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혜영-
dc.creator홍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23-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was to exam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to find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perfectionism as a personality factor and self-efficacy as a cognitive factor on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416; male 196, female 220. The measurement for perfectionism wa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developed by Hewitt & Flett(1991) and translated by Han, Ki Yeon(1993). The measurement for self-efficacy was Self-Efficacy Scale(SES) developed by Shere, M., Maddux et al(1982), which was transl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for depression wa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which was translated by Lee, Eun Young(l981).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wo-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PS were processed by factor analysis, so divided into three factors - self oriented perfectionism, other 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t was found that females were higher in other oriented perfectionism than males and low grade students than high grade students. 2. SES were processed by factor analysis, so divided into two factors -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and it was found that males were higher in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total self-efficacy than females. .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total self-efficacy. 3. Females were higher depression than males, and low grade students than high grade students.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perfectionism, except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er perfectionism was, the higher depression was. But there was no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t may be supposed that self oriented perfectionism is a healthy aspect.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t means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is, lower depression is. 5. The depressed were higher other oriented perfectionism, total perfectionism and lower self-efficacy than the nondepressed. 6.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son who has high perfectionism and low self-efficacy feels the strongest depression and the person who has low perfectionism and high self-efficacy feels the weakest depression. 7. General self-efficac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depre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ind the facts that according to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the level of depression is varied, and that perfectionism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and has a adaptive aspect besides maladaptive aspect.;본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 및 자기효능감과 우울 수준간의 관계를 알아 보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 성향과 인지적 측면인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혀 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196명의 남자 대학생과 220명의 여자 대학생, 총 4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벽주의 성향의 측정도구로는 한기연(1993)이 번안한 Hewitt과 Flett(1991)의 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을 요인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수준의 측정도구로는 Shere,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와 Rogers, R. W.(1982)등의 SES (Self-Efficacy Scale)를 번안, 요인분석을 하여 사용하였다. 우울 수준의 측정도구로는 Beck(1978)의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은영(198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요인분석, Pearson상관계수, 피험자간 이원 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벽주의 성향척도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한 완벽주의 등의 3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감척도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라는 2요인으로 구분 되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전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우울 수준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더 우울하였다. 4.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으로 부과한 완벽주의 성향, 그리고 전체적 완벽주의 성향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으로 부과한 완벽주의 성향, 그리고 전체적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 수록 더 우울함이 밝혀 졌다. 그러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은 유의하지 않은 부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우울과 관련이 없는 건강한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는 완벽주의 성향이 적응적 측면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자기효능감 각 하위요인과 우울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자기효능감이 낮을 수록 더 우울함이 밝혀 졌다. 5. 우울한 집단이 우울하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은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 전체적 완벽주의 성향 등을 가지고 있고 더 낮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전체적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우울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간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임으로써 완벽주의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가장 우울하고, 완벽주의 성향이 낮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가장 덜 우울함이 밝혀졌다. 7.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우울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역동적인 관계에 따라 우울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완벽주의 성향이 다차원적 개념이며 부적응적 측면 이외에 적응적 측면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8 A. 완벽주의 = 8 B. 자기 효능감 = 18 C. 우울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측정 도구 = 25 C. 조사 절차 = 29 D. 자료 처리 = 29 Ⅳ. 결과 및 해석 = 31 A. 완벽주의 척도의 요인분석 = 31 B. 성별, 학년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 수준 = 33 C. 자기효능감 척도의 요인분석 = 35 D.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 수준 = 37 E. 성별, 학년에 따른 우울 수준 = 38 F.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 39 Ⅴ. 결론 및 논의 = 47 참고문헌 = 53 부록 = 60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15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완벽주의성향-
dc.subject자기효능감-
dc.subject우울-
dc.subject심리학-
dc.title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dc.format.pagevi , 7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