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은-
dc.creator이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245-
dc.description.abstract여성들이 공적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서부터 현재까지 성희롱으로 인한 여성들의 피해는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성희롱이 사회문제로 제기된 것은 "우조교 성희롱 사건"이 사법적인 문제로까지 확산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성희롱을 둘러싸고 가장 핵심적으로 떠오르는 논제는 어떻게 하면 여성들이 성희롱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이다. 그러므로 성희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화되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구성은 성희롱에 대해서 여성들이 대응양식을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선택하게 되는지를 살펴 본다. 이러한 요인 분석을 통해서 성희롱은 피해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문화적 여건에 의해서 형성된 것임을 밝히게 되므로써, 성희롱의 문제를 우리 사회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변화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의 중심 논제를 고찰하기 위해서 전제되어야 할 성희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우리 사회의 피해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내에서 상사에 의한 성희롱을 경험하는 여성들은 위계구조에 의한 불이익에 대한 염려 때문에 성희롱에 대해서 순응한다. 또한 동료에 의한 성희롱에 대해서도 원만한 인간관계 구축이라는 차원에서, 즉 불편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지 않기 위해서 저항하기 보다는 순응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성희롱은 여성들의 노동권 침해의 문제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성희롱은 남성의 가부장적 권력과 직장에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식적 권력이라는 이중 권력 구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희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여성들이 저항할 수 있는 사회 구조적인 변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두 번째로, 성희롱의 대응양식의 선택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남성 중심적인 성문화를 토대로 한 이분법적인 성 정체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답기 위해서는 연장자 남성에 대해서는 복종해야 한다'는 왜곡된 여성성에 대한 지배적 담론은 여성들이 성희롱에 순응하게 하는 역할로써 작용한다. 그리고 '정숙한 여자/나쁜 여자'라는 여성에게만 해당하는 이중적인 성규범은 성희롱을 당한 여자는 행실이 나쁜여자만이 경험한다는 인식을 피해자 스스로 하게 되므로써, 순응을 선택하게 한다. 이와같은 이분법적인 강요된 여성성과 이중적인 성규범은 여성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남성 중심의 성문화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여성과 남성에 대한 분리 교육을 엄격히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희롱에 대해서 여성들이 적극적인 대응양식을 자유롭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성차별에 근거한 성분리 교육을 개선해야 한다. 세번째는, 동일한 사회문화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여성들이 성희롱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통해서 강요된 여성성에 대한 도전을 하고 있다. 여성들은 성희롱이 성차별적이고 여 성억압적인 구조에 의한 것이라고 인식하면서 성희롱의 위기에서 모면할 수 있는 소극적인 저항에서 부터 사회 문제로 공식화하는 소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저항의 양식으로 대응한다. 하지만 소송의 대응양식을 취하는 사례는 소수이고, 직장 내의 위계구조에 전면적으로 대응 양식을 취하기 보다는 저항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 정도의 소극적인 저항을 취하는 사례가 더 많다. 따라서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서 성희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성희롱에 대한 개인적인 거부는 지배적 담론으로 형성된 여성성에 대한 전면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수는 없다. 하지만 지배담론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서 여성성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성희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해자 개인이 취해야 할 지침을 제시해 준다. 이와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서 성희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구조적인 차원에서 정 부, 기업, 사법부, 교육의 측면에서 변화되어야 할 요소를 제시하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피해 자 여성이 그 문제의 해결 주체가 되기 위해서 변화되어야 할 요소를 제시한다. 요약한다면, 성회롱으로 인한 피해자 여성들이 대응양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작용하는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성희롱은 남성중심적 지배 담론이 피해자 여성에게 영향을 줌으로써 제기되는 문제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화되어야할 개인적, 구조적 요소를 제시한 것이 이 논문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As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labor has increased, women workers continuously have suffered from the sexual harassment in their workplace. Since the sexual harassment was firstly issued by the 'Woo's Sue', many cases of the sexual harassment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it is to be needed to find out the way how women can be free from the sexual harassment in their workplac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women's response to the sexual harassment and to analyse in what condition they adapt or resist to it. This study is to deal with 1) conceptualization of the sexual harassment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2) examination of the types of sexual harassement, 3) exploration of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causing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4)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make women adapt or resist to the sexual harassment. and 5) sugesstion of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eradicating the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s caused by the dual power system, the patriarchal power in male dominant society and the insitutional power in hierachical organization. Women workers who are sexually harassed by their boss have no choice but to adapt to it for fear that thier resistance cause any disadvantages to their job. When they are harassed by their male co-workers, they also have much difficulties in effectively resisting to it. They have to be passive not to be blamed as the 'breaker' or 'destoyer' of the harmonious work environment. In this sense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s a kind of violation to women's right to work. Secondly, male construction of the femininity and dichotomy of good girl and bad girl are also the reasons why women workers can not resist to the sexual harassment. In the patriarchal society, women are asked to be submissive and obedient to their male boss's sexual demand. The division of women into good girl and bad girl makes women workers accept the recognition that sexual harassment is only possible to bad women. The distorted discourse on the femininity and the unsymmetrical sexual ethics are reproduced and reinforced by the sex-segregated educa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s. Thirdly, at the individual level, a few women workers resist to the sexual harassment despite of the sex discriminated working condition. Their opposition to sexual harassment varies from passive one which means to develop strategies for escaping from it to positive one which is to raise a lawsuit against it. However, their challenges to the hierachical power of the workplace and to the dominant discourse on women's identity as well as their efforts for formulation of the sexual harassment as a social issue are quite rare. It means that individual women's resistances have the limitation for the eradication of the sexual harassment in the male dominated society. Nevertheless it is valuable in that it can provide us the clues for developing the alternative gender identity and the strategies for women's resistance to it.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to be suggested for the termination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t the socio-structural level, the reformation of the government, corporation, judic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needed for accomplishing the gender equality in the patrialchal society. At the individual level, women is required to be a subject for the solution of their probl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 대상과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성희롱의 대응 양식과 권력/여성성(Feminity)의 관계 = 7 B. 성관계(sexual relation), 성폭력(sexual violence), 성희롱(sexual harassment)의 연속선 = 12 Ⅲ. 성희롱의 개념과 유형 = 17 A. 성희롱의 명명과 개념 만들기 = 17 1. Sexual Harassment와 성희롱 = 17 2. 성희롱의 개념 만들기 = 18 B. 성희롱의 유형 = 22 1. 상사 주도형 성희롱 = 24 2. 동료 주도형 성희롱 = 39 Ⅳ. 성희롱을 묵인하는 직장 내 성차별 문화의 현실 = 42 A. 성별 노동분업과 성희롱의 관계 = 43 1. 채용 기준에서의 차별 용모제한 = 43 2. 불평등한 업무 분담 = 44 3. 직장의 꽃으로써 여직원의 자리 매기기 = 50 B. 남성위주의 직장문화 = 53 1. 놀이 문화의 분리 = 54 2. 공유할 수 없는 군대문화 = 58 Ⅴ. 성희롱 대응양식의 선택 요인에 대한 고찰 = 64 A. 성희롱을 순응 하게 되는 요인 = 65 1. 권력자에 대한 저항은 불이익으로 연결 = 65 2. 원만한 직장 생활을 위한 '수인한도'로써의 순응 = 69 3. 강요된 여성성에 의한 순응 = 74 4. 조직적인 대응의 어려움 = 82 5. 사회적인 제도의 미비 = 89 B. 성희롱을 저항하게 되는 요인 = 92 1. 사회적 생존을 위한 저항 = 93 2. 자신의 권익보호를 위한 저항 = 96 3. 사회적인 의식 형성으로 인한 저항 = 104 Ⅵ. 종합논의 및 제언 = 107 A. 종합논의 = 107 1. 사회구조적 변화요소 = 109 2. 개인적인 변화요소 = 113 B. 제언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267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직장-
dc.subject성희롱-
dc.subject순응-
dc.subject저항-
dc.title직장내 성희롱의 순응과 저항에 관한 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men's adaptation and resistance to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dc.format.page12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