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인정-
dc.creator고인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민학교 산수과목 컴퓨터 보조 수업(CAI)에서 개별학습, 무경쟁협동학습, 경쟁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국민학교 산수과목을 중심으로 실험,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서 개별학습, 무경쟁협동학습방법, 경쟁협동학습방법 사이에 학업성취도 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습방법과 성적 사이에 학업성취도 면에서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가? 세째, 학습방법과 성별 사이에 학업성취도 면에서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가? 네째, 학습방법과 성적, 성별 사이에 학업성취도 면에서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무경쟁협동학습 집단과 경쟁협동학습 집단의 협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S국민학교 6학년 90명으로 표집하였으며, 전후비교집단설계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개별학습 집단, 무경쟁협동학습 집단, 경쟁협동학습 집단 모두 각각 3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무경쟁협동학습 집단을 실험집단 Ⅰ로, 경쟁협동학습 집단을 실험집단 Ⅱ로, 개별학습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정하였다. 각 집단 내에서는 성적을 상, 중, 하로 분류하였고, 성별을 남, 여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하여 개별학습용으로 개발한 국민학교 산수 6학년 대상 「정육면체의 개수 세기」 프로그램 중 1단계와 2단계를 사용하였다 (부록Ⅰ 참조). 본 실험에 앞서 예비 실험은 1995년 10월 6일 S국민학교 6학년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실험절차를 검토하고 검사지의 어휘와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실험실시 전에 실험대상 학급의 주요과목 4과목(국어, 산수, 사회, 자연)의 성적을 수집하여 협동학습 집단의 조편성을 하였으며,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부록 Ⅱ 참조). 본 실험은 1995년 10월 11일. 2, 3, 4교시에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컴퓨터 한 대당 2명이 한조를 이루어 프로그램을 진행시켰고 개별학습 집단은 1명이 프로그램을 진행시켜 나갔으며, 점수기록표에 프로그램 점수를 기록하였다(부록 Ⅴ 참조). 무경쟁협동학습 집단은 경쟁과 보상없이 2명이 한조를 이루어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경쟁협동학습 집단은 조별 점수를 화이트보드에 기록하여 다른 조와 경쟁하면서 학습을 진행하도록 했으며 수업이 끝난 후에 상위 3개조와 점수에 있어서 진보를 보인 조를 뽑아 보상을 주었다. 실험을 하는 동안 2, 3교시의 협동학습 집단에는 5대의 소형녹음기를 무작위로 배치하여 조별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녹음하였다. 실험 후에 사후 태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록 Ⅲ, 부록 Ⅳ 참조).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개별학습, 경쟁협동학습방법, 경쟁협동학습방법 사이에 학업성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2.17, df=2, p >.05). 둘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학습방법과 성적은 상호작용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F=2.64, df=4, p < .05), 하위권 학습자에게는 무경쟁협동학습이, 중위권 학습자에게는 경쟁협동학습과 무경쟁협동학습이 효과적이었으며, 상위권 학습자에게는 경쟁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효과적이었다. 세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학습방법과 성별은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F=0.24, df=2, p > .05). 네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학습방법과 성적, 성별은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F=0.66, df=2, P > .05), 다섯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협동학습 집단은 Likert 5점 척도에 의한 평균점수가 3.5점 이상으로 대체로 협동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M=3.66).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무경쟁협동학습과 경쟁협동학습 모두 개별학습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수의 컴퓨터로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해야 하는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을 감안할 때 고무적인 결과이다. 둘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협동학습을 도입할 것인지, 개별학습을 할 것인지, 협동학습 중에서도 경쟁협동학습을 시킬 것인지, 무경쟁협동학습을 시킬것인지는 학습자의 능력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즉, 하위권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무경쟁협동학습이 중위권학습자를 위해서는 경쟁협동학습과 무경쟁협동학습을, 상위권학습자를 위해서는 경쟁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을 실시해야 한다. 세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학습방법은 성별과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개별학습, 무경쟁협동학습, 경쟁협동학습은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도 면에서 차이가 없다. 네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학습방법과 성적, 성별은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개별학습, 무경쟁협동학습, 경쟁협동학습은 성적과 성별을 모두 고려할 때 학업성취도 면에서 차이가 없다. 다섯째, 컴퓨터 보조 수업에 있어서 협동학습 집단은 협동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컴퓨터 수가 제한된 현실을 고려할 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개별학습과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며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재정적인 효율성에 있어서는 효과적인 협동학습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 상호간의 협동활동을 증진시키는 양질의 CAI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세째, CAI에 있어서 협동학습 방법에 따른 학업성취 및 학습동기의 효과 차이를 검증하는 장기간의 실험연구가 요구된다. 네째, 과목과 대상, 협동학습 방법을 달리하여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다섯째, 학습자 사이의 협력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협동학습 훈련이 요구된다. 여섯째, CAI에서 뿐 아니라, 일반 교실수업환경과 ITV, Interactive video system,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교수매체를 이용하는 수업환경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group, competitin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i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The subjects were 90 in th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who came from three classes. One class was taught with individual learning, the other with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third with 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method. The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acievement among individual learning,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 CAI? 2. Is there an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ethod in CAI ? 3. Is there an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between gender and learning method in CAI ? 4. Is there an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among learning ability, gender and learning method in CAI ? 5. Do learners prefer cooperation instruction in CAI ?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 1.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ere found on achievement among individual learning group,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 CAI (F=2.17, df=2, P > .05). 2.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ethod in CAI (F=2.64, df=4, P < .05). 3.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between gender and learning method in CAI (F=0.24, df=2, P > .05). 4.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on achievement among learning ability, gender and learning method in CAI (F=0.66, df=2, P > .05). 5. Both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learners and 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group learners prefered cooperative instruction in CAI (M=3.68).-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4 C. 연구의 제한점 = 6 D.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협동학습의 개념 및 의의 = 8 B. 협동학습 방법 = 10 C. CAI에 있어서의 협동학습 = 17 D. 산수 문제해결력을 위한 협동학습 = 26 E.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 29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4 A. 연구대상 = 34 B. 실험설계 = 38 C. 실험도구 = 38 D. 실험절차 = 41 E. 자료 처리 방법 = 45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 47 A. 연구 결과 분석 = 47 B. 논의 = 59 Ⅴ.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부록 = 7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566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컴퓨터 보조 수업-
dc.subject개별학습-
dc.subject무경쟁협동학습-
dc.subject경쟁협동학습-
dc.subject학업성취-
dc.title컴퓨터 보조 수업에서 개별학습, 무경쟁협동학습, 경쟁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산수과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NON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ETITIONAL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IN CAI-
dc.format.pageix,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