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감정노동의 개념화를 위한 일 연구

Title
감정노동의 개념화를 위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otional Labour : Criticism of western logocentrist notion of labour
Authors
고미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감정노동개념화이성중심노동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노동개념이 여성의 노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부적합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어, 그것이 경제중심적일 뿐만 아니라 이성중심적이라는 점을 비판하고자 한다. 즉 한국여성의 노동에는 유교적 가치체계의 원리가 작용하는 가족영역의 특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따른 노동의 독특한 구성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구 자본주의의 이성중심적 노동개념으로는 올바로 분석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존의 이성중심적 노동개념을 상이한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노동개념을 그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 위치지우고, 감정노동의 노동으로서의 성격을 증명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강제'라는 기준을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현재의 노동개념은 자본주의 시기의 것이라는 점과, 서구의 역사 속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이성중심주의의 한계를 갖는다는 점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이분법 속에는 감정의 노동 능력이 배제되었다. 반면에 유교적 세계관에서는 인간본성에 대한 규정이 보다 통합적이기 때문에 노동주체에 대한 이해가 다르며, 마음수양의 개념으로 인해 감정노동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여성의 성역할 속에서는 보살핌의 윤리학이라는 상이한 인식론이 가능하고 이는 여성이 수행하는 보살핌의 행위들에 기초한다. 즉 이성중심적이지 않은 인식론적 특 속에서는 감정능력이 인간의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능력이 노동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것이 사회적 가치를 담고 있고 사회적 강제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다. 유교사회에서 그리고 여성역할 속에서는 이 두가지 기준에 의해 감정노동이 성립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감정노동의 개념은 이와같은 사회구조적 강제 속에서 행해지는 자기 감정에 대한 의도적인 관리의 노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현재의 한국여성의 특수한 현실은 감정노동을 하게끔 하는 조건들을 갖고 있고 이 점은 여성이 실제로 수행하는 '노동'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이로 인한 억압을 분석하기 위해 감정노동이 유의미한 개념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Starting with the problematic that existing concept of labour is inadequate for analysing women's labour, our study intends to criticize not only its economic but also its logocentrist character, That is, Korean women's labour takes place in the area of family where the principles of Confucian values system operates, and on the other hand is composed of a specific mode of work derived from the woman's role, which make it difficult to be analysed by a reason-centered labour concept based on western capitalism. Thus our aim was to criticize this reason-centered labour concept in different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emotional labour. First, we set up the criteria of 'social value' and 'social coercion' needed not only to locate existing labour concept in its socio-historical context, but also to provide a criteria confirming emotional labour as a real labour. So we showed that labour concept of our times is one of capitalist period, limited by a logocentrism manifested consistently during the western history. It follows that in the dichotomy of intellectual labour and manual labour, there is no place for emotional labour power. In contrast, the Confucian world view has a more integral definition of human nature as to comprehend his character as a subject of labour differently, and on the same time the notion of moral cultivation shows for a possibility of emotional labour. Either in the woman's role, there exist a different epistemology, namely a feminist ethics which arise from the caring behaviours ascribed to women. That means that in epistemological frameworks which are not reason-centered, emotional capacities may be important human capacities. And if we can talk of this emotional capacity as a labour, it's because it embodies social values and is performed under social coercions. In the Confucian society and in the woman's role, emotional labour takes place under these two criteria.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ur may thus be defined as the efforts of intentional emotional management done under socio-structural coercion. Finally, the specific reality of actual Korean women includes conditions that establishes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ur, and this in turn shows that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labours' performed by women, and also to analyse the oppression caused by it,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ur can be a useful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