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歌曲의 男唱과 女唱의 旋律比較 硏究

Title
歌曲의 男唱과 女唱의 旋律比較 硏究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Male and Female Song's Melodies of Korean Traditional Song : Mainly on the Urak(羽樂), P'yoˇngnong(平弄), Gyerak(界樂) and P'yoˇnsudaeyoˇp(編數大葉)
Authors
黃淑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가곡남창여창선율비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萬年長歡之曲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歌曲은 범패, 판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3대성악곡 중의 하나이며, 그 예술성이 매우 뛰어나 한국 전통음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가곡에 관한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었다. 한국의 전통가곡 중 數大葉의 변화곡들 중에서 弄·樂·編이 있는데 이들에 해당하는 곡들은 많이 있지만 平調와 界面調를 합하여 남창과 여창이 같은 이름으로 되어있는 곡은 羽樂, 平弄, 界樂, 編數大葉으로 이 4가지 곡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4가지 곡들을 李珠煥 著 <歌曲譜>를 참고 악보로 하여 곡명을 같이하는 남창과 여창의 선율이 서로 어떠한 관계의 변화하는지, 또한 남창과 여창이 각 장별로 장단 및 사설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을 비교하였을때, 羽樂은 여창이 남창보다 제 3장에서 두장단이 늘어났고, 平弄은 남창이 여창보다 재 3장과 제 5장에서 각 각 한장단씩 늘어났다. 그리고 編數大葉도 남창이 여창보다 제2장에서 두장단, 제5장에서 세장단씩 늘어났고 界樂은 初·貳·編數大葉과 같은 사설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비공통음의 비율을 보면 우락은 25.7%이 평롱 31%, 계락은 27.5%, 편수대엽은 27.1%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공통음이 많이 나타나는 순서는 평롱, 계락, 편수대엽, 우락 순으로 나타나며 평조 보다는 계면조에서 좀더 많이 나타난다. 또한, 각 장별로 비공통음이 많이 나타나는 순서로는 우락이 제5장(38.6%), 제3장(34%), 초장(18.2%), 제2장(6.8%), 제4장(2.3%)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롱은 제3장(46.5%), 초장(25.8%), 제5장(13.8%), 제2장(12%), 제4장(1.7%) 순으로 나타났다. 계락은 제3장(44.7%), 제5장(29.8%), 제2장(12.8%), 초장(8.5%), 제4장(2%)으로 나타났다. 편수대엽은 제3장(72.9%) 제5장(16.7%), 초장(4.2%), 제4장(4.2%), 제2장(2%)순으로 나타났다. 즉 이 4곡중 우락, 계락, 편수대엽은 제3장과 제5장에서 비공통음 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평롱은 앞의 3과는 달리 제5장 대신 초장과 제3장에서 비공통음 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셋째, 비공통음의 선율형 종류를 살펴보면 우락은 비공통음의 선율형이 총 16 가지로 이는 우F형이 3회, 우B'형이 1회, 그리고 우A형부터 우O형까지 각각 1회씩 나타났다. 그리고 평롱은 비공통음의 선율형이 총 18가지로 나타났으며 이중 평A형이 5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평A'형도 1회, 복합형인 평A+F'형 2회, 평A+F형 1회, 평A'+A 1회, 평F+F'형 1회, 그리고 평B형부터 평N형까지 각각 1회씩 나타났다. 계락은 비공통음의 선율형이 총 15가지로 이는 선율형 계A부터 선율형 계N형까지 각각 1회씩 나타나며 선율형 계K'형도 1회 나타났다. 편수대엽은 비공통음의 선율형이 총 20가지로 이중 편F형이 2회, 편F'형이 1회, 편C'형이 1회, 편A+B형이 1회, 편C'+B형 1회, 편C'+M형이 1회, 편L+C형이 1회, 편J+C형 1회로 나타났으며 이들 선율형을 제외한 나머지 선율형 편A형부터 편M형까지 각각 1회씩 나타났다.;The Korean traditional song called Mannyoˇnjanghwanchigok (萬年長歡之曲) is one of the greatest three vocal musics of the country, the other two are Poˇmpae and P'ansori, and since its artisty is so much outstanding that it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unfortunately, studies on Kagok(one type of traditional song) have not been activated. Among the variations of Saktaeyoˇp(數大葉), there are Nong(弄), Rak(樂) and P'yoˇn(編), but among many songs belonged to these three genres, only four songs, Urak(羽樂), P'yoˇngnong(平弄), Gyerak(界樂) and P'yoˇnsudaeyoˇp (編數大葉), can be sung by both man and woman in P'yongjo(平調) and Kyemyoˇnjo (界面調) altogether. In this study, referring The 「Kagokbo」(歌曲譜) by Yi Chu-hwan. I have investigated mainly the four songs mentined above to know tha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of male sorgs and those of female songs change and how male and female songs respectively yield the time and narration of each genre. And the consequences are as follows: First, having compared narrations, it is revealed the female song's are longer than male songs two rhythms in the third chapter of Urak and male songs are longer than female songs one rhythm in the third and fifth chapters of P'yoˇngnong respectively. And also male songs are longer than female songs two rhythms the second chapter and three rhythms in the fifth of P'yoˇnsudaeyoˇp. But in case of Gyerak, all the narrations for man and woman are typical like we see in Ch'osudaeyoˇp(初數大葉), Isudaeyoˇp(貳數大葉) and Samsudaeyoˇp (三數大葉). Second, a percentage of different melodies are 25.7% in UR(Urak), 31% in PR(P'yoˇngnong), 27.5% in GR(Gyerak) and 27.1% in PS(P'yoˇnsudaeyoˇp). Therefore, the different melodise occupy more freguently in the order of PR, GR, PS, UR and Kyemyoˇnljo rather than P'yongjo. And also the different melodies show up in the fifth chapter(38.6%), the third(34%), the first (18.2%), the second(6.8%), and the fourth(2.3%) of UR, The third chapter (46.5%), the first(25.8%), the fith(13.8%) the second(12%) and the fourth (1.7%) of PR. The third chapter(44.7%), the fifth(29.8%), the second (12.8%), the first(8,5%) and the fourth(2%) of GR. The third chapter (72,9%), the fifth(16.7%), the first(4.2%), the fourth(4.2%) and the second (2%) of PS. Among the four songs, the different melodies most appear in the third and the fifth of UR, GR and PS, and in the first and the third of PR. Third, the melodical kinds of the different melodies are, F type three times, B' type. one time and from A to O type one time each of total sixteen kinds in UR. In PR, there ,are eighteen of them and they are, A type five times, A' one time, combined type of A+F' two times, A+F one time, A'+A one time, F+F' one time and from B to N one time each. In GR, fifteen total and are, from A to N one time each and K' one time also. In PS, twenty total and are, F one time. F' one time C' one time, Af-B one time, C'+B one time, C'+M one time, L+C one time and J+C one time and from A to M one time each for different melodical kinds rather than abo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