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2 Download: 0

지체장애 청소년 사회적응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지체장애 청소년 사회적응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about social adaptation program of the adolesc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Authors
박영숙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지체장애 청소년사회적응프로그램과보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보호 가정이란 가정구성원들 간의 정서가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결속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므로 그 구성원은 강한 소속감에 의해 자치권을 포기해야 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스로 탐색하는 힘이 감소되며 특히 아동의 경우 인지, 감정의 기술이 발달하지 못하게 된다. 지체장애인 경우에는 운동기능이 마비 혹은 부자유하여 사회화를 습득할 장이 결여되기 쉬운데 게다가 가정의 구성원간 정서적 밀착으로 과보호를 하게 되어 잔존능력 개발을 위한 장이 제공되지 못하게 되고, 자립심, 단체생활, 대인관계 형성에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들 지체장애인은 장애인 고용촉진법에 의거하여 취업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자립심, 직장생활, 대인관계 형성에서의 어려움은 취업 후 사회에 적응하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상태이며, 과보호 가정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장애인들의 사회재활·사회적응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거기에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틀이나 평가도구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상춘·조인수 편저 「장애아를 위한 생활자립, 직업재활 훈련 프로그램」-R.L.Shalock, "Vocational Training Manual"( 2nd ed. 1978, Addendum 1981, Mid-Nebraska Mental Retadation Service- 중에서 지체장애 청소년 전기연령(12∼15세)에 해당될 수 있는 하위영역을 발췌하여, 과보호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에게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보호 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들 1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13회 동안에 걸쳐, 이들에게 결여되기 쉬운 자립기능, 개인과 대인관계, 단체생활 태도를 훈련하는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평가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하나는 프로그램에 따른 대상자들의 향상정도에 대한 평가로서, 자립기능, 개인과 대인관계, 단체생활 태도에 대한 능력의 정도를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있어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다른 하나는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평가로서 이는 프로그램 종결 후 설문서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대상자 모두에게 가능했는데, 이는 프로그램 실시기간 중 학교의 휴학이나 자퇴가 없었고, 병원에서는 퇴원이나 기타 질병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서 프로그램의 초기부터 종결까지 탈락한 대상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과보호 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에게 본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대상자 모두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향상되어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프로그램 자체에 대해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유용성 또한 입증되었다. 이 사회적응 프로그램이 과보호 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 전기 연령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이었던 것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첫째, 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의 하위 내용 간 체계적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목표행동에 따른 훈련목표가 구체적이었다. 셋째, 장애인이 습득하기 위한 훈련절차 방법이 다양하고 개별적이었다. 그리나 이 프로그램은 과보호 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인 경우라도 자립기능, 개인과 단체생활 태도에 있어 이미 그 단계가 발달되어 있는 경우에는 효과성이 떨어진다. 또한 연구 사례수가 적고 장애상태의 의사소통·지적능력 등을 제한하였고 참가 희망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모든 과보호 가정의 지체장애 청소년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The cohesive family may lead to dysfunctional family due to the lack of emotional intimacy between the family members. Therefore if the family member may give in its individual's right for strong family union or cohesion, this may hinder child's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A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es is often excluded getting an opportunity for paticipation of social functions from its society. This may interfere reaching his/her potential development of social and group interaction, and independency. This physically disabled person may obtained a job according to Employ Promotion Law, but as mentioned it above adjustment problem in the group is expected This may occur more to individuals with cohesive family. Although rehabilitation of social integr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person wiht disabilities, the program has never implemented due to lack of evaluation tools or guidelines for their soci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se its effectiveness and value by selecting the report from ''Vocational Training Manual"(2nd ed. 1978)if this is applicable to a person with disablities in the cohesive family. The study included 10 adolescent from cohensive family, and its 13 different group activities These activies are to motivate their independence, inter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re were two studies one was to assess participants' progress in their independency and social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is group activities, the other was to evaluate the program it self by using a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group activities. All the paticipants stayed throughout this study without dropping it out. The results from practic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for the adolescent from cohesive family have proven that their sub-boundary improved, and the result from the evaluation of program was satsfatory. It appeared that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o young adolescent, and the reason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ystematic relationship of social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for group with minimum acheivement expectation. 2. The goals for training was specific for its objectives. 3. The steps for the training were variety and indivialiied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its goals. This research reported that the disabled person from cohesive family with some social integration skills did not show much improvement in this program This study exclused disable person with limited cognitive and communication skils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was voluntary. Due to the limited case studies and above reasons it is difficult to gather information generalizing the program into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