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예숙-
dc.creator김예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적 정신분석학 이후에 발전한 정신분석학 이론 중 하나인 대상관계 이론이 정신역동적 접근이 필요한 여성상담에서 활용 될 수 있는 적절한 이론인가를 검토해보는 것이었다. 여성상담에서는 정신역동적 접근을 요구하는 사례들을 위하여 여성심리를 역동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정신분석학이 필요한데, 우리나라에 널리 알려져 있는 Sigmund Freud의 고전적 정신분석학은 적절한 이론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Freud의 고전적 정신분석학은 이론화 과정에서 가부장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남성중심적 편견이 개입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아버지가 등장하는 오이디프스 시기 이전의 전오이디프스 시기의 어머니와의 관계를 다루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대상관계 이론은 출생 직후부터의 대상관계 즉 일차적인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이론으로서, 여성인 어머니의 영향과 여아가 여성인 어머니와의 대상관계로부터 받는 영향을 밝혀 여성심리를 새롭게 조명해줄 수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관계 이론이 여성상담에 적절하리라는 가설 하에 대상관계 이론과 대상관계적 여성주의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대상관계 이론으로 접근한 상담사례들을 분석 하였다. 이론 고찰의 결과로는 지금까지 여성에게 고유한 것이라고 믿어져온 투과적(permeable)인 자아경계와 매조키즘(masochism)이라는 특성들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대상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여아가 전오이디프스 시기에 동일시한 일차적 양육자가 동성인 어머니여서 어머니로부터 분리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개체화의 결과인 여성의 자아가 투과적(permeable)이 되기 쉽다는 것과,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어머니가 행위자(agent)가 아니기 때문에 여아가 어머니와의 성동일시의 결과로 주체성을 가지기 어렵고 수행자인 아버지를 자아이상으로 삼아 자신을 객체로 여기는 매조키즘(masochism)을 발달시키기 쉽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즉 대상관계 이론은 오이디프스 시기 이전을 다루어 여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게 해주므로, 여성심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해부학적 성차를 중요시여기는 고전적 정신분석학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상담사례 분석의 결과로는 투과적인 자아경계와 매조키즘(masochism)에 대한 대상관계적 여성주의 이론의 이해가 여성내담자를 역동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할 수 있는 것은 자아의 투과성(permeability)과 매조키즘(masochism)을 정신역동적 여성상담을 하는데 쓰는 유용한 틀로 삼자는 것과, 여성상담가의 훈련과정에도 이 틀을 사용하여 여성상담가의 자질을 정의해보자는 것이라고 하겠다.;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object relations theory could be an alternative to Freud's classical psychoanalysis in psychodynamic women's counseling. There are cases which require psychodynamic approch in women's counseling. The classical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 however, is not relevant for women's counseling for two reasons. Firstly, Freud wasn't free from the prejudices of patriarchal society and culture in theorising. Secondly, Freud didn't deal the pre-odipus period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the infant and the mother was very important. Meanwhile the object relation theory which is developed from the classical psychoanalysis concentrates on the pre-odipus period and shows the impact of the mothering. And psychoanalytic feminist theories which utilize the discovery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show the implications of women's mothering for the female child. So this study examines the object relations theories and psychoanalytic feminist theori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object relations theory is relevant for women's counseling. This study also analyses two cases which are approched from the object relations theory in order to see the relevance. The examination of theor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o-called feminine traits, such a s permeable ego boundary and masochism, are formed through the object relations in pre-odipus period. The first love object in pre-odipus period is mother who is female. It is so difficult for a female child to diffrentiate herself from the first love object who is the same sex that she tends to have permeable ego boundary. When she diffrentiate herself from the mother more or less, she finds the mother couldn't be the self ideal because the mother is not the agent in the patriarchal society. So she takes the father who is the agent in the patriarchal society as a self ideal and consider herself as an object. This is the psychological basis of feminine masochism. The analysis of case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n approach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to women's counseling is fruitful since the analysis of permeable ego boundary and feminine masochism gives a deep understanding of female client.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on the ground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One is that the psychodynamic women's counseling could take the analysis of the permeable ego boundary and the feminine masochism as an useful tool. The other is that the analysis of the ego boundary and the masochism of counseler could be a part of the training of counselers who would specialize in women's counse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의 고찰 = 3 A. 고전적 정신분석학과 대상관계 이론 = 3 1. 고전적 정신분석학과 그 비판 = 3 a. Freud의 이론 = 3 b. Harry Guntrip의 비판 = 6 2. 대상관계 이론 = 8 a. Melanie Klein = 8 1) 전오이디프스 시기에서의 유아의 경험 = 9 2) 어머니의 역할 = 12 3) 여성심리적 함의 = 13 b. Margaret S. Mahler = 15 1) 분리-개체화 과정에서의 유아의 경험 = 16 2) 어머니의 역할 = 18 3) 여성심리학 함의 = 19 B. 대상관계 이론과 여성심리 = 23 1. 여성의 투과적(permeable)인 자아경계 = 25 a. Nancy Chodorow = 25 1) 아동의 경험 = 26 2) 어머니의 경험 = 29 3) 어머니 양육의 함의 = 31 4) 여성의 투과적(permeable)인 자아경계의 함의 = 32 2. 여성적 매조키즘(masochism) = 35 a. Jessica Benjamin = 35 1) Freud의 이론과 그 비판 = 36 2) Rapprochement 위기에서의 여아의 경험 = 37 3) 여성적 매조키즘(masochism)의 함의 = 40 Ⅲ. 이론의 적용 = 42 A. 대상관계 이론을 적용한 상담의 사례들 = 42 1. 여성내담자들의 사례들 = 42 a. 사례 1 = 42 1) 사례 = 42 2) 사례분석 : 투과적(permeable)인 자아경계를 가진 여성 = 44 b. 사례 2 = 46 1) 사례 = 46 2) 사례분석 : 매조키즘(masochism)을 가진 여성 = 48 Ⅳ. 논의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8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상담-
dc.subject대상관계-
dc.subjectObject Relations Theory-
dc.subject심리학-
dc.title여성상담에 대한 대상관계 이론의 접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pproch of Object Relations Theory to Women's counseling-
dc.format.pageviii, 5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