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무용-
dc.creator조무용-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269-
dc.description.abstract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의학의 발달은 노령인구의 증가와 평균수명의 연장을 가져왔다. 이에 수반되는 질병양상의 변화는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였다. 노화는 전반적인 변화과정으로 신체적 구조나 기능상의 변화와 함께 적응이나 행동의 변화유형을 포함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현상으로 노년기는 모든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질병에 이환되기 쉬운 시기이다. 그러므로 노화의 생리적인 변화에 만성 병리적인 질병이 합병되었을때 적응력이 손상되고 ,통제력을 상실하게 되면 노인은 무력감에 빠져들게 된다. 특히 질병으로 입원한 노인은 새로운 환경과 노화라는 자신의 환경과 앞으로의 사건에 대해 통제하거나 결정할 수 없음을 지각하고 무력감을 경험할 뿐만아니라 무력감을 예방할 수 있는 여러힘의 원천과 그 힘을 지지해줄만한 지지체계의 자원이 감소함으로써 무력감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무력감은 지지체계의 자원을 증가시키거나 의미있는 사람과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증진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가용자원중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과 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들과 무력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간호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66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였으며, 질문지를 이용한 면접방식으로 1995년 4월 8일 부터 28일 까지 20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인의 무력감을 측정하는 18문항,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25개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14문항을 포함하여 총 57개 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의거하여 노인환자들의 무력감 정도와 사회적 지지는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했고, 노인의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구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력감의 정도와 사회적 지지경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과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환자의 무력감의 정도는 전체 평균은 1.770표준편차는 .443인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중 언어적 반응(M=1.919)이 가장 높고 일상활동참여(M=1.693) 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정도에서는 전체 평균은 4.131 표준편차는 .526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원중에서는 의료진(M=4.472)의 지지가 가장높았고 친구 및 친지(M=3.665)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 지지 유형에서는 정서적 지지(M=4,292)가 가장 높았고 물질적 지지 (M=3.918)가 가장 낮았다. 2. 본 연구의 가설인 "노인환자들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 수록 무력감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 = -.4802). 3.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해보기 위하여 중다회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력감에 대해서 지지원중 친구 및 친지의 지지만 이 유의미한 설명력(R^(2)= .1717)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지유형에서는 정보적 지지만이 유의미한 설명력(R^(2)= .1832)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력감의 집단간 비교에서는 단체가입 유무(t=-2.02, p <.05)와 동거유형(F=7 08, p<.01)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에서는 동거유형(F=4.99, p <.05)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을 결과를 통해볼 때 노인환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환자들은 무력감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지원의 영향에서는 언어적 반응에 대해서만 가족의 지지와 관련이 있었고, 전체적인 무력감에 대해서는 친구 및 친지의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적 지지가 적을수록 무력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적 지지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discriptive correnational study was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lessn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hospitalized eldery patients to develop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 patients who admitted in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al 8 to 28, 1995.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Powerlessness behavioral assessment tool in the eldery developed by Miller(1992) and indirectly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Jee Won(1985).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powerlessness was total 1.770. Verbal response subscale showed the highest score(M=1.919) and daily activities subscale showed the lowest score(M=1.693). The means of social support score was total 4.131, medical staffs' support among support sources was highest score(M=4.472) and friends or relatives' support was lowest score(M=3.665). In Support type, emotional support was highest score(M=4.292) and tangible support was the lowest score (M=3.918). 2. The hypothesis, that with the elderly patient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score, the lower the powerlessness score, was supported( r=-.4802). 3. It was identified that only friends and relatives among support sources explained 17% in powerlessness and informational support among support types explained 18%. 4. In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activity( t=-2, 02, p<.05) and type of living together(f=4.99, p<.05)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patients could influence their powerlessness, and it was tend that elderly patients expressed powerlessness verbaly, In support sources, only verbal response related to family support. Also, it could be identified that informational support was important, that is, the lesser the informational support, eldery patients feel the more powerlessness. Futher studies are needed on which medical staffs among social support sources influence eldery patients' powerless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가설 = 4 D.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6 A. 노인환자의 무력감 = 6 B. 사회적 지지 = 10 C. 노인환자의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 = 14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 18 C. 연구도구 = 18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20 E. 자료분석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의 무력감 및 사회적 지지 정도 = 22 B. 무력감, 무력감의 하위영역, 사회적 지지, 지지원, 지지유형간의 상관관계 = 24 C. 무력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원 및 지지유형의 중다회귀분석 = 27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력감의 정도와 사회적 지지정도 비교 = 32 Ⅴ. 결론 및 제언 = 35 A. 결론 = 35 B. 연구의 제한점 = 37 C. 제언 = 37 참고문헌 = 38 부록 = 44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6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인환자-
dc.subject무력감-
dc.subject사회적 지지-
dc.subjectelderly patients-
dc.title노인환자의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 between the hospitalized eldery patients' powerlessness and social support-
dc.format.pagevi, 6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