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엘 리씨츠키의 프로운 공간에서 제시된 유토피아니즘

Title
엘 리씨츠키의 프로운 공간에서 제시된 유토피아니즘
Other Titles
(The) Utopianism presented by the Space of El Lissitzky's Proun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리씨츠키프로운 공간유토피아니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러시아 전위미술가인 엘 리씨츠키(El Lissitzky, 1890-1941)의 1919년부터 1923년까지의 프로운(Proun) 공간에서 제시된 유토피아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운이란 '새로움을 긍정하기 위한 프로젝트'로서 러시아 혁명기에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기 위해 리씨츠키가 제시한 사회적이고 조형적 비젼이다. 특히 조형적 혁신이 혁명의 정신과 동일시 되었던 시대 상황 속에서 '새로운 것'이라는 독특한 프로운의 공간 표현은 새로운 사회를 위한 유토피아적 사상을 표상하는 수단이었다. 유토피아니즘은 미래라는 시간관을 갖지만, 그것은 단순히 현실을 형이상학적으로 초월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하고 그것을 새로운 방향으로 개혁하려는 의지가 내포되어 있다. 러시아 혁명기라는 혼란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러시아 전위미술가들은 개인의 작업을 통해 사회참여를 하고자 했던 유토피아적 열망을 지녔다. 따라서 프로운이 프로젝트라는 것 자체는 '미래 지향적 미술'이지만, 그 미래의 가능성이 '이 세상'을 위한 '현재'의 리얼리티와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토피아니즘의 속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리씨츠키는 양립하기 힘든 절대주의(Suprematism)의 정신성과 구축주의(Constructivism)의 물질성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프로운 공간을 표현하였다. 즉 거기에는 '예술을 위한 예술'의 전형인 절대주의의 이상주의와 '삶으로 예술'을 지향했던 구축주의의 공리주의가 유기적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리씨츠키는 절대주의의 허무적이고 신비적 속성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운의 목적을 사회변혁에 설정하면서 '예술가/구축가'라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예술가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축주의의 '예술가/기술자'라는 개념과 예술과 이데올로기를 일체화시키고자 했던 극단적인 생산주의 양상도 예술가의 자율성인 상상력을 중시함으로써 거부하였다. 이처럼 프로운 공간에서는 두 요소가 극단의 양상을 피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위한 유토피아의 지향이라는 변증법적인 형태로 통합되고 있다. 유토피아니즘을 표상하는 프로운 공간의 조형적 특성은 '상상의 공간', '역동성' 그리고 '건축적 구조'로 파악할 수 있다. 리씨츠키는 수학적인 개념을 근간으로 한 가장 진화된 공간으로서 상상의 공간을 제시하였다. 상상의 공간은 아이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시간이 포함된 4차원적 구조를 갖는 공간인 것이다. 동시에 그것은 우스펜스키(Petr D. Uspensky)의 '초공간'의 영향으로 원근법적 한계에서 벗어난 무한한 우주적 공간이다. 리씨츠키는 혁명으로 완성될 미래의 유토피아적인 이상적 공간을 무한하게 열려진 새로운 고차원적 공간을 통해 표현하였다. 프로운의 형태들은 상상의 공간 속에서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리씨츠키는 역동하는 공간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학의 힘과 혁명 이념의 기반이 되었던 변증법적인 사상을 표상하려 했다. 이것을 위해 그는 정지되고 완성된 형태가 아니라 시지각적인 가변적 형태를 도입하였다. 더우기 시지각적 형태는 관람자를 '시각적 사고'를 하도록 이끌며, 그러한 관람자의 적극적인 지각 활동은 프로운 공간에 또 다른 역동성을 배가시켰다. 이러한 효과들과 나아가 프로운의 3차원의 작업인 '프로운 룸(Proun Room)'에서의 관람자의 신체적인 움직임까지를 포용하는 프로운 공간은 역동하고 진보하는 시대상에 대한 상징인 것이다. 예술의 유용성이 어느 시기보다 강하게 부각되었던 혁명기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리씨츠키는 프로운의 최종적 목표를 건축적 구조에 두었다. 도상학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 프로운의 건축적 형태들은 미래 세계를 도면화한 상징적 기호이다. 더우기 '회화와 건축간의 교차역'으로 제시된 프로운 공간은 현실을 초극하려는 절대주의의 관념주의와 구축주의의 실용주의의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리씨츠키는 선지자와 같은 시각으로 혁명으로 완성될 이상적인 세계를 '상상의 공간' 속에서 찾았으며, 혁명이념에 기반을 둔 변증법적 사상을 '역동성'으로 표현했고, 또한 미래사회를 위한 구상의 구체적 도면을 '건축적 구조'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운의 혁신적 공간표현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그것은 그 시대의 새로운 시대상을 담고 있는 유토피아니즘의 발로인 것이다. 이와 같이 리씨츠키는 프로운의 공간 표현을 통해 새로운 사회 건설을 위해 이상적이고 낙관론적인 시각을 제시하였다.;This thesis is based on a study of Utopianism presented by the Russian Avant-Garde artist, El Lissitzky(1890-1941) from the space of Proun of 1919 to 1923. Proun is a 'project for the affirmation of the new'. It is a plastic and a social vision presented by Lissitzky in purpose of constructing a new world admist the revolutionary period. In particular period of the situation when the plastic renovation was regared in the same light as the ideas of the revolution, Proun's unique way of expressing the space, which is 'the New' was a way to symbolized the Utopian idea for a new society. Although Utopianism holds an idea of time set for the future, it doesn't simply mean to transcend concept of reality metaphysically, but it involves a will to criticize the reality and to renovate it to a new direction. In the chaotic situation of time as the Russian revolution, Russian Avant-Garde artists had Utopian desires to take parts in the society through their individual work. Therefore, Proun as the project itself is 'the future-oriented art', but Proun with its possibility for the future showing a union with the reality of 'the present time' for 'this world', has an attribute of the Utopianism. Lissitzky expressed the Space of Proun by integrating the incompatible spirituality of Suprematism and the materialism of the Constructivism. That is to say, Suprematism's idealism, which is 'art for art's sake's top pattern and Constructivism's utilitarianism's way of pursuing 'art into life' are fused together in a biological form. To overcome nihilistic and mystic attributes of Suprematism, Lissitzky presents an objective and a scientific image of art through 'artist/constructor' concepts as he aims Proun's goal to be the social reform. But, Lissitzky denied the pattern of extreme Productionism which tryed to unify 'artist/engineer' concept of constructivism with the concept united art and ideology by putting a greater emphasis on artist's autonomy, his imagination. As shown in the Space of Proun, two factors are united in a dialectical form, directioning Utopia for a new world as it avoids the extreme poles.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Space of Proun which emblematize the Utopianism can be grasped by 'imaginary space', 'dynamism' and 'architectural structure'. Lissitzky suggested the imaginary space as the most evolved space, which is based on mathmetical concepts. Imaginary space is effected by the Einstein's relative theory and has the fourth dimension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 is an indefinited comsic space beyond perspective limitations through Uspensky's 'hyperspace'. Lissitzky has expressed a future Utopian ideal space which will be completed through a revolution, through a new infinitely opened higher spatail dimension. The shapes of Proun are represented by the dynamical movements in the imaginary space. Lissitzky tried to symbolize a dialectical ideology, which has been the foundation of the force of technological science and the idea of revolution. For this he has adapted an optical changeable structure which are not stationary and incomplete. Moreover, the optical structure guides the viewers to do 'visual thinking' and those viewers' active perceptive action has doubled another dynamism to the Proun Space. Along with above effects, the Space of Proun is the emble to resemble a dynamic and an advancing phase of times which even covers the viewer's physical movement through Proun's third dimentional work, 'Proun Room'. In the years of revolution when art's usefulness was strongly emphasized more than any other period of time, Lissitzky aimed Proun's ultimate goal to be o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Proun's architectural structure which made possible of the icongraphial interpretation, is a symbolic sign which designs the future world. Moreover, presented as an 'interchange station between painting and architecture', the Space of Proun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Suprematism's Idealism that trys to transcend the reality and the Constructivism's Pragmatism, and therefore has made an original sphere of it's own. As a result, Lissitzky with his prophetical vision has found the idealistic world consummated by the revolution through imaginary Space, he expressed out the dialectical ideology based on the revolutionary idea through dynamism, and also showed a detailed mapped desogn of the future society through an architectural structure. As it is, Proun's rennovative Space presenta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social contexts, which is a manifestation of Utopianism representing the new phase of time of that year. As above, Lissitzky presented an optimistic view to build a new society through the Space expression of Prou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