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숙경-
dc.creator박숙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애착장애아의 혼란된 부모-아동 관계를 애착 이론의 내적실행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의 견지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애착장애아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을 비교집단 어머니의 내적 실행 모델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모델 유형에 따른 아동의 애착유형과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5세의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어머니 20쌍과 비교집단 아동-어머니 20쌍이었다. 부모의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을 알아보기 위해 Zeanah, Benoit & Barton(1986)에 의해 개발된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 인터뷰(Working Model of Child Interview)'를 번역하여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은 Eyberg와 Robinson(1983)에 의해 고안된 DPICS(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애착 유형은 '낯선 상황(Ainsworth, Blehar, Waters & Wall, 1978)'실험을 통해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 어머니들을 3가지 내적 표상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비교집단의 어머니가 모두 균형된 표상으로 분류된 반면 애착장애집단 어머니는 55%가 비개입된 표상, 45%가 왜곡된 표상으로 분류되어 집단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평가 척도들 중 개입의 강도와 일관성 척도에서 3유형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개입의 강도 척도에서는 비개입된 표상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일관성 척도에서는 왜곡된 표상이 가장 낮은 점 수를 보였다. 2.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유형은 아동의 애착 유형과 체계적으로 연관되었다. 균형된 표상 어머니의 경우 모든 아동이 안정애착으로 분류되었던 반면 비개입된 표상 어머니의 82%는 그 아동이 불안/회피애착으로 분류되었고 왜곡된 표상 어머니는 56%가 비조직/비일관애착, 33%는 불안/저항애착으로 분류되었다. 3.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유형에 따라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아동중심놀이에서 비개입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묘사적 진술, 반영적 진술, 묘사적/반영적 질문을 적게 사용하고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직접명령과 간접명령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장난감 정리하기 과제에서 비개입된 표상과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보다 직접명령, 간접명령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은 아동과의 애착 관계와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 중요한 요인으로서 혼란된 어머니-아동 관계를 이해하는데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하며 아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ordered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RAD') systematically through the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child. In this study, RAD mothers' internal representations of the child were compared with mothers' of control group and association between mothers'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s and children's attachment classifications was examined. Also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by mothers'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s was observ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2-5 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20 attachment disordered dyads and 20 normal dyads of control group. Mothers were interviewed using the Working Model of the Child(Zeanah, Benoit & Barton, 1986) to classify internal representations of child. Children's attachment patterns were assessed by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For observa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Each dyad was seen in DPICS devised by Eyberg and Robinson(l98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RAD group, 55% of mothers were classified as disengaged and 45% classified as distorted, while all mothers of control group were classified as balanced. In rating 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3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s in Intensity of involvement and Coherence. In Intensity of involvement disengaged representations had the lowest score and distorted representations had the lowest score in Coherence. 2. Mothers'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s were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classifications. All mothers of control group whose children were classified as secure were classified as balanced. Among RAD's mothers, by contrast, 82% of mothers classified as disengaged had children classified as anxious-avoidant, 56% of mothers classified as distorted had children classified as disorganized/disoriented and 33% of mothers classified as distorted had children classified as anxious-resistant. 3.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her-child interactions by mothers'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s. In the child-centered play, mothers classified as disengaged used discriptive statement, reflective statement and discriptive-reflective question less than balanced mothers. Mothers classified as distorted used direct command and indirect command more than balanced mothers. In the clean-up task, mothers classified as disengaged and distorted used direct command and indirect command more than balanced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working model of the child is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parent-child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ir interactions. The understanding of parents' working model of the child is thought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disordered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s for specific and successful treat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애착 = 5 1. 관계구조로서의 애착 = 5 2. 애착과 부모-아동 상호작용 = 7 B. 애착과 내적 실행 모델 = 9 1. 내적 실행 모델 = 9 2. 내적 실행 모델의 왜곡 = 11 3. 성인의 내적 실행 모델 = 12 C. 반응성 애착 장애 = 14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실험 연구 절차 = 19 C. 측정 도구 및 평가 = 21 1.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 면접 (부록 1 참조) = 21 2. 부모-아동 상호작용 척도 = 24 3. 낯선 상황 절차 = 26 D. 자료 처리 = 27 Ⅳ. 연구결과 = 28 A. 집단 간 표상 유형 비교 = 28 B. 어머니의 내적 표상 유형과 아동의 애착 유형 = 31 C.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유형에 따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 32 1. 아동중심놀이에서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 32 2. 장난감 정리하기과제에서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 34 Ⅴ. 결론 및 논의 = 36 참고문헌 = 45 부록 = 51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77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애착장애아-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아동-
dc.title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Mother-child Relationships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dc.format.pagevi, 5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