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호영-
dc.creator임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03-
dc.description.abstractOur civilization system becomes convienient thanks to redical change of science of technology, high information, and process of software, but human beings are gradually isolated and uniformed, which is inhumane phenomena. Environmental design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hat i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havior and physical environment. Environmental design in post-industrial society takes complicated human heart as an object, and there is a gap between unconscious human behavior and intuitive designing ability and has reached its limit. Accordingly, recent design approach, general flow or style of design thought have a tendency to avoid the approach methods through designing style creation which is depend too much on designer's subjective intuition ability, and to pursue human-centerd approach methods which is based on human's basic desire and value standard. Accordingly, the study o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or aesthetic information system is estimated as a very progressive and innovative design attitude and the interest in them is on the increase. Also, to choose a pedestrian space as a designing space in this study stems from human alienation caused by a quick urban expansion and an automobile life. Human beings are being threatened by densed and high-storied buildings and cars, and not securing a fresh life space. Therefore, when the city is viewed as a space which satisty various citizens's desires and is a creative spac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make up that urban scenery, the functional aspects of street space should be considered with its aesthetic aspects, and human being's life quality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uggest a new progress of design study and a possibility as materials of a design plan and evaluation by showing that the communication which systematizes in form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al design study is possible, and present a model of build-environment which can be unified into human being's environmental system. To achieve this goal, I made progress as below. 1. I clarified the justification of this stud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treet space and treating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which modern cities face in terms of scenery. 2. I tried to understand aesthetic value of the street space with its function and importance, and recognized the necessity of walking space as one of methods which can improve human being's life quality. Also, I examined a concept and components of pedestrian space. 3. I studied total process in which human beings accept stimulation and react to it in terms of human behavior, and perceptive, aesthetic point of views, and took them as a sensible standard of the street space. 4. In the perceptive view, 1 prepared a theoretical basis for a solution of environmental designing problems by correcting elements and styles of the street space and using them in academic approach to human behavior and its aesthetic point of view. 5. I studied a model example for designing the street spa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elements and styles of the street space in the perceptive view, and suggested one resolution by extracting pattern language related to the street space through the level of design process. 6.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result of visualized design pass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this study has a justification and meaning. As a result, this study on the design and understanding of the street space for pedestrians can be one of the methods which support human behavior as one of solutions which attempts academic approach in design. Ultimatel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suggesting a scientific, resonable approach to visual elevation of environment by recognizing designing process as an aesthetic information system.;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변화와 함께 고도의 정보화, 소프트화의 진전에 의해서 문명체계가 편리해 졌으나 환경과 분리되어 생존할 수 없는 인간은 점차 고립화되고 획일화 되어가는 비인간적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환경 디자인이란 이러한 인간과 환경의 관계 즉 인간 행태와 물리적 환경 사이의 상호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후기 산업사회의 환경 디자인은 복잡한 인간심성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인간행태와 이러한 행태에 대해 직관적으로 디자인하는 능력 사이에는 괴리가 발생하며 그 한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디자인 접근이나 방법론, 디자인 사고의 일반적인 흐름이나 성향은 디자이너의 주관적 직관능력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디자인 형태창조를 통한 접근방법을 지양하고 보다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와 가치 기준에 중점을 두는 인간 중심적 접근방법으로 변해가는 추세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환경심리 및 인간행태 이론이나 미적정보 체계에 관한 연구는 현대의 다양한 디자인 문제해결에 있어 상당히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태도로 평가 되고 있고 그에 대한 관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 디자인의 공간적 범위를 보행공간으로 설정한 것은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특히 도시의 급속한 팽창과 자동차의 생활화로 인하여 발생한 인간소외 현상에서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인간은 도시내에서 쾌적한 생활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고밀화·고층화 되고 있는 건물군과 자동차에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를 다양한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며 인간의 활동에 가치를 부여해 주는 창조적인 공간으로 보았을 때 그러한 도시의 경관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가로공간의 기능적 측면과 더불어 미학적 측면이 고려되어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근래 학제적 성격을 띤 과학으로서의 디자인학 운동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인간행태에 관한 디자인 사고의 경험적 연구 특히, 지각, 인지 반응에 관한 인간과 환경 사이에서의 정보를 체계화하는 커뮤니케이션 작업이 가능함을 보여 향후 디자인학의 새로운 전개 방향이나 디자인 계획, 평가의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인간이 환경체계의 중심으로 회귀되고 통합될 수 있는 구축환경의 모델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현대 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 및 특성을 경관적 측면에서 다루고 도시경관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가로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밝힌다. 둘째, 미학적 관점에서 가로공간의 기능 및 중요성을 중심으로 하여 가로경관에 있어서 미적가치를 이해하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행공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보행공간의 개념 및 구성 요소에 관해 살펴본다. 세째, 인간이 환경적 자극을 받아들이고 이에 반응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인간행태, 의미론적 관점, 지각적·미학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다루고 이를 가로공간의 지각적 기준으로 한다. 네째, 지각적 측면에서 인간이 가로공간을 경험하는 방법에 따른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및 형태를 수집하고 이를 인간행태와 미학적 관점에 따른 학제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이용하여 환경디자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다섯째, 가로공간 디자인을 위한 모형 사례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앞에서 제시된 지각적 측면에서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및 형태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가로공간 디자인과 관련된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단계를 거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 여섯째, 이상의 전 과정을 거친 시각화된 디자인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갖는다. 위 연구 결과, 보행자 가로공간의 이해와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디자인에 있어서 학제적 접근을 시도한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인간행태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 과정을 창조적인 공간을 경험할 수 있는 미적 정보체계로서 인식하여 미학적 측면에서 환경의 시각적 질을 높이는데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음에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목차 1. 서론 = 1 1.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2. 도시경관에 있어서 가로공간에 관한 일반적 고찰 = 5 2.1. 도시경관에 있어 가로공간의 중요성 = 5 2.1.1. 도시경관의 의미 = 5 2.1.2. 도시경관에 있어서 가로공간의 의미 = 7 2.1.3. 가로공간의 기능 = 8 2.1.4. 가로공간의 구조 및 형태 = 10 2.2. 가로공간에 있어서 보행공간의 의미 = 12 2.2.1. 보행공간의 개념 및 필요성 = 12 2.2.2. 보행공간의 계획조건 = 13 2.2.3. 보행공간의 구성요소 = 16 3. 도시환경체계로서 가로공간의 지각과 의미 = 22 3.1. 가로공간의 지각과 의미 = 22 3.2. 가로공간의 지각적 기준 = 25 3.2.1. 인간 행태학적 관점 = 25 3.2.2. 의미론적 관점 = 28 3.3. 미학적 관점 = 32 3. 지각적 측면에서 가로공간 구성요소 = 38 3.1. 가로공간 구성요소의 지각적 특성 = 38 3.3.2. 가로공간 구성요소의 지각적 형태 = 49 4. 가로환경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 56 4.1. 가로환경 디자인 전개과정 = 56 4.1.1. 디자인 개요 = 56 4.1.2. 디자인 과정 = 57 4.2. 대상 가로의 선정 및 분석 = 58 4.2.1. 대상 가로의 선정과 배경 = 58 4.2.2. 대상 가로의 현황 분석 = 60 4.3. 가로환경 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 = 62 4.3.1. 디자인 목표 설정 및 기본 방향 = 62 4.3.2. 대상 가로 문제의 이해 = 63 4.3.3. 디자인 도출과정 = 66 4.4. 최종 디자인 = 89 4.5. 종합 및 평가 = 103 5. 결론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436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보행자-
dc.subject가로공간-
dc.subject디자인-
dc.subject적용-
dc.title보행자 가로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Design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Street Space for Pedestrians-
dc.format.page11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nbsp-
dc.identifier.major실내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