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선재-
dc.creator전선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84-
dc.description.abstract한 개인의 출발점이며 아동 및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의 기본 터전이 되는 가정은, 산업화와 현대화로 인해 구조적 체계가 핵가족으로 변화되었고,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가족의 유대 약화 및 가정해체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하나로 소년소녀가장세대가 증가하게 되었다.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들은 청소년기의 보편적 발달과업과 함께, 심리 정서적 지지와 유대의 결핍으로 인한 이중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들의 연령대인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이 재조정되는 시기이므로 이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에 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의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타자의 지지와 수용등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20세 미만의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이며, 소년소녀가장세대가 많은 강서구, 노원구, 강남구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우편으로 우송한 후 5일 후에 본 연구자가 설문지를 회수하는 방법과, 14개구 21개동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사회복지전문요원을 통해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들에게 설문 조사를 하는 두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한 설문지는 총 75 부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RSES)와 박지원에 의해 갭ㄹ되고, 양인숙에 의해 수정된 사회적-지지-척도(Social support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C+ 통계 프로그램으로 처리되었고, 1-test, 일원 변량분석(ANOVA), Duncan test, Pearson r, Multiple-Regression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자아존중감에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는 연령이었으며, 성별, 성적, 수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16세-18세 집단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8.605로, 15세 이하 집단의 26.451, 19세 이상 집단의 26.166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동안 자아존중감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며, 청소년 시기는 자아존중감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 중에서 자아존중감에 차이를 가져온 변수는 동거가족과 소년소녀가장세대가 된 시기이며, 가정내 지위와 원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첫째, 동거가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 또는 모와 동거하는 세대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았다. 이것은 자아존중감의 형성과 유지에 부모의 역할이 크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과 동거하는 부 또는 모는 대부분 질병이나 장애로 경제적인 능력을 상실한 자들이지만 비록 부모가 경제적인 능력이 없어도 부모로부터의 수용과 관심, 존중은 다른 사람의 지지보다 소년 소녀가장세대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소년소녀가장세대가 된 시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보면, 자아존중감 이 뚜렷해지고 안정되는 시기인 10-12세에 소년소녀가장세대가 된 집단(25.608)은 자아존중감이 안정된 이후 소년소녀가장세대가 된 13-15세 집단(28.758)보다 더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3.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모두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중 평가적 지지는 r=.3999(P=.000)로 자아존중감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두번째는 정서적 지지로 r=.354(P=.002)이었고, 물질적 지지가 r=.313(P=.006), 정보적 지지가 r=.276(P=.017) 순서로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로써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보다는 개인이 얼마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느끼는 정도가 자아존중감과 더 많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4. 자아존중감에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를 알아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수 중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성적 하 변수였으며, R^(2) 값은 .08939 이었고 Beta값은 -.2989였다.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변수 중에서는 단독세대 변수와 원인변수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귀식의 R^(2) 값은 .l1324로 약 11%의 설명력를 가졌으며, 단독세대여부 변수의 Beta값은 .2495였다.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서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평가 지지로써, R^(2) 값은 .21338이었고 Beta값은 .4619였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수,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변수,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서 최종적으로 자아존중감에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에 최종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평가적 지지변수였으며, R^(2) 값은 .13801, Beta값 .3714였다. 이 결과 사회적 지지 변수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보다 자아존중감에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소년소녀가장세대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아존중감에 근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Families a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lives of children and teenagers and function as the ground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its structure, the extended family structure has evolved into a nuclear family due to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n the aspects of the family's function, weakened family ties and family separ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prevalent. As one of its phenomena, a number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 are eminently increasing in its number.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re confronted by difficulties of general developmental tasks during their teenage years and a lack of emotional support. A development period in which teenage heads of households's self-esteem is established should be considered as an crucial period. Therefore, the teenage period requires significant recognitions and research studies concerning their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f-esteem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nd it's members in order to advance social welfare service that will assist them to maintain and develop their self-esteem.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research subjects' self-esteem that was derived from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nd also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ir self-esteem.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nd it's members whose age is between 13 to 20 years old and a total of 75 research surveys was conducted for the final research analysis. The methodology which was applied to this research included a method that was derived from the Rosenberg Self-Esteem System(RSES) and Dr. Park, Gi-Won and a method of Social Support Scale which was revised by Dr. Yang, In-Sook. The collected research information was processed by a SPPSSWIN PC+ statistics program,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r and Multiple-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I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riable which affected the subjects' self-esteem was the age factor, and three variables of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income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age group, the average self-esteem value of a group of 16 to 18 year-old-teenagers was 28.605 which was higher than 26.451, the average self-esteem value of a group of 15 years old teenagers or younger and also higher than 26.166 of 19 year old teenagers or older. From the analysis of the result, the teenage period should be recognized as a critical period which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self-esteem teenager heads of households. It implies that there needs to be interventions that could assist teenage heads of households to maintain and develop positive self-esteem. Specially, it signifies that the distinguished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different teenage groups. 2. In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two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ir self-esteem were family members who were living in the same household and the period in which they became household heads. The teenage members' position in their household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First, i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that was caused by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same household, teenagers who were living with one of their parents had the highest self-esteem. The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which examined that the function of par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ir self-esteem.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parents reflect more positively on the teenage heads of households than social support. Second, i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which is caused by the period in which teenagers became heads of their household, the group of teenagers who became family heads between the ages of 10 and 12, the age period in which their self-esteem is stabilized showed much lower self-esteem than the group of teenagers who became family heads in the ages of 13 and 15 of which is the period after they established a stable self-esteem. 3. In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tested a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functional social support, informational, evaluational,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In this contex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hich an individual feels that he or she receives from the society affects the correlation more than the degree of general social support. 4. In the study of variables that have an influence on self-esteem, the variable which had an impact on self-esteem was the evaluational support variable among other variables of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 and the social support. The evaluational support variable had .13801 of R2 value and .3714 of Beta value. For conclusion, the research shows that social support variable affects the self-esteem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nd it's members more than variable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 By providing social support to teenage heads of household and it's member, their self-esteem could be influenced posi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소년소녀 가장세대 = 5 1. 소년소녀가장세대 정의 및 특성 = 5 2. 소년소녀가장세대에 관한 선행 연구 = 7 B. 사회적 지지 = 9 1. 사회적 지지의 정의 = 9 2.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 = 10 C. 자아존중감 = 12 1. 자아존중감의 정의 = 12 2.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 14 3.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4.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17 D. 연구 분석틀 = 20 1. 연구모형 = 20 2. 가설의 설정 = 22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3 C. 연구도구 = 25 D. 자료분석방법 = 28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29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 = 29 B.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 34 C. 소년소녀가장세대 특성과 자아존중감 = 39 D.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 44 Ⅴ. 결론 및 제언 = 52 A. 결론 = 52 B. 제언 = 58 참고문헌 = 61 부록 = 67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576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년소녀가장세대-
dc.subject구성원-
dc.subject자아존중감a 사회적지지-
dc.title소년소녀가장세대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SELF-Esteen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s and It's Members-
dc.format.pagevii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