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컴퓨터와 텔레비전의 이용동기 및 이용행태 차이에 관한 연구

Title
컴퓨터와 텔레비전의 이용동기 및 이용행태 차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PC and Television : focusing on there Use Motivation and Use Pattern
Authors
趙誠娥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컴퓨터텔레비전이용동기이용행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발달된 디지털 기술과 컴퓨터·커뮤니케이션의 결합은 정보화 시대의 촉진을 가져왔으며, 이와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은 사회 각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즉 발달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뉴미디어는 상호작용성이 강조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쌍방향 미디어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정보를 자원화하고, 수용자의 정보욕구를 다양화하며 생활을 정보화시켜주는 등의 새로운 사회적 수요욕구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 컴퓨터는 단순한 정보처리 기술도구로서가 아니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각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공학적 차원이나 사회심리학적 차원에서 기술적 보고나 이용 실태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컴퓨터 이용자와 입장에서 이용 욕구 및 동기, 충족연구와 같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이용하는 수용자와 일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이용하는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동기와 이용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미디어 이용동기와 이용형태간의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하기 위해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모델은 미디어를 이용하는 수용자의 욕구 및 동기가 미디어 이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미디어 이용을 통해 수용자는 충족이나 불충족을 받게 된다는 Rosengren의 이용과 충족 접근방법 파라다임을 기초로 일방향성 미디어인 텔레비전 수용자와 쌍방향성 미디어인 컴퓨터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이용 형태를 비교하는 방향으로 고안되었다. 본 논문은 이같은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설계하였으며, 쌍방향 컴퓨터와 텔레비전의 이용동기를 비교하여 측정하기 위해 쌍방향 컴퓨터를 이용하는 수용자의 이용 동기에 대한 사전 조사와 기존 매스 미디어 이용연구에서 연구된 미디어 이용 동기 요인을 바탕으로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동기를 정서적 동기와 기능적 동기로 구별하여 기능적 동기는 일반적·전문적 정보 획득 동기와 정보 처리 동기로 정서적 동기는 가벼운 오락물 추구 동기와 참여적 오락물 추구 동기로 나누어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미디어 이용형태는 미디어 이용시간과 이용될 프로그램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이용 시간과 미디어 이용 동기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컴퓨터 이용시간은 전문적 정보획득 동기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그렇지 못한 텔레비전 이용시간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오락적 동기와 미디어 이용시간은 미디어의 속성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둘째, 이용된 프로그램 유형과 미디어 이용 동기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정보적 동기에 있어서 전문적 정보 획득 동기는 컴퓨터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오락적 동기에 있어서도 참여적 오락물 추구 동기는 컴퓨터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컴퓨터 공학적인 기술 연구나 멀티미디어가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그 이용실태 위주의 연구로 체계적인 멀티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단편적으로나마 쌍방향 미디어 컴퓨터와 기존의 매스 미디어인 텔레비전 이용동기와 이용형태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보았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 텔레비전 이용 동기 요인의 41%는 오락적 동기를 설명하고 있으며, 18% 정도만이 정보적 동기를 설명해 주고 있다. 반면에 컴퓨터는 전체변량의 24%가 정보적 동기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38% 정도가 오락적 동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컴퓨터에 대한 연구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Developed digital technique and the convergence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brought the promotion of informatizatio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new communication technique has caused much change about communication phenomena of each field of society. That is, in the developed multi media environment, new media comes to appear as the two-way communication media that the interaction was emphasized. As informed the computer has been considered as the simple, one-way technique instrument of handling information but as the two-way communication media. Nonetheless, much research effort about the media has been made on its scientific aspect rather than on its sociopsychological issues.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erences between PC and TV, in term of media motivation and uses.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medi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se motivation and use patterns of media. So as to make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motivation and the use patterns of media more clear, this study trie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ward the direction to compare the use motivation and the use patterns of audience of television and P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Firstly, compared the use motivation of PC and television, this study assumed it as the emotional and the functional ones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pilot study. In addition, the media use patterns was examined by the amount of time for the media use and the type of used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of my survey are as follow: First, between the time of media use and the motivation of media use, the following result appeared. The time of computer us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otivation of profes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I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time of television use. While the entertainment motivation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ime of computer or television use. Secondly, the motivation of profes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hows the positive difference depending on what is the type of used program of computer or television. The degree of motivation of seeking participant entertainment program are also varied due to the type of used program of computer or telev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