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5 Download: 0

1930년대 초 함경도 지방의 탄광노동운동

Title
1930년대 초 함경도 지방의 탄광노동운동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coal mining-labor movements in Hamkyung province in the early 1930's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1930년대초함경도지방탄광노동운동노동운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primarily analyzes the plunderous process that Japan contrived to dominate over the mining industry in Chosun and clarifies a character of labor movements in Chosu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miner's protest. Japan, as an underdeveloped capitalist country, had suffered from a keenly economic disturbance during the Great Depression. Therefore, Japan contriving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oncentrated the capital and let Japanese monopolic capitialists and enterprises make inroad into Chosun markets. Whereas Japanese imperialists exploited Chosun as a food provider in the 1920's, in the 1930's she exerted herself to develop the munisions industry in Chosun in order to both cope with the Depression and prepare the aggressive wars. The main target of this industrialization policy was Hamkyung province. Hamkyung province(咸鏡道) had two benefits to satisfy Japanese imperialist ambition: abundant underground resources for militry aids such as coal, iron, etc. and an important traffic place both between Japan and Chosun and between Chosun and Manchuria as well as China. As a consequence of Japanese exploit of Hamkyung province to acquire the militry gains, Hamkyung experienced the tense concentration of laborers and vigorous labor movements. Although there were several coal mining regions such as Pyungyang province, Hwanghae province and Kangwon province, the reason that active labor movements were concentrated on Hamkyung was entirely derived from the class conscienceness in this area. Since the 1st march Movements(三一運動), labor movements in Chosun that matured for the 1920's reached the highest point during the Great Depression. Chosun laborers resisted through frequent strikes and disputes against heavier economic burden imposed by imperial Japan and Japanese monopolists in collusion with imperialism to get over the severe economic recession. While labor movements arose fiercely and frequently during the Depression, there was no exception in coal mining industry that Japan tensely squeezed. The Labor movement at Shinheung, Hamkyung province gave the good example in this period, which gave up the passive tactics to be more radicalized. The early 1930's was in dual turbulences, that is, in addition to economic hardship, political leadership of mass movements was absent as a result of dissolution of Shinkanhea(新幹會) trying to the cooperation of right and left wings. Thus, the political vaccum of leadership needed new road and it led the underground and socialist activities through the 1930's. Accordingly, labor movemets of the coal mining industry in the early 1930's showed the transitional stage between in the 1920's when mass movements developed legitimately and in the 1930's when underground and socialist activieties were in the progress.;이 논문은 1930년대 초 일제가 조선의 풍부한 자원을 약탈하기 위하여 광업을 지배하는 과정을 분석하였고 일제의 광업지배에 대항한 탄광노동자를 중심으로 일제하 노동운동의 한 단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후진 자본주의국이었던 일제는 대공황을 맞자 그 피해가 심각하였다. 일본은 공황을 벗어나기 위한 자구책으로 자본을 집중시키고, 일본독점자본의 조선진출을 유도하였다. 일제는 1920년대 조선을 식량공급기지로서 이용하는 정책을 썼으나 공황탈출과 침략전쟁 수행을 위해, 1930년대에는 군수산업을 육성하는 공업화정책으로 전환하였다. 일제의 공업화정책 대상 지역은 함경도 지방이었다. 함경도 지방은 석탄, 철 등 군사전략적 지하자원이 풍부하였고, 일본과 해상수송이 편리한데다 만주·중국과도 가까왔기 때문에 일제의 침략 목적에 합당한 군수공업 지역으로 지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개발되기 시작한 함경도 지방에는 노동자가 집중되었고, 노동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전국의 탄광산지가 함경도를 비롯한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지역에 널려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산업에서 노동운동이 함경도 지역에 집중된 것은 공업화의 영향을 받아 이 지역의 계급적 성향이 발달하였기 때문이었다. 일제하 노동운동은 1919년 3·1운동 이후, 1920년대 꾸준히 발전하여 1929년부터 시작된 세계대공황의 경제적 위기 속에서 한층 고양되었다. 일제는 공황을 벗어나기 위해 노동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전가시켰고, 노동자는 일제와 그 결탁 세력인 독점자본에 대항해서, 활발한 파업과 각종 쟁의를 일으켰다. 이 시기의 노동운동은 각 방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일제의 자원 약탈이 첨예하게 이루어졌던 탄광업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공황기에 있었던 대표적 노동운동 중 하나인 1930년 5월 신흥의 함흥탄광파업은 공황기 노동운동이 이전의 소극적 운동의 형식을 버리고 폭력화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동운동이 집중되었던 1930년대 초는 경제적으로 위기에 처한 상황이면서, 정치적으로도 신간회해소로 인해, 좌·우합작이 와해되어, 각종 대중운동의 지도선이 상실된 상태였다. 이러한 정치적 공백기에 각 세력들은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했으며, 공황기 탄광노동운동은 1930년 중반 이후 노동운동이 지하화, 적색화되는 중간 과정에 발생한 사건이었다. 1930년대 초의 탄광노동운동은 1920년대 성장한 대중적 역량이 국내 정치세력의 와해 이후 지하조직화되는 변화기에 방향 모색을 위한 방안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