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동작에 따른 에어로빅복의 국소 변형에 관한 연구

Title
동작에 따른 에어로빅복의 국소 변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ffect of motion on the demensional change of aerobic wear
Authors
주경미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에어로빅복동작국소의류직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용 에어로빅복의 착용상태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동작이 용이한 에어로빅복을 설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설문 조사에서 하반신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와 문제점을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로는 형태면에서 파임 정도가 중간 형태인 원피스를 선호하였고, 불편한 디자인으로는 엉덩이가 많이 파인 원피스를 지적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엉덩이 라인이 당겨 올라가고, 앞가랑이가 꼭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에 변형을 주어 실험복을 제작하고, 이에 따라 30대 여성 9명으로 국소 신장량, 위치 변화량, 착용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국소 신장량에서 가로 대 세로의 신장 변형률의 결과로는 소재의 앞면에서 스판덱스가, 뒷면에서는 면스판이 비교적 낮은 신장 변형률을 가져왔으며, 형태에서는 엉덩이 부분을 비교적 많이 덮은 실험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선(/)대 사선(\)의 신장 변형률에서는 앞면에서 사선(\)방향으로, 뒷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신장 되었고, 소재에서는 스판덱스가 신장변형률이 적었고, 형태는 엉덩이 부분을 많이 덮은 실험복이 적게 나타났다. 위치변화량은 피험자 모두에게서 뒷선>옆선>앞선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으며, 소재에서는 스판덱스가 크게 나타났고, 형태에서는 엉덩이 부분이 가장 많이 파인 실험복이 크게 나타났다. 착용감 테스트에서 소재는 면스판보다 스판덱스를 형태에서는 엉덩이 부분을 비교적 많이 덮은 실험복을 선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소재면에서 스판덱스가, 형태면에서는 엉덩이를 비교적 많이 덮은 원피스가 신장변형률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시판 중인 에어로빅복이 심미성만 강조되어 엉덩이 부분과 앞가랑이 부분이 많이 파였는데, 이런 형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엉덩이선이 둔부의 최돌출점을 지나 엉덩이 부분을 많이 가리는 형태로, 앞가랑이선도 앞부분이 많이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겠으며 소재는 면스판보다는 스판덱스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엉덩이가 큰 사람의 경우에도 L싸이즈를 많이 착용하므로써 엉덩이 부분을 가리는 면적이 적어져 당겨 올라가므로, 이런 문제점을 고려하여 XL를 작용하거나 하반신을 많이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옷이 따로 제작되므로서 기능적이고 동작 적응에 적합한 에어로빅복으로 발전되어야 하겠다.;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aerobic wear with comfort by finding out the situation of wearness and the point of improvement in woman's aerobic wear. To do this research, the survey of questionaire was carried out to search preferences and problems on the design of front and back for the underneath of body. On the basis of the preference in the questionaire, the type of form was adjusted to classify body into fatty, normal and thin types. The aerobic wear was mesaured for partial elasticity, the degree of position change and the test of comfort. In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aerobic wear with middle level covering hip was preferred and the wear with high level covering hip was not prefered. General problems on the aerobic wear were the pulling buttock line up and the tightness of thigh toward inside.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questionaire, experimental aerobic wear was manufactured with the adjustment form. The 9 women in the 30's years of age were tested for partial elasticity, the level of position change and the test of comfort. In the test of partial elasticity, the rate of the elasticity for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was tested. In material, the front of spandex and the back of cotton spandex were low in the rate of elasticity and the aerobic ware covering hip with large portion showed the lowest rate of elasticity. In the rate of elasticity with slope(/) and slope(\), the front was increased toward slope(\) and the back slope(/) in elasticity, The rate of elasticity was low in spandex on material, and in aerobic wear with exposing hip on form. The levels of position change showed high in back, side and front in sequence. Spandex on material, exposing hip on form was high for the rate of position change. In the test of comfort, it was preferred in the spandex rather than cotton spandex on material and in the enclosing hip rather than exposing hip on form. In conclusions, the rate of elasticity was low in spandex on material and the wear enclosing hip on form. Current aerobic wear in market has the form of the low level of covered front and back. This type of the wear was just emphasized on appearence. It is necessary to solve this problem. Especially, uncomfortable wear for large hip type needs to improve for more functional and suitable, 2nd for adjustment of moving in aerobic we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