical in the Modern Reriod of Korea: 1889-1945
Authors
윤정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한국근대정기간행물서지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근대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여 서지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시기에 정기간행물을 통해 유통되었던 지식과 사상의 내용, 우리나라 정기간행물의 성립과 발전과정의 특징, 그리고 개별 정기간행물이 지닌 형태 및 내용적인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1889년부터 1945년 해방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정기간행물과 국외에서 한국인에 의하여 발행된 정기간행물로 하였다. 여러 선행연구와 당시 일간지의 신간소개 및 서적광고를 통해 총 1,575종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여 ISBD(S)의 기술순서에 따라 목록을 작성하였으며(<부록-1> 참조), 1,575종 중에서 창간년이 확인된 1,473종을 대상으로 주제별, 시대별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정기간행물의 발행이 활발하였던 1920년부터 1936년 사이에 창간된 정기간행물 중에서 3년 이상 발행된 것을 대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 44종을 실사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에는 전반적으로 종합지, 자연·기술과학, 문학·예술 분야의 정기간행물이 활발하게 발행되었던 반면 대중오락과 인문과학 분야에서의 발행은 저조하였다. 개화기에 국민계몽을 목적으로 발간되었던 종합지, 여성지, 아동·청소년지는 1920년대에 이르면 다채로워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민족주의·사회주의 등의 사상을 담고 발간되기도 하였다. 근대적 문물을 수용함에 따라 경제·산업에 관한 국민들의 정보요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정기간행물이 사회과학과 자연·기술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발행되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정기간행물이 발행된 것을 볼 수 있는데 특히 상공업, 농업, 의약·보건위생 분야에서의 발행활동에 두드러졌다. 문학·예술 분야에서도 1920년대 이후 다수의 정기간행물이 발간되어 근대 문학과 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와 함께 1930년대에 이르면 한국어, 한국사, 한국학 등을 주제로 한 학술적인 성격의 정기간행물이 한국인에 의하여 발행되기도 하였으나 종수는 많지 않았다. 둘째, 1889년 「교회」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정기간행물은 1904년까지는 외국 선교사들에 의한 영문지를 중심으로 한두 종씩 창간되다가,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을 계기로 국내와 일본의 여러 단체에서 국민계몽을 목적으로 기관지를 발행하면서 비로소 그 발행이 본격화되었다. 한일합방 후 일본이 무단정치를 하였던 1910년부터 1919년까지는 정기간행물의 발행이 전체적으로 저조하였으며, 다른 시기에 비해 일본인에 의한 것이 많았다. 이 시기에는 종교지와 실용적 성격을 띤 자연·기술과학, 사회과학 분야의 정기간행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후 3·1운동을 계기로 일본의 통치정책이 문화정책으로 변화됨에 따라 정기간행물의 발행도 활기를 띠었다. 1920년부터 1936년 사이에 1,091종의 정기간행물이 창간되었으며, 내용적으로도 모든 주제 분야에서 다양하고 전문적인 성격의 정기간행물이 발행되었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 이후에는 일본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으로 발행종수가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그 내용도 친일적인 것이 다수를 이룬 가운데 문학·예술과 자연·기술과학 분야의 정기간행물이 비교적 많이 발행되었다. 셋째, 실사를 통해 개별 정기간행물을 분석한 결과 파악된 형태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크기는 菊判이 가장 많았고 四六倍倍判, 四六倍判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아동·청소년지의 크기가 다른 것에 비해 작았다. 본문의 면수는 400면 이상에 이르는 것부터 20면 내외까지 다양하였는데 전반적으로 종합지, 대중오락지, 인문과학 분야 정기간행물의 면수가 풍부하였고 종교지는 얇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크기와 면수 모두 1920년대보다 1930년대에 커지고 두툼해진 경향을 보였다. 문체는 국한문 혼용이 대부분이었으나 아동·청소년지에서는 순한글로 된 것이 많이 발행되었다. 체재를 보면 권수는 겉표지, 목차, 광고, 표제면, 사진이나 그림 등으로 구성되었고 권말에는 판권면, 편집후기, 社告, 광고 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책마다 그 구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오늘날은 거의 모든 정기간행물에서 볼 수 있는 표제면과 목차가 없는 경우도 종종 발견되었다. 정기간행물 발행에 참여한 인쇄소는 38개가 밝혀졌는데 특히 漢城圖書株式會社, 大東印刷株式會社, 彰文社, 鮮光印刷株式會社 등이 정기간행물의 인쇄에 많이 참여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부록-2> 참조). 개화기로부터 항일시대에 이르는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등장하여 성장한 우리나라 근대의 정기간행물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발행종수와 내용의 다양성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근대적 사상을 전달함으로써 국민계몽과 민족정신 함양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각종 산업·경제 분야의 실용적인 지식을 보급하여 국민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켰고, 근대 문학과 예술의 발전에도 일익을 담당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thought, evolvement,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periodicals published from 1889 to 1945. To achieve this goal, 1,575 of periodicals published from 1889 to 1945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the book advertisements on daily newspapers such as Hwangsungsinmun(皇城新聞), The Korea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Meilsinbo(每日申報), The ChosunIlbo(朝鮮日報), and The Dong-AIlbo(東亞日報). The identified periodicals were drawn up the list by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 Serials method. 1,473 of periodicals identified the foundation date were analyzed by the subject and the period. 44 of periodicals published from 1920 to 1936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periodical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Ewha Womans University Central Library, and Yonsei University Central Librar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ubject analysis of periodicals are following: 1. General periodicals, periodicals on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periodicals on literature and arts were published a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active publications on entertainment and human science periodicals. 2. General periodicals, periodicals for women, and periodicals for children published for enlightening people in the Opening period tended towards variety and specialization in 1920s. 3. Social science periodicals and periodicals on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were published to offer practical knowledge by increased needs of information. Especially, periodicals on commerce, agriculture, and medicine were found greatly in the modem period. 4. The academic periodicals on Koreanology, Korean Language and History of Korea were published in 1930s by Korean. Second, the results of period analysis of periodicals are following: 1. In 1889-1904, English periodicals published by the missionaries had great parts and in 1905-1909, most of periodicals were published to enlighten people to recover the national rights. 2. In 1910-1919, religious periodicals, periodicals on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science periodicals were published greatly. Many publishers were Japanese in these times. 3. The 74.1% of periodicals studied in this paper was published in 1920-1936 and characterized its variety and specialization. 4. In 1937-1945, the publication of periodicals decreased in number because of suppression of Japan to Korea. Third, the results of material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periodicals,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actual examination are following: 1. The size of periodicals was mainly Kuk-pan(菊判). 2. The number of pages was various from 20 to 400 pages. General periodicals, periodicals on entertainment, and human science periodicals had many pages compared with others. 3. The character which was usually used in periodicals was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However periodicals for children were written with only Korean character. 4. The main printers for the periodicals were Hansung Books Co.(漢城圖書株式會社), Taedong Printing Co.(大東印刷株式會社), Changmun-sa(彰文社), and Sunkwang Printing Co.(鮮光印刷株式會社).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