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4 Download: 0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의 공간 분석

Title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의 공간 분석
Other Titles
Etude sur l'espace dans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Authors
金秀英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공간분석불어불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는 수많은 방황과 실패를 거쳐 마침내 글쓰기에 이르는 한 존재의 이야기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소설의 공간 구조를 분석하여 그것이 어떻게 주인공의 글쓰기를 향한 여정과 관련을 맺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이 소설이 또한 "잃어버린 공간을 찾아서"이기도 한 것에 주목하여 주인공 마르셀Marcel의 잃어버린 행복의 공간을 되찾고자 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행복의 공간을 되찾는 것이 어떻게 글쓰기에 연결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콩브레Combray라는 원형적 공간의 구조를 살펴볼 것이다. 이 원형적 공간은 마르셀이 행복의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중심 공간인 마르셀의 방과 그곳에서 파생된 공간들로 이루어진다. 이 중심 공간에서는 <잠자기의 비극>이 일어나고 파생 공간들은 각각 육체적 욕망, 전망대, 예술 창조, 죽음-부활이라는 특징들을 지닌다. Ⅲ장에서는 이 행복의 공간을 잃어버린 마르셀이 그곳을 되찾기 위해 행하는 탐색을 살펴볼 것이다. 행복의 공간과 유사한 곳을 찾아가려는 마르셀의 이 탐색은 그 모델이 되는 원형적 공간의 구조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단 원형적 공간에서는 중심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파생이 이루어지지만 마르셀의 탐색은 이 파생 공간들의 변형체에서부터 시작하여 중심 공간의 변형체로 향하는 결합의 움직임을 지니고 있다. Ⅳ장에서는 마르셀이 마침내 행복의 공간을 되찾음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글쓰기에 이어지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탁월한 시간의 소설로 알려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공간 또한 작품의 구조상 필요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함을 밝히게 될 것이다.;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est l′histoire d′un e^tre qui est devenu e′crivain apre`s beaucoup d′errements et d′e′checs. Le but de cette e′tude consiste a` analyser la structure de l′espace et a` e′clairer les rapports entre cette structure et l′itine′raire pour l′e′criture que Marcel a poursuivi. Alors, en nous basant sur le fait que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est aussi "A la recherche de l′espace perdu", nous allons tenter d′e′clairer le processus de la recherche de l′espace de bonheur que Marcel a perdu et analyser le rapport entre l′e′criture et la retrouvaille de cet espace de bonheur. Pour cela, dans la deuxie`me partie, nous allons ve′ifier d′abord la structure de l′espace prototypique. Cet espace prototypique se compose de l′espace central que Marcel conside`re comme l′espace de bonheur, et des espaces qui sont de′rive′s de cet espace central. Dans l′espace central il est arrive′ le 〈drame du coucher〉 qui est l′expe′rience fondamentale de Marcel. Et les caracte′ristiques des espaces de′rive′s sont le de′sir charnel, le belve′de`re, la cre′ation artistique et la mort-re′surrection. Mais l′espace de bonheur disparai^t aussito^t qu′il est construit. Dans la troisie`me, nous tenterons d′analyser de de′placement de Marcel dans les diffe′rents espaces. Il erre sans cesse a` la recherche de l′espace de bonheur qu′il a perdu. Cette recherche est construite d′apre`s la structure de l′espace prototypique. Mais le sens de la marche est inverse′. Tandis que dans l′espace prototypique l′espace central est de′compose′ en d′autres espaces, dans cette recherche ces espaces s′unissent vers l′espace central. Enfin, nous allons essayer de comprendre comment Marcel qui a enfin retrouve′ l′espace de bonheur, devient e′crivain. A travers cette analyse, nous pouvons de′couvrir que dans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qui est conside′re′ ge′ne′ralement comme un roman sur le temps. l′espace est aussi un e′le′ment indispensable de la structure de cet oeuv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