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性希-
dc.creator金性希-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0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05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60년대 이후 등장한 성과 계급, 나이를 초월하여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입는 캐릭터 패션(character fashion)의 모티프를 고찰하고 그 모티프가 표출하는 내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탐구하기 위해서 먼저 시대적 배경을 보면, 1960년대 이후 서구 사회의 문화는 TV, 영화, 만화, Pop Music 등의 대중적인 양식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여 젊음과 대중성의 지향, 시각 이미지의 범람 등을 특징으로 하였다. 소비적인 일상생활의 이미지를 소재로 한 Pop Art는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더 나아가 삶과 예술의 벽을 허물었다. 이 문화의 중심이 된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의 관념과 권위에 도전하는 반항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1960년대 이후 패션은 파리 오트 쿠튀르의 중심에서 탈피하여 대량생산의 영 패션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컬러 TV의 보급은 이러한 패션의 확산에 도움을 주었으며, 여가의 증가와 활동적인 생활, 스포츠와 레저문화의 확산으로 의복은 캐주얼화 경향을 띄었다. 또한 팝 아트와 함께 기호화된 문자나 형태를 옷의 무늬로 사용게 되었는데 이는 캐릭터 패션의 유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캐릭터 패션은 터 셔츠를 대중적인 캐주얼 웨어로 입고 흰 티 셔츠 위에 사진과 글귀를 프린트하게 된 1970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이는 심플하고 베이직한 티 셔츠가 캐릭터의 전달효과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원래 군인의 언더웨어였던 티 셔츠는 1950년대 이후 반항적이고 와일드한 젊은이를 상징하는 아웃웨어로 변한 뒤 1959년부터 여성들도 착용하게 되었다. 1969년 사진을 프린트한 티 셔츠가 등장하였고, 이어 1970년대에 티 셔츠의 앞면이나 뒷면에 글자나 문장을 프린트하기 시작하였다. 캐릭터 패션의 모티프는 의인화된 사물을 포함한 '인물'과, 특별한 의미를 가진 그림이나 문자인 '기호'로 나타났다. 이들 모티프는 스포츠 팀, 학교, 단체 등의 '소속'을 표시하는 것과, 문장을 통해 정치 슬로건이나 계몽적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러한 캐릭터 패션에 내포된 의미는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저항과 반항 그리고 기능성을 표방하는 유니섹스(Unisex)의 표현이다. 둘째, identity의 위기를 겪고 있는 개인의 소속감과 자신의 특수성을 알리고자 하는 자아절규(Ego Screaming)를 내포한다. 셋째, 스트레스로 가득찬 도시생활에서 캐릭터 패션을 착용하는 것은 항상 도피처를 찾고 있는 개인의, 도피주의(Escapism)를 반영한다. 이상과 같이 1960년대 이후 뚜렷이 나타난 캐릭터 패션은 계급과 성별, 나이의 구분이 없는 의복으로써 대중문화 속에서, 소외되고 고립된 개인의 정서를 반영하는 동시에 소심한 대중에게 안정과 만족감을 주는 의복으로써 현재까지 꾸준히 착용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character fashion which is worn everyday by people regardless of their sex, class and age after the 1960's, and to look at its significance. Under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V, film, comic and popular music exercised its power over the modern living after the 1960's. Such culture has its character in youth, aspiration of wide spread and overflow of the visual image. Pop art based on the image of daily consuming ended the difference between Fine arts and Popular arts. Furthermore, it destroyed the wall that existed between 'Life' and 'Art'. The young who became the core of the culture by the end of 1960's, challenged the idea and the power of the older generation and created a hostile culture of their own. By the 1960's, mass production of the young fashion burst into it's full blossom while the followers of the Paris Haute Couture declined enormously. Color T.V. helped the expansion of the fashion. While active life style and increase of time spent on sports and leisure created the casual trend in fashion. Pop art leads to the usage of sign and symbol on clothes, and this created a trend called 'character fashion'. Character fashion comes to its peak in 1970's when pictures and words are printed on popularly worn white T-shirts. The reason T-shirts were used in printing the character is because basic and simple T-shirts are easy to express character. It suited the-need perfectly. T-shirts which was worn by soldiers as an underwear becomes the outwear for the hostile and wild young. By 1959, this is spread and worn by the women. Followed by the picture printed T-shirts in 1969. By the 1970's, with the printing words on front and back, T-shirts slowly become a messenger of political slogan and education for an individual, group, company and even government. Character fashion can be divided into 'motive' and 'expression'. Motive then is segmented by 'person' that includes an impersonated figure and 'symbol' of picture or figure with a special meaning. However,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by 'one's belonging' which can be a sports team, school or a group. Also, by the 'message' of the phrase or letter. The meaning contained in character fashion by the various motive and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 First, character fashion is an expression of 'unisex' which adopts a platform of function, practicality, resistance and defiance. Second, a person approaching a crisis or feeling a sense of alienation can reassure oneself with character fashion. At the same time. character fashion can include a 'ego screaming' of a person in need of expressing the speciality that can't be neglected by the huge mass. Third, wearing a comic or sport character fashion at a city full of stress refl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person always looking for a place to 'escape'. As mentioned above, character fashion which is clearly evident from the end of, 1960's is a fashion regardless of class, sex and age. It mirrors the emotion of a person neglected and isolated from the mass culture. Furthermore, it is a fashion which provides peace and satisfaction to cautious majority and is steadily worn to the pres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캐릭터 패션의 특성과 배경 = 6 A. 캐릭터 패션의 특성 = 6 B. 시대적 배경 = 8 C. 복식사적 배경 = 24 Ⅲ. 캐릭터 패션의 현상 = 38 A. 캐릭터 패션의 모티프 = 38 1. 인물 = 38 2. 기호 = 53 B. 캐릭터 패션의 표현 = 65 1. 소속 = 65 2. 메시지 = 75 Ⅳ. 캐릭터 패션의 내적 의미 = 81 A. 유니섹스 (Unisex) = 81 B. 자아절규 (Ego Screaming) = 84 C. 도피주의 (Escapism) = 87 Ⅴ. 결론 = 90 참고문헌 = 94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009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캐릭터-
dc.subject패션-
dc.subject모티브-
dc.subject의복-
dc.title캐릭터 패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캐릭터 모티브의 의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racter fashion : concentrating on the motive of the character appeared on apparel-
dc.format.pageix, 10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