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1920-30년대 韓國 洋畵團體의 硏究

Title
1920-30년대 韓國 洋畵團體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s Western painting Circles in 1920s and 1930s
Authors
김미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한국양화단체1920년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1920s and 1930s' Korea Western painting Circles. This was the period when a new expression medium, oil painting, and its modeling style were accepted in earnest, and artists received them individually on the basis of their own thoughts and artistic ideology. Bourgeois-nationalistic artists tried to complete Korean styled-painting by harmonizing them with attempted to realize social revolutiion through art. The reason why I intended to examine art activities in the two parts through a study on their circles is that important achievements in art history were mostly made through circles rather than individuals. Major pure art circles in 1920s are Korea art academic association (1923), Sak-Sung association (1925), and Young -Kwa association(1927), and in the professional art field, a proletarian art alliance was formed, and Chang-Kwang association as its Subsidiary organization. Bourgeois-nationalists made efforts in accepting new culture and enlightening the public, and the formation of art circles in 1920s were proceeded in the same succession. Accordingly, here we can find the reason why group activities in 1920s were focused more on art education than sudies on individual works. On the other hand, socialism ideology was starting to be distributed to some radical nationalists. after the failure of March first's movement, and Russian revolution and Leninism were rapidly spreaded as a new model of independence. professional art activities as a way of social revolution were developed seriously from 1920s, and one of major organizatins, was the professional art alliance Pure art and Pro art argum ent in the two parts were severe from late 1920s. The arguing points of Nok-Hyang association and Dong-Mi association were the subject of completing Korean Styled painting, its concrete style, and artists' attitude, and the pro art field had a trend to go left-sided in the process of ideological struggles such as ideology dispute with anarchism, and an argument on the Shin-Kan association Major groups in 1930s are Nok-Hyang, Dong-Mi, Hyang-Toh, Mok-Ti, and the association of artists in Japan. Young artists who worked through those groups concerntrated on Korean styled painting which can express unique Korean climate and individuality Also, they studi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denting of Korean art' through lively ideological discusssions, as well as art works. Accordingly, I could remove my misunderstanding that our art is only the imitaiton of western art or unconditional acceptance of western painting. On the other hand, pro art artists led by the proletarian art alliance in 1930s recognized the reality of colonization, and continuously fought against absurdity in nation and a class. They thought artists should also participate in social revolution, and art works as one of the means to complete the revolution. Accordingly, their art activity was focused on the creation and public announcement that could incourage the public into fighting volition, and the production of stage art setting for pro movies or plays. Group activities in 1920-1930s were actively developed as mentioned above, but ideological and periodical limitations were not overcome. The group activity of pro art field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ed on the concept of that time, but it was not specified into art work. Likewise, pure art circles tried to find Korean identity in art through the independent acceptance of western art and harmony with traditional art concept, and made some achievement, but it has the same limit in that those art works didn't reflect on that tim. However, western art has settl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ose groups, and a national art theory appeared, and western modernism was also positively accepted. Accordingly, studying group activities could be an importnat point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 settlement of Korea's modem western painting;본 논문은 1920-30년대 한국 양화 단체에 관한 연구이다. 이 시기는 새로운 표현매체인 '유화'와 그 조형양식이 본격적으로 수용되던 때였으며, 화가들은 각자의 사상과 미술이념을 바탕으로 이를 독자적으로 받아들였다. 부르조아 민족주의 계열의 미술가들은 전통적 미의식과 조화하여 조선적인 회화를 완성하고자 노력하였고, 사회주의 계열의 미술가들은 미술을 통해 사회혁명을 이루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 시기 양진영의 미술활동을 단체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던 이유는 이와같은 중요한 미술사적 성과가 대부분 개인보다는 단체활동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1920년대의 본격적인 순수미술 단체로는 고려미술회(1923), 삭성회(1925), 영과회(1927) 등을 꼽을 수 있으며, 프로미술계에서는 프로레타리아 예술동맹이 결성되었고 그 방계조직으로 창광회가 만들어졌다.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은 민족개량주의에 입각하여 신문화수용과 대중계몽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20년대의 미술단체 결성 역시 그 연장선상에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1920년대 단체활동이 개인작품의 연구보다는 미술교육에 더 치중되었던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편에서는 사회주의 이념이 1919년 3·1운동의 실패이후 사회주의 이념이 일부 급진적 민족주의자들 사이에 보급되기 시작했고,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는 독립의 새로운 모델이 되어 조선내에 급속히 파급되었다. 사회혁명을 위한 수단의 하나로써 프로미술활동은 192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그 중심단체는 프로예맹이었다. 1920년대 말부터 양대진영의 순수미술론과 프로미술론의 이념논쟁이 매우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녹향회와 동미회에서는 '조선적인 회화의 완성'을 주제로 그 구체적인 양식론과 작가적 태도가 주요 논점이었고, 프로미술계열는 아나키즘과의 이념논쟁, 신간회의 결성 및 해소를 둘러싼 이념논쟁 등 이론적 투쟁과정 속에서 급진적 볼셰비즘으로 좌경화되어갔다. 1930년대 주요 단체에는 녹향회, 동미회, 향토회, 목일회, 재동경미술협회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그룹을 통해 활동했던 젊은 미술가들은 조선 특유의 풍토성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조선적인 회화를 모색하는데 집중하였다. 또한 작품에서 뿐만 아니라 활발한 이념논쟁을 통해서 '조선미술의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활동양상들을 연구하면서 당시의 미술이 단순히 서양미술의 아류라든가, 서양화의 무조건적 수용에 불과했다는 오해를 불식할 수 있었다. 한편, 1930년대 프로레타리아 예술동맹을 중심으로 한 프로미술계열의 작가들은 식민지 현실을 인식하였고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을 위해 끝없이 투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미술가 역시 사회혁명에 동참해야 하며 미술작품은 혁명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프로미술가들의 작품활동은 주로 민중들의 투쟁의욕을 북돋을 수 있는 창작·선전활동에 치중되었고, 프로연극이나 영화의 무대미술장치를 제작하는데 집중되었다. 이처럼 1920-30년대 단체활동은 각각의 신념아래 활발하게 전개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념적 한계,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했다. 프로미술계열의 단체활동은 당시의 시대의식을 반영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그것이 작품에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마찬가지로 순수미술계열의 단체들은 시구미술의 주체적 수용, 전통적 미의식과의 조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미술에 있어서의 조선적 정체성을 찾으려고 하였고 실제로 어느정도의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그러한 작품들이 시대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똑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체 활동을 통해 조선화단에는 서양미술이 정착하였으며, 민족미술론이 대두하였고, 서구 모더니즘이 적극 수용되었다. 따라서 1920-30년대 단체활동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나라 근대 서양화의 정착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