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선-
dc.creator김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3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rstigate whether or not The Project Appreach proposed by Katz and Chard is applicable as a teaching method to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tudied. (1) How can the theme in The Project Approach be selected in relation to the unit ? (2) How can the Project be incorporated to the traditional way of organizing class ? (3) How can the various activites in the Project approach ba integrated into the early childhood progarm at the national level ? The research subject were 32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four or five attending the all-day program at G kindergarten in Seoul. The collection of data was done during the periods starting from September 1994 to April 1996. Not only the journal written by the teachers who ran the Project classes but also the various types at data left by the children in the course of the classes were consulted for the stuly. The observation method was employ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observation was made by both researcher and the afternoon teache who kept the anecdotal records and took the video pictures of the project activities. The selection of theme and analysis of conducted classes were done based on the recorded video tapes, the observation records kept by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s, and the journal of teachers. The five areas proposed as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1992-15)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the Project activities wer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eachers can select a theme of topic as the planned units are proceeded. Or teachers can select the circumstances that take place in the classroom as Projects based or the educational values even though the circumstances are not related to the units. (2) The Project can be proceeded as unit or topic of the whole program during the classroom activities. The Project can be conducted as an activity of the learning center which are related to the unit. The project can also be Proceeded with a them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unit. (3) In the traditional approach, projects are comprised of numerous activites played during free play activity time. It is possible to tell young children about how Project activities are proceeded, and to plan new activities during the planning and recall time. During small or large group time, group discussions and inverstigations were conducted. The Project activities can start from the place which is linked to the learning center, can be expanded to other centers, and can be done in outdoor environment. (4) The curricula which should be delivered in the early childhood program at the national level were integrated into the project activities. Young children can academic skill while they are doing the prject activities.;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이 단원접근법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Katz 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기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1) 프로젝트 접근법에서의 주제는 기존 유치원 생활 주제와의 관련 하에 어떻게 선정되는가? (2) 단원 접근법의 수업 진행과정에서 프로젝트는 어떻게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는가? (3) 프로젝트 접근법에서 여러 활동들은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을 어떻게 통합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G 유치원의 만 4-5세의 종일반 유아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1994년 9월부터 시작하여 1996년 4월까지 실시 하였다. 1995년도에 G 유치원에서 이루어졌던 프로젝트 수업을 기록한 교사들의 일지와 유아들이 수업하면서 남겨진 여러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관찰법을 사용하였고 관찰은 연구자와 오후 담임 교사가 1년동안 실시된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활동을 일화기록 하였으며 비디오 촬영을 함께 하였다. 주제선정과 수업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은 녹화된 비디오 테잎 그리고 연구자와 오후담임 교사와의 관찰 기록, 수업교사의 일지를 분석하였으며, 교육내용의 통합적 활동 분석을 위해서는 교육부고시 1992-15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5개 생활영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접근법에서의 주제선정은 생활주제 안에서 발생한 유아의 흥미나 교실에서 일어난 우연한 상황을 프로젝트 주제선정 기준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주제로 정할 수 있으며 또는 교사가 계획한 생활주제 및 하위주제로도 선정될 수 있다. (2) 수업 진행과정에서 프로젝트는 생활주제 및 하위주제로 프로그램 전체가 프로젝트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생활주제와 연관된 흥미 영역의 한 활동으로 진행될 수 있고 혹은 생활주제와 관련없는 주제가 병행되어 진행될 수 있다. (3) 프로젝트의 운영 시간은 단원 접근법에서의 하루 일과중 자유선택 놀이시간에 주로 많은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계획 및 회상 시간에는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활동 소개 및, 새 활동 계획을 할 수 있으며 소집단, 대집단 시간에는 집단 토의 및 조사활동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프로젝트 활동의 장소로는 주제와 연관된 흥미 영역에서 시작되어 점차 다른 영역으로 확대 될 수 있었으며 실외 환경에서도 가능 하다. (4) 유아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교육 내용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학문적 기술을 통합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표목차 = ⅴ 그림목차 = ⅶ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프로젝트 접근법 = 7 1. 유아교육의 사회.심리적 변화와 프로젝트 접근법 = 7 2.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 9 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정의 = 9 나.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 10 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학습목표 = 12 라.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 13 3.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수방법 = 14 가. 주제 선정 = 14 나. 프로젝트접근법의 주제진행 = 18 B. 프로젝트 접근법과 단원접근법과의 비교 = 25 1. 생활 주제와 주제 선정 = 25 2. 수업의 전개 과정 = 27 3. 통합적 교육 과정의 운영 = 30 C. 관련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6 A. 연구장소 = 36 B. 연구대상 = 37 C. 연구에 함께 참여했던 사람들 = 39 D. 자료수집 = 40 E. 자료분석 = 4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9 A. 주제의 선정 = 49 1. 생활주제의 진행 중에 나타났던 유아의 흥미로부터의 프로젝트 = 50 2. 우연한 상황으로부터의 프로젝트 = 55 3. 생활주제 및 하위주제로서의 프로젝트 = 61 B. 수업의 전개과정 = 67 1. 하루일과에서의 프로젝트 운영 = 67 2. 생활주제와 프로젝트가 함께 전개된 과정 = 70 C. 통합적 교육내용 = 98 Ⅴ. 결론 및 제언 = 117 A. 결론 및 논의 = 117 B. 제언 = 118 참고문헌 = 120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408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과정-
dc.subject운영-
dc.subject프로젝트-
dc.subject접근법-
dc.title유아교육과정 운영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project approach applicable to the operations of kindergarten curriculum-
dc.format.pagex, 12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