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청소년들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들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Authors
金一汝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청소년건강통제위건강증진생활양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health problem of the adolescent is very important, since it has much effect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is the very picture of the national health in 21st century. But study is not much found on the adolescent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will help the adolescent to acquire various health-related activities and accustnm themselves to proper health activities. This 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in which th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the adolescent in Seoul and Ullungdo is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7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andomly sampled in Seoul and Ullungdo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is used. The period of study is seven days from April 8, 1996 to April 13, 1996.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MHLC) developed by Wallston, Wallston & Devellis(1978) an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developed by Walker, Pender & Sechrist(1978) and the data was used after Factor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AS using statistical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the adolesc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evaluated in accordance wiH the 5 point Likert scale of 10 items and analysis showed :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mean: 16.87, SD:2.48), Powerful others health locos of control (mean: 10.55, SD: 2.41)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mean: 7,70, SD: 2.20).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4 point Likert scale of 27 items and analysis showed : self-actualization (mean: 14.55, SD: 3.05), interpersonal support (mean: 14.30, SD: 2.90), health responsibility (mean: 12.85, SD: 3.89), nutrition (mean: 8.85, SD: 2.40), exercise (mean: 8.80, SD: 2.28), stress management (mean: 7.50, SD: 2.03). 2.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sc variables : The characteristic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according 0 demographic variable did not mak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nd analysis of each factor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as follow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 showed difference, but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dolescent of Seoul has higher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than that of Ulllungdo (F or t=2.01, p=0.046), but sex and grade variable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nalysis of each health locus of control showed that accoreng to demographic factor, all the variables except stress control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3.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e circumstantial variables : The health locus of centrol accornng to circumstantial variable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each factor was as follow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circumstantial variable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show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according to circumstantial variable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ut the result of analyzing each factor show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 In the health locus of control,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elf-actualization(r=.18, p<.05), interpersonal support(r=.l5, p<.05), nutrition(r=.15, p<.05), exercise(r=.13, p<.05), stress management(r=.13, p<.05), but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health promotion lifestyle. That is, the more one ha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 better one keeps health promotionlifestyle. Hypotheses were set up, based on above-mentioned results of the study. Hypothesis 1, stating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is to be found between adolescent in Seoul and Ullungdo" was not supported (F or t=1.23, p=0.22) Hypothesis 2, stating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is in be found between adolescent in Seoul and Ullungdo" was supported (F or t=2.01, p=0.046). Hypothesis 3, stating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 higher the score of the level of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was supported (r=0.22,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adolescence revealed high level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by the help of which the adolescent learns and tries various health-related activities and the more one has the characteristies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 better one keeps health promotion lifestyle. Therefore health education, that helps the adolescen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th management and to implement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needs to be strengthened. Since health locus of control of adolescence did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eng to demographic and circumstantial variables, but health promotion lifesty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unceasing efforts should be taken to study in the direction that supports this study.;청소년들의 건강 문제는 성장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21세기 국민 건강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청소년들이 건강과 관련된 여러 행동을 배우고 올바른 건강 행위를 습관화하도록 하는 보건 교육이나 건강 상담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울릉도 청소년의 건강 통제위와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을 비교 분석하는 서술적 상관 관계 연구(Descriptive Correlation Study)이다. 연구 대상은 임의 추출한 서울시와 울릉도에 있는 중 고등학교 학생 377명이었으며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1996년 4월 8일부터 4월 13일까지 7일간이었다. 연구 도구는 Wallston, Wallston & Devellis(1978)가 개발한 다차원적 건강 통제위 척도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와 Walker, Pender & Sechrist (1987)가 개발한 건강 증진 생활 양식 척도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HPLP)" 도구를 Factor Analysis 한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평균, 산술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들의 건강 통제위와 건강 증진 생활 양식 건강 통제위는 10문항의 5점 척도로 측정되었는데 내적 통제위(평균 16.87, 표준편차 2.4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타인 의존 건강 통제위(평균 10.55, 표준편차 2.41), 우연 건강 통제위(평균 7.70, 표준편차 2.20)의 순서였다.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은 27문항의 4점 척도로 측정되었는데 자아 실현(평균 14.55, 표준편차 3.05)이 가장 높고 다음이 지지적 대인 관계(평균 14.30, 표준편차 2.90), 건강 책임감(평균 12.85, 표준편차 3.89), 영양(평균 8.85, 표준편차 2.40), 운동(평균 8.80, 표준편차 2.28)의 순이었고, 스트레스 관리(평균 7.50, 표준편차 2.03)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비교 건강 통제위의 특성은 인구학적인 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건강 통제위의 각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적 건강 통제위와 우연 건강 통제위 특성은 인구학적인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타인 의존 통제위는 인구학적인 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의 이행 정도는 서울시 청소년이 울릉도 청소년보다 더 높았으나(t=2.01, P=0.046), 성별과 학년에 따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의 각 영역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관리를 제외한 모든 영역은 인구학적인 요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상황적 요인에 따른 비교 건강 통제위는 상황적 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건강 통제위의 각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적 건강 통제위 특성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타인 의존 건강 통제위와 우연 건강 통제위 특성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황적 요인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의 각 영역을 분석 한 결과 모든 영역이 상황적 요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건강 통제위와 건강 증진 생활 양식과의 상관 관계 건강 통제위 중에서 내적 건강 통제위가 자아 실현(r=.18, p<.05), 지지적 대인 관계(r=.15, p<.05), 영양(r=.15, p<.05), 운동(r=.13, p<.05), 스트레스 관리(r=.13, p<.05)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지만, 타인 의존 건강 통제위와 우연 건강 통제위에서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내적 건강 통제위 특성이 클수록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을 잘 이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가설이 다음과 같이 성립되었다. 가설 1 : "서울시와 울릉도 청소년의 건강 통제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t=1.23, p=0.22)"는 지지되지 않았다. 가설 2 : "서울시 청소년과 울릉도 청소년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의 이행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t=2.01, p=0.046)"는 지지되었다. 가설 3 : "내적 통제위 특성이 높은 청소년들의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의 이행 정도가 높을 것이다(r=0.22, p<0.05)"는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청소년기는 건강과 관련된 여러 행동을 스스로 배우고 시도하는 내적 통제위가 높았고, 내적 건강 통제위가 높을수록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의 이행 정도가 높았으므로 청소년 스스로가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을 이행하도록 지지하는 보건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구학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에 따라 건강 통제위는 차이가 없었지만 건강 증진 생활 양식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지지할 수 있는 계속적인 반복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