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정신보건분야에 있어서 학문간 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보건분야에 있어서 학문간 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in Mental Health
Authors
김동하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정신보건분야팀 협력Mental Health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activ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physicians,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nurses)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and examin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in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consist of physicians,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nurses who have been a member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8 general hospitals and 5 private hospitals in Seoul and Kyung-in area.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Oct. 21 and Nov. 8, 1996, an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mail and visit. After distributing total 120 at 16 agencies, 67 at 13 ones returned, but 63 ones were chosen for data.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ere IPS(The Interprofessional Perception Scale) created by Ducanis and Golin, and a scale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developed by Abramson and Mizrahi. The scale is consists of 3 subscales. These 3 subscales are 1)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2)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and 3) the collaboration related to the patient and family. Also, I added several questions for opinions to evaluating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physicians,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nurses) perception of social worker in the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There is highly concerned with the welfare of the patient', 'There is highly ethical as professions', and 'They have good relations with other professions' were the most highly-ranked. But, 'They have a higher status than other professions', and 'They ask other professional advice' were the most low-ranked. 2. In the perception about social workers within interdisciplinary, the perception of physicians, psychologists, and nurses were more low than social workers' ones. Expecially, 'There is competent as professions', 'They understand the capabilities of other profession', and 'They fully utillize the capabilities of other profession' were significant. 3. In the research of opinions to evaluation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total mean score to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was 3.16 in a possible range of 1 to 5. As the setting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ere more higher hospitals in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4.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s'(physicians, psychologists, and nurses)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als' opinions to evaluating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was significant highly(p=.000). 5. I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physicians,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nurs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and 'the collaboration related to the patient and family', physicians was be most highly-perceiv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But, social workers was the most low-perceiv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In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physicians was the most highly-perceived in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But, social workers was the most highly-perceived in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In 'the collaboration related to the patient and family', social workers and psychologists were the more higher than physicians and nurses. 6. As the settings,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was significant(p=.023). But,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and 'the collaboration related to the patient and family' were not significant. 7. In result of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in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hysicians and psychologists were affecting at 'the competence of the collaborators', but social workers and nurses were affecting at 'the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ors'. Above results will be useful to activation of th inter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in mental health.;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간 팀접근에 있어서 정신과 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정신과 간호사들이 팀의 한구성원으로서 사회사업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파악하고, 학문간 팀을 이루는 각각의 전문직(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에 따라 학문간 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현재 우리나라 정신보건 세팅에서 학문간 팀 내의 사회사업가 적응력을 높이고 아울러 학문간 팀 협력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있는 정신보건시설 중 연구자가 임의로 설정한 3개의 지역정신보건센터와 8개의 종합병원, 5개의 개인병원에서 근무하는 정신과 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1996년 10월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였으며, 우편조사와 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16개의 기관에 120부를 배부하여 13개 기관에서 67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완전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63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되는 측정도구로는 학문간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사업가에 대한 타전문직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Ducanis와 Golm이 개발한 "The Interprofessional Perception Scale(IPS)"을 사용하였으며, 전문직에 따라 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Abramson과 Mizrahi가 개발한 협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Abramson과 Mizrahi가 개발한 협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척도는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척도의 구성내용에 관해 살펴보면, 학문간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사업가에 대한 타전문직의 인식도에 관한 척도는 총 15문항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직에 따라 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총 30문항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하위영역으로는 (1)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적인 요인, (2) 팀구성원의 능력적 요인, (3)환자 및 가족의 영향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 두가지 척도 외에도 본 연구자가 작성한 학문간 팀 협력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이 포함되어있다. 수집된 자로의 분석에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t-검증(t-test)과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Correlation),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간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사업가에 대한 타전문직의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사회사업가가 '환자의 복지에 대해 관심이 높다'라는 항목과 '전문가로서 윤리성이 높다', '타전문가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사회사업가의 지위가 타전문가 보다 높다' 와 '때때로 타전문가의 전문적 조언을 요구한다'라는 항목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의사, 임상심리사, 간호사는 사회사업가에 대해 전체적으로 사회사업가 자신보다는 학문간 팀 내에서의 사회사업 전문직에 대해 비교적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15) 특히 '전문가로서의 능력이 있다'와 '타전문가의 전문적 능력을 이해한다', '타전문가의 전문적 능력을 충분히 활용한다'에 대해서는 사회사업가와 다른 전문가 간의 인식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학문간 팀을 이루고 있는 사회사업가와 다른 전문가들이 서로의 전문적 능력인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에서의 학문간 팀 협력은 5점 중 평균 3.16점으로 중간정도의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팅에 따라 학문간 팀의 협력관계를 평가해 본 결과,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의 학문간 팀 협력관계가 병원에서의 학문간 팀 협력관계보다 더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학문간 팀에서 타전문가에 의한 사회사업가에 대한 인식도와 팀의 협력관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학문간 팀에서 팀의 한구성원으로서의 사회사업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팀의 협력관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5. 각 전문직(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에 따라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적인 요인', '팀구성원의 능력적 요인', '환자 및 가족의 영향 요인'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적 요인'에서는 다른 전문가에 비해 의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반면 사회사업가는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팀구성원간의 능력적 요인'에서는 의사의 평균점수가 다 전문가들 보다 가장 낮았고, 사회사업가는 다른 전문가들에 비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환자 및 가족의 영향 요인'에서는 임상심리사와 사회사업가가 거의 비슷한 정도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6. 세팅에 따라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적인 요인', '팀구성원의 능력적 요인', '환자 및 가족의 영향 요인'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팀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23) 차이를 나타냈다. 즉, 병원보다는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의 학문간 팀에서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더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각 전문가(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에 따라 세가지 영향 요인 중 어떤 요인이 학문간 팀의 협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해 본 결과, 의사와 임상심리사는 학문간 팀을 구성하는 전문가들의 능력이 좋으면 팀의 협력관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하며, 사회사업가와 간호사는 팀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팀의 협력관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 및 가족의 영향은 학문간 팀의 협력관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은 현재 우리나라 정신보건분야에서 보다 질 높은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학문간 팀 내의 사회사업가의 적응력을 높이고, 학문간 팀 협력의 활성화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