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언주-
dc.creator박언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5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marital relations in the patriarchal family through conflicts over housework responsibilities; everyday housechores, child care, and services to the in-laws, In Korea, a married woman, regardless with whether she has an occupation or not, is asked to perform the roles of a wife, a mother, and a daughter-in law. Given the ideology that married women are houseworkers,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could not escape from the burden of houseworking. Based on the fact that more than 50% of married women are fulltime houusewives, some have argued that the re-evaluation of houseworking can be the untmost strategy to change women's status in social and legal terms. So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if the re-evaluation of housework can change the marital power structure. Could patriarchal power relationship be changed without breaking the structure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To see the possibility of power re-arrangement through analyzing the power process, marital conflicts over houseworking were looked into. Everyday marital conflicts were catched by doing it. It was thought to have the possibility of power re-arrangement if wives' responsive actions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their demands by their husbands and had the meaning of resistance. This study h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arried women having children, in their late 20s to 30s, in the middle class. Cases of employed wives, who partilally broke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were involved. Among the 20 cases, the unemployed are 11 and the employed 9.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class housewives, whether they are working or not, internalize the gender role ideology, husband as a provider and wife as a homemaker. The characteristics of houseworking are: as it is routine and repetituous, low level of satisfaction by doing it. Though it seems to be autonomous, it depends on situations. Moreover, it is entangled with various contraditory tasks. Second, the differences in housewoking experience between employed wives and unemployed wives are as follows. Unemployed wives have higher standards of houseworking than employed wives do. Unemployed wives' houseworking tends to be invisible, as their work is usually done while their husbands are at work. For unemployed wives, as they are restricted to houseworking relatively, their work can be hardly replaced with others'. As a result, unemployed wives are relativley more binded to houseworking and their husbands's demands than employed wives. Third, differences in marital conflicts over everyday housekeeping, child rearing, service to their in-laws etc. and wives' responsive actions are related with differences in their houseworking experience. Unemployed wives hardly lead the conflicts to be explicit and, accordingly, their conflicts remain unresolved. They tend to accept their husbands' demands, not insisting their own and as a result, they strengthen their traditional roles. Employed wives seem to fulfill their own demands other than their husbands' through using various bargaining tactics. In sum, unemployed wives' houseworking cannot be the resource for the re-arrangement of their marital power relationship. As far as sexual division of labour is sustained, marital power relationship can hardly be expected to be changed, The attempt to re-evaluate the houseworking, therefore, without challenge to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has a limited meaning for the change of women's social status.;본 논문은 기혼여성의 일상적인 가사노동 경험을 통해서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의 맥락을 이해해 보려는 것이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은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아내 어머니,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요구 받는다. 사회적으로 '여성은 가사전담자'라는 이데올로기가 보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은 취업을 하더라도 가사 노동의 짐을 떨쳐버리기 어렵다. 이러한 여성의 삶이 갖는 의미를 가부장제라는 권력과의 관계 속에서 조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논의는 여러 측면에서 시도되었다. 가사노동은 취업여성의 이중고로서 여성에게 짐이 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가사노동의 가치 재평가 시도를 통해 가사노동이 가치있는 것으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여성의 취업이 어려운 현실에서 전업주부의 사회적 법적 지위 상승을 낳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가사노동의 재평가가 부부권력관계의 불평등을 재편할 가능성이 있는가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로 제기되어야 한다. 이는 성별분업의 틀에 도전하지 않고 가부장제 권력이 변화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연결된다. 본 연구는 가사전담자로서의 비취업여성과 생계부양자인 남성으로 구성된 가족의 부부관계가 평등한 관계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부부 권력관계의 재편 가능성을 권력과정을 통해서 보기 위해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과정을 살펴보았다. 가사노동은 부인의 입장에서 부부의 일상적인 갈등을 포착할 수 있는 지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부갈등과정에서 부인의 대응행동이 남편의 요구와 다른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결과를 낳는 저항의 의미를 가질 경우 불평등한 부부권력관계 재편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녀가 있고 연령이 20대 후반에서 30대에 이르는 중산층 기혼여성들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연구대상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성별역할 분담에 입각한 여성의 가사노동 경험이 부부관계를 평등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연구목적에 좀 더 충실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성별분업에 변화를 보이는 취업주부를 함께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총 20사례 중에서 비취업은 11사례, 취업은 9사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주부들의 가사노동 경험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가사노동 수행경험 안에서 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의 문제와 부부갈등 상황에서의 부인의 대응행동은 어떠한가? 부인의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들의 가사노동 경험의 공통점은 그들이 '여성은 가사전담자'라는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사노동의 특징은 단조롭고 반복적인 일이어서 수행을 통한 만족감이 낮다는 점, 자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상황구속적이라는 점, 여러가지 모순된 작업이 뒤엉켜 있다는 점이다. 둘째, 기혼 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사노동 경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비취업여성의 경우 취업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높은 표준을 갖는다. 남편과의 관계에서 볼 때, 비취업여성의 경우 가사노동 수행이 취업여성에 비해서 비가시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취업여성의 경우 취업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사노동에 구속당하는 경향이 있어서 타인과 대체하기 어렵다. 결국, 비취업여성은 취업주부와 비교할 때 더욱 가사노동에 구속당하고, 남편의 요구에 구속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적인 집안일, 자녀양육, 시가에 대한 봉사 등,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과 대응행동의 차이는 취업여부에 따른 가사노동 경험의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취업여성의 경우 취업여성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공개적인 갈등으로 발전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갈등도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취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요구와 다른 자신의 요구를 주장하기보다는 남편의 요구를 자신의 요구로 수용하거나 자신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남편의 요구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다. 취업주부의 경우 자신의 요구를 분명하게 가지고 있고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어느 정도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전업주부의 가사노동 경험 그 자체는 불평등한 부부권력관계를 재편시킬 근거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 성별분업이 유지되는 가운데 부부권력관계의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성별분업에 도전하지 않는 가사노동의 가치 재평가 시도는 여성의 지위 변화와 관련해서 제한된 의미를 가질 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논문의 구성 = 4 Ⅱ. 이론적 논의 = 6 1. 가사노동 = 6 1-1. 가사노동의 가치 = 6 1-2. 가사노동(주부역할)의 범위와 성격 = 8 1-3. 가사노동의 표준 = 9 2. 권력관계로서의 부부관계 = 12 2-1. 국내 선행연구 검토 = 12 2-2. 본 연구의 시각 = 19 3. 연구문제 및 분석틀 = 24 3-1. 연구문제 = 24 3-2. 분석틀 = 25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28 1. 연구대상 = 28 2. 자료수집 및 분석 = 30 Ⅳ. 사례 분석 = 33 A. 가사노동 경험 = 33 1.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경험의 공통점 = 34 1-1. 가사노동의 성격 = 34 1-1-1. 단조로움, 낮은 만족감 = 34 1-1-2. 자율성이라는 허구 = 36 1-1-3. 모순되는 작업들 = 37 1-2. '여성은 가사전담자'라는 이데올로기 = 38 2.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경험의 차이점 = 40 2-1. 가사노동 수행 표준 = 40 2-2. 가시성 = 46 2-3. 대체 용이성 = 47 3. 소결 = 50 B.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과 부인의 대응행동 = 52 1. 비취업 여성 = 53 1-1. 일상적인 집안일 = 53 1-2. 자녀 양육 = 62 1-3. 시가에 대한 봉사 = 67 2. 취업 여성 = 73 2-1. 일상적인 집안일 = 73 2-2. 자녀 양육 = 81 2-3. 시가에 대한 봉사 = 85 3. 소결 = 92 Ⅴ. 결론 = 98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254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사노동-
dc.subject부부갈등-
dc.subject가사-
dc.subject여성학-
dc.title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rital Conflicts over Houseworking-
dc.format.pageviiii, 11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