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성연-
dc.creator임성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80-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고등교육은 해방이후 양적, 질적 팽창의 대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이루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많은 부작용과 문제점을 노정 시키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부터 국민 한 사람 한사람의 삶 속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로 자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부작용과 각종 문제점을 바라보며 과연 우리 사회가 고등교육으로부터 얻는 득과 실 중 어느 쪽이 더 큰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은 고등교육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요구하고, 본 연구는 가능한 한 모든 종류의 비용과 수익을 고려한 고등교육의 비용과 수익 규모를 추정하고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을 측정하여, 이를 선행 연구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고등교육을 비용(cost)-수익(benefit) 분석에 입각하여 명확하게 분석하여 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자료, 통계 자료, 신문 기사 등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모형에 의해 각각 비용과 수익을 추정하고, 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Gauss Program에 의한 반복계산으로 비용과 수익을 일치시키는 내부수익률을 구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한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률과 본 연구의 비용-수익 모형에 의하여 구하여진 고등교육의 사회적 수익률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이후의 한국 고등교육의 투자수익률은 대개 10-14 % 정도로 나타나, 투자 결정의 비교 준거가 되는 대체적 할인율인 시장이자율과 비교할 때 고등교육은 대체로 수익성이 보장되는 투자대상이 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교육의 비용에 선행 연구에서와 같은 고등교육 자체의 직접, 간접 교육비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이 유발한 중·고등학생의 과외비, 재수생의 직접, 간접 교육비까지를 포함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1989년 고등교육의 투자 수익률은 1.3-5.5%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무려 6.1-9.3% 가량 낮은 수치이며, 시중은행의 금리에도 훨씬 못미치는 수준으로 따라서 고등교육은 사회적으로 수익성이 보장되는 투자 대상이라 할 수 없다. 셋째, 본 연구가 고려한 교육의 다양한 비용이나 수익은 수치화 하는 데에 명백한 한계가 있다. 이를 고려하면 교육의 투자수익률 분석의 선행연구들은 물론 본 연구의 투자수익률 분석은 다양한 교육의 비용과 수익 요소 중 수치화가 가능한 일부분만을 포함한 부분적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익률만을 준거로 교육의 경제적 효과나 투자의 기준을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다양한 경제적/비경제적, 투자적/소비적, 금전적/비금전적 측면의 다양한 비용과 수익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모형이 개발되어, 이를 근거로 경제적 분석이 이루어져할 것이다. 둘째, 과외비와 재수생 비용은 그 규모로 보나 사회적, 경제적 효과로 보나 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조사가 정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비용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higher education of Korea has produced the marvelous achievements, passing the popularization cour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after release. Nevertheless, it is exposing many side effects and points at issues today, and this came to be stand as the urgent question to have to be solved without a moment's delay in the life of each one of people from the national dimension. Watching this side effect and every kind of point at issue, we get to have the question, "Which side is bigger out of the gain and loss that our society obtains from the higher education?" This question requires the systematic analysis about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analyze the higher education of Korea of today definitely on the basis of the cost-benefit analysis by estimating the cost and return scale of higher education to consider every kind of cost and benefits as far as possible and measuring the rate of social returns of higher education and trying to compare this with the studies precedent. As for the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found the internal rate of returns, to square cost and benefit with the iterative calculation based on Gauss program by estimating cost and benefit by the model of this study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study data precedent,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newspaper article etc. and inputting this in computer. The result to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rate of social returns of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precedent and the rate of social returns of higher education found by the model of cost-benefi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vestment returns of higher education of Korea after 1980s appeared as 10 - 14 % or so for the most part. So, in comparing it with the interest rate of market which is the general discount rate to be the comparative standard referred to for investment decision,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education has been the investment object that the profitability is guaranteed gener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to have analyzed after including the extracurricular expen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ducational expenses of students who failed a college-entrance exam and has been cramming to try again that the higher education induced as well as the direct and indirect educational expenses of higher education, itself as is in the study precedent about the expense of higher education, the investment returns of higher education in 1989 appeared as 1.3 - 5.5 %, In comparing this with the result of study precedent, it is the numerical value that about 6.1 - 9.3 % is low, and it is at the level to fall behind even the interest of city bank by far. Thus, the higher education may not be said as the investment object that the profitability is guaranteed socially. Third, there is the definite limit in making the diverse cost or earnings of education that this study considered into numerical value. To consider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the analysis of investment retur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studies precedent of the analysis of investment returns of education is the partial model to include only a part that making into numerical value is possible out of the cost and earning elements of diverse educations. Thus, it is not desirable to decide the economic, effect or the investment standard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only the rate of investment returns. The suggestion points to be obtain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arranged as follow: First, the economic analysis will have to be made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new analysis model to be able to consider diverse costs and benefits of the diverse economic / non economic / investment - characteristic / consumptive, and monetary/non monetary sides of education. Second, about the extracurricular cost and the cost for the students who failed a college-entrance exam and has been cramming to try again, the credible survey on this will have to be made periodically and systematic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scale or the social effect and economic effect. And, the study on the economic effect of this cost will have to be made continuously als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5 C. 연구의 방법 및 자료 분석 = 5 D.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교육의 수익 = 9 1. 고등교육의 이념과 기능 = 9 2. 교육 경제와 인간 자본론 = 17 B. 교육의 비용 = 26 1. 교육비의 개념과 분류 = 26 Ⅲ. 비용-수익 모형 = 33 A. 고등교육의 비용 = 33 1. 명시적 비용(explicit cost) = 34 2. 묵시적 비용(implicit cost) = 42 3. 고등교육의 총비용 = 45 B. 고등교육의 수익 = 48 1. 투자적 수익 = 49 2. 소비적 수익 = 53 3. 외부효과로 인한 수익 = 55 4. 고등교육의 총수익 = 56 Ⅳ. 비용-수익 분석 = 57 A. 선행 연구 결과 = 58 B. 비용-수익 분석 = 63 Ⅴ. 요약 및 결론 = 69 부표 = 74 참고문헌 = 8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51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고등교육-
dc.subject비용-
dc.subjectcost-
dc.subject수익-
dc.subjectbenefit-
dc.title한국 고등교육의 비용(cost)-수익(benefit)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st-Benefit Analysis of the Higher Education of Korea-
dc.format.pageviii, 8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