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柳玉暻-
dc.creator柳玉暻-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2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24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9세기 화단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긴 蕙山 劉淑(1827-1873)의 繪畵世界를 고찰한 것이다. 유숙은 한국 회화사에서 18세기의 眞景山水畵, 風浴畵의 전통이 약화되고 南宗畵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시기인 純祖, 憲宗, 哲宗 시대에 주로 활동한 화원이다. 譯官 家門에서 태어난 그는 가계나 생애가 소상하게 알려져있지않는 바 그의 직업으로 보아 기술직 중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유숙은 26세 때인 1852년(철종3년)에 李漢喆, 趙重默, 金夏鍾, 趙坪, 朴基駿, 白殷培 등과 함께 哲宗御眞을, 역시 35세 때인 1861년(철종21년)에도 趙重默, 李漢喆, 金夏鍾, 朴基駿 둥과 함께 畵師로 참여해 哲宗御眞을 그렸다 또 46세 때인 1872년(고종9년)에도 李漢喆, 趙重默, 朴基駿, 白殷培, 安健榮, 朴鏞燮 등과 같이 高宗御眞을 그렸다 이러한 문헌상에 언급된 어진 제작에의 참여는 그의 화원으로서의 위치를 시사하며, 기량이 충분히 인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의 회화세계는 山水, 故事·道釋人物, 花鳥 및 翎毛, 四君子, 風俗, 怪石 등 거의 모든 화목에 두루 걸쳐 있다. 관념산수도[寫意畵]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남종화풍에 의거하여 화보류를 참고 하기도 하고, 진경산수도에서도 당대 閭巷詩人 및 중인동료 서화가들과 명승지를 돌아다니며 실제 여러 곳을 그리기도 하여 뚜렷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또 고사·도석인물도에는 유숙 특유의 기법과 구도, 내용이 잘 나타나 있다. 묵법에서는 연한 먹을 듬뿍 묻힌 붓을 화면에 넓게 대고 몇번 중첩되게 칠하여 번지는 듯한 渲染의 효과를 꾀하고 있다. 설채의 경우 화면에 담청을 즐겨 사용한다. 또 그가 구사하고 있는 구도상외 특징은 답답함이나 산만함을 배제하여 조화와 질서를 갖춘 정돈된 구성을 이룩하고 있다. 바위를 남달리 사랑한 北宋의 書畵家 미불의 고사를 그린 내용이 그려지기도 하고, 『홍씨선불기종』의 삽화에 수록된 인물도 등장한다. 그의 紀年이 있는 회화 작품은 畵風에 의해 전기(20대-30대), 후기(40대)로 설정이 가능한데, 前期에는 산수화에서는 남종화풍에 의거하여 화보류를 참고하기도 하며, 추사일파와 교유하여 간일한 문인화적 경향의 바탕 위에서 자신의 기량을 쌓아가던 시기이다. 또 風俗圖나 詩會圖에 나타난 인물들과 철종 어진 제작 등을 통해 볼때 인물묘사에서 뛰어남을 확인케 된다. 이 때는 그림의 주제나 소재가 더욱 다양해지고, 화면은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처리되고 있으며, 구도에 있어서도 대담한 포치법의 등장도 주목된다. 후기는 기량면에서 완숙기에 달했으며 예술적 창조력도 가장 왕성했는데 그 중 그가 죽기 1년전에 그린 <淸署三友圖>나 <怪石圖>에서 나타나듯 40대 후반에 기량이 무르익었다. 유숙 회화에 나타나는 화풍의 변천과 양식적 특징을 통하여 회화사적 意義를 살펴보자면 첫째, 유숙은 조선왕조 회화사의 마지막을 풍요롭게 장식한 공로자의 한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해 산수, 인물, 화조, 영모, 사군자, 풍속, 괴석 등 여러 쟝르의 화목을 두루 잘 구사하였다는 점이다. 즉 그외 작품은 필치가 뛰어난 것부터 다소 떨어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찌기 생을 마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둘째, 전통회화의 계승자라 할 수 있다. 전대의 화풍을 따르면서도 자기것을 이룩한 점이 중시된다. 각각의 화면에 나타나는 번지는 듯한 묵법과 담채의 사용에서 담박하고 俗氣가 없는 사대부의 문인화에 핍진한 畵境을 보여준다. 즉 유숙은 19세기 말엽의 다양한 양식이 혼재하는 화단의 분위기 속에서 많은 그림의 반복과 훈련과정을 통해 그 자신만의 화풍을 추구하기 위하여 전통을 재해석하고 독특한 회화세계를 창출한 것이다.;This paper talks about the painting world of Yu Sook (1827∼1873 : sobriquet Haesan) who was a widely credited painter of the nineteenth century. Yu Sook actively acted under the reigns of King Soonjo, Honjong and Cheoljong of the Chosun Dynasty When Southern Song style was prevalent with the fading of genre and "true-scene" paintings of the eighteenth century. Born as an official's son, his family history and private life are not well recorded; nonetheless, from his engagement, we can presume that he was of a middle class technician. In 1852 (3rd year of King Cheoljong) when Yu sook was 26 years old, he drew the protrait of King Cheoljong with Lee Han-cheol, Cho Jung-mook, Kim Ha-jong, Cho Pyong, Park Ki-jun and Baek Em-bae. when he reached 33 in 1861 (2lst year of King Cheoljong), he participated in drawing another portrait of King Cheoljong together with cho Jung-mook, Lee Han-clieol, Kim Ha-jong and Park Ki-jun. furthermore, at 46 in 1872 (9th year of King Kojong), Yu Sook with Lee Han-cheol. Cho Jung-mook. Park Ki-jun, Baek Eun-bae, An Gun-young and Park Yong-sup painted King Kojong's portrait. This record of his involvement in the portrait projects implies his role and importance in the painting society of the time. Yu Sook's painting world consisted of landscape, hermits, fables on historic events, flowers, birds, animals, "four gracious plants" - plu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stones and even genre paintings. The literati painting of the perio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Southern song style of China and by the "true-scene" painting style of the Chusa school where scholars actually visited the renowned temple and historic sites to draw the true sceneries. In Yu Sook's paintings on the hermits and the phrases on the historic events, his special and unique style and technique are well shown. In the drawings in ink, he has painted the paint several times on top of each other giving the spreading effect of ink and favored cobalt blue. The composition of his painting had eliminated all unnecessary elements providing a well· organized and harmonized formation. among his works are the fables of Mibul(미불), a Northern song painter who favored rocks, and characters from other fables and phrases. Yu Sook's works can be catagorized into early period of his twenties of the thirties and late period of the forties. In the early period he took after the Southern school and the "true-scene" style of the literati painters to enhance his capacity and competence. Subjects and objects of his paintings gained great variety, the picture in overall was neatly handled and bold composing method was introduced. Finally, in his late period, both his artistic creativity and ability reached the peak which can be well traced in his works of 1872 "Cheongseo Somwoodo "(淸暑三友圖) and "Goesekrdo"(怪石圖).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and change in the painting style can be analyzed as follow through the study on the Yu Sook's paintings. First of all, Yu Sook can be honored as file last painter to have done a distinguished service to and maintained the glory of the painting tradition of the Chosun Dynasty. That is, he was the last person to have appealed his capacity in various subjects such as landscape, human figures, birds, animals, flowers, "four gracious plants" ,stones and genre paintings. Secondly, he can be considered as a creative inheritor of traditional painting. He has produced a new style on the basis of the former style. The way he had used ink and colors are good examples. The artistic world which Yu Sook had achieved is an exclusive world which was only possible through continous and laborious practices. Yu Sook was capable of creating his own unique world of painting from the environment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ainting society where various styles and schools pervailed. He produced his original and characteristic style through reinterpretaion and creative experiments of the prevailing painting sty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목차 Ⅰ. 머리말 = 1 Ⅱ. 유숙의 家系와 生涯 = 4 1. 家系 = 4 2. 生涯 = 9 Ⅲ. 畵家 劉淑의 活動 = 14 1. 社會階層 變動과 中人 = 14 2. 中人詩社를 통해서 본 中人同僚와의 交遊關係 = 16 Ⅳ. 劉淑의 作品世界 = 26 1. 산수도 = 27 2. 故事·道釋人物圖 = 35 3. 花鳥 및 翎毛圖 = 45 4. 四君子圖 = 49 5. 風俗圖 = 53 6. 怪石圖 = 56 Ⅴ. 畵風의 變遷과 樣式的 特徵 = 58 1. 畵風의 變遷 = 59 2. 樣式的 特徵 = 66 Ⅵ. 맺음말 = 71 參考文獻 = 75 別表 1 劉淑의 友人略譜 = 81 別表 2 총작품목록 = 82 도판 = 85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52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혜산-
dc.subject유숙-
dc.subject회화-
dc.subjectYu Sook-
dc.title蕙山 劉淑(1827-1873)의 회화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ineteenth Century Korean Painter Yu Sook-
dc.format.page10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