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금송아지전』 硏究

Title
『금송아지전』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Kumsongaji-jeon : Focused on the Aspect of Transmission of Versions
Authors
전진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금송아지전이본전개양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금송아지전>의 發生과 展開過程을 여러 異本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찰한 것이다. <금송아지전>은 佛書인 『釋迦如來十地修行記』 에서 비롯된 佛敎系 國文小說로서 오랫동안 대중에게 향유되어 왔던 작품이다. 본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그 성과가 여러 방면에서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본을 고려한 총체적인 연구보다는 몇몇 해당 이본에 한정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면밀한 異本硏究를 통하여 佛敎系 敍事文學이 소설화되는 과정과 소설화 이후의 展開過程의 諸 樣相을 밝히기 위한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먼저 <금송아지전>이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서 『釋迦如來十地修行記』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釋迦如來十地修行記』는 아홉 편의 本生譚과 한 편의 佛傳으로 이루어진 佛典說話集으로서 소설에서 이용할만한 소재를 풍부하게 지니고 있는 문헌이다. 『釋迦如來十地修行記』 에 실린 다른 작품들과 <금송아지전>의 근원인 第七地 <金犢太子>와의 비교를 통해 <金犢太子>가 소설화될 수 있었던 요건을 추출하였다. 그 요건은 첫째, <金犢太子>가 『釋迦如來十地修行記』 의 本生譚 가운데 유일하게 일대기 구조 안에 흥미로운 사건들이 결구되어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고, 둘째는 다른 이야기들이 초월적 존재의 發願에 의한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련과 그 극복을 다루고 있는데 비해 '爭寵'에서 비롯된 갈등이 '忍辱'과 '孝'라는 주인공의 행위에 의해 중재되는 이야기로서 '인간적인 동기부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금송아지전>의 異本은 현재 筆寫本 12種, 舊活字本 2種으로 總 14種이 확인된다. Ⅲ장에서는 각 이본의 書誌와 내용상의 특색을 면밀히 고찰하고, 이본들의 관련양상을 <계통도>로 작성하고, 이본들을 그 내용의 유사성에 따라서 계열로 분류하였다. Ⅳ장에서는 작품의 내용단락을 계열별로 제시하고, 단락별 비교분석을 통해 각 계열의 특성을 밝혔고, 이본들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작품세계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제1계열은 『修行記』 의 <金犢太予>와 서사구조·화소·내용 전개가 유사한 이본군이고, 제2계열은 배경이나 등장인물에서 제1계열 보다 많은 변개가 일어난 이본군으로 유교적 명문이 가미되었다. 제3계열은 기본 서사구조에 새로운 내용의 삽입에 의한 변용이 두드러진 이본군으로서 『修行記』로부터 많은 변화가 일어났을 뿐 아니라 구비전승과의 영향관계가 주목되는 이본군이다. Ⅴ장에서는 <금송아지전>의 역사적인 전개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변모의 양상을 추출하였다. <금송아지전>은 『釋迦如來十地修行記』 라는 佛書에서 기원하였으나 전개되는 과정에서 불교적인 색채가 퇴색되었으며, 외래적 소재가 구비문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토착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와 함께 권선징악적 주제가 심화되고 대중성을 기반으로 독자층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This thesis is research on Kumsongaji-jeon ("The Tale of Golden Calf Prince") focused on its generation and transmission by studying several different versions. Kumsongaji-jeon is a Buddhist novel written in Korean, not Chinese writing, which had been widely spread among populace. This novel is based on Sokayore-Sipji-Suhenggi ("The Ten Tales of Buddha's Asceticism"), which is a Buddhist scrip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ough there have been accumulated plenty of researches on this novel from various respect, most of them are partial approaches limited to a few different versions rather than entire approach with every existing version. Thus I tried to prove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a Buddhist narrative to a novel and general aspects of transmission after such generation through the study of every exisiting version. To begin with, I studied Sokayore-Sipji-Suhenggi as a background of generation of Kumsongaji-jeon, Sokayore-Sipji-Suhenggi is a collection of Buddhist narratives that consists of nine tale about the former life of Buddha and a biography of him which contain many useful themes to novel. I found how Kumdok-teja, the seventh tale in Sokayore-Sipji-Suhenggi and the source of Kumsongaji-jeon, evolved to a novel by comparing Kumdok-teja with the other tales in the collection: first, Kumdok-teja is the only one among the tales is Sokayore-Sipji-Suhenggi which is organized with interesting events within the structure of biography; second, there is a 'humanistic motivation', that is, the conflict caused from 'jealousy' is mediated by the character of the protagonist - 'tolerance' and 'Hyp' ("devotion to his parents"), while the other tales deal with ordeal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spiritual discipline seeking for Buddhist truth and surmounting of it. There exist fourteen versions of Kumsongaji-jeon- twelve handwritten copies and two printed books. In chapter Ⅲ, I have closely examined the bibliography and then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ursuant to similarity of the content. In chapter Ⅳ, Ⅰ have divided the contents into units where major event occurs in each unit, and examined the trait of the tale shown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n chapter Ⅴ, Ⅰ sought for a meaning of developmental history of novel shown in Kumsongaji-jeon, where I found that Kumsongaji-jeon originated from Sokayore-Sipji-Suhenggi, but it came to lack Buddhistic feature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the foreign materials were changed into be domestic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olktale. Finally, more generalization and expansion of above topic is espected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novels of the same ki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