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18세기 懸房의 商業活動과 運營

Title
18세기 懸房의 商業活動과 運營
Other Titles
(The) Commercial Activity and Management of Hyun-Bang(懸房) in the 18th Century : Centering on monopolistic Trade of Beef meat
Authors
崔恩禎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현방상업활동우육판매활동18세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懸房은 서울지역에서 쇠고기를 독점 판매하는 市廛으로, 成均館 典僕들이 운영하였으며 다림방이나 屠肆라고도 불리웠다. 소의 도살은 농업 국가인 조선에서 철저히 금지하던 三禁(牛禁 酒禁 松禁)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도시 상업의 발전에 따라 쇠고기는 都市民의 수요품의 하나로 상품화되어 懸房에 의해 판매되었다. 이는 서울의 도시화와 관련하여 도시 상업의 발달을 보여주는 일면이었다. 懸房은 판매 물종이 국가에서 금지하는 쇠고기였다는 것과 성균관 典僕들이 운영하였다는 점이 懸房이 일반 시전과는 다른 특징이었다. 兩亂이후 성균관의 재정이 부족해지자, 文廟 제사에 바칠 犧牲 마련을 위해 존재했던 屠肆는 점차 성균관의 주요 수입원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 屠肆는 懸房이라는 이름으로 市廛化하여 독점적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다. 懸房은 성균관을 배후로하여 활동하면서 성균관의 부족한 물력을 보충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屠肆의 역할 부각은 당시 서울의 경제적 성장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조선 후기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은 구매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육류 소비를 확대시켰다. 특히 17세기 중후반 軍營의 확장과 축성 사업 등에 따른 호궤 실시와 買食 인구의 증가는 육류 소비를 증가시켰다. 하지만 쇠고기 수요의 증가는 牛禁 정책과 충돌하게 되었으므로 국가에서는 제한 조치를 취해야만 했다. 국가에서는 기존 成均館 屠肆에만 도살을 허가하고 이외의 도살은 일체 금지시키는 것으로 현실에 대처하였다. 정부에서는 적절한 통제를 위해 파악할 수 있는 자들인 전복들에게 허가한 것이었다. 즉 懸房은 牛禁 정책과 성균관의 비용문제와 맞물리면서 專賣權을 갖게 된 것이었다. 懸房의 전매권은 다른 시전 처럼 禁亂廛權 부여에 따라 독점권을 갖게된 것이 아니었다. 懸房의 금난전권은 독점권을 확고히 하기 위한 추가 지원책으로 주어졌다. 그러므로 懸房은 六矣廛에 속한 중요 시전이 아니면서도 시전의 금난전권 혁파라는 通共 政策과 관계 없이 독점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성균관을 배후에 둔 전복들은 쇠고기 독점판매권을 보유한 채 懸房을 운영하였으며, 성균관에 응역해야 했고 三司에 贖錢을 납부할 의무가 있었다. 懸房의 경영 주체가 성균관 노비였기 때문에 성균관에 응역한 것이며, 판매 물종이 금제 조항에 해당하는 쇠고기였기 때문에 贖錢을 납부한 것이었다. 특히 속전은 牛禁 정책하에서 懸房의 도살을 가능하게 해준 역할을 하였다. 懸房은 속전을 내는 대신 平市署에 朔米를 납부하지 않았는데 이는 懸房이 다른 시전과는 체계를 달리하여 三司와의 관련성 속에서 상행위를 영위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懸房의 독점권은 18세기 서울의 유통 경계의 발달에 따라 도전 받게 되었다. 外方 소의 유입과 도살 이익 증대는 불법적 도살을 성행하게 하였고 奉常寺 貢人 과 猪肉廛市民과 같은 특권상인들도 懸房 독점권을 침해하게 되었다. 따라서 典僕들은 도전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면서 변화를 모색하였다. 우선 懸房은 이익 침탈의 소지를 배제하였다. 성균관에 대한 응역을 雇立化하여 경제적 부담만지는 관계로 변화시켰고 三司 贖錢을 줄이려고 하였으며 無償 進排하던 筋角을 판매하도록 하였다. 즉 의무를 줄이고 판매 활동에 주력하려 한 것이었다. 더 나아가 懸房은 유통의 이익을 확대하려고 노력하였다. 전복들은 판매량이나 판매 물증을 늘려 나갔고 소의 구입에 있어서도 牛廛을 배제하고 外方에서 직거래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들은 독점판매권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 것이었다. 懸房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권력에 기생하여 얻은 독점권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것에서, 경쟁을 통해 이익을 확대하는 방법을 터득해 나갔다. 따라서 懸房은 상업 조직으로써 자기 성격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懸房의 노력은 새로운 경쟁 세력에 대항한 시전 상인의 대응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변화하는 상업계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들의 성격 변화를 모색한 것이었다. 이러한 懸房의 성격 변화를 통해 18세기 후반 서울의 상업 발달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The Hyun-Bang which is Shi-jeon(市廛) as a monopoly of beef in a Seoul area was managed by Jeon-bok(典僕) of Sung-Gyun-Guan(成均館) and it was called by Da-Lim-Bang(다림방) or Do-sa(屠肆). In principle, slaughter of cattle is one of prohibited three rules(三禁) (slaugther of cattle, total abstinence, felling of pine tree-牛禁, 酒禁, 松禁) by Lee-dynasty(朝鮮王朝) as a agricutural country. However, Beef which is became a demands of citizen was produced and saled on a commercial scale by Hyun-Bang. This is a one aspect to provide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erce which is related with urbanization of Seoul. Hyun-bang had the specificity of which there was managed by Jeon-bok of Sung-Gyun-Cuan and their item is beef prohibited by a nation. After two times war(丙子胡亂, 壬辰倭亂), Dosa , division for prepare the sacrifice fsr rite, was became a main revenue source because of financial shortage of Sung-Gym-Guan. Dosa as the name of Hyun-bang that was changed to Shi-Jeon and had the privilege of monopoly. Hyun-Bang which was supported by Sung-Gyun-Guan had a role of financial supply to Sung-Gyun-Guan. Increased role of Dosa is reflected in economic development of Seoul. In the latter term of Lee-dynasty, the growth of Seoul as a commercial town was increasing the beef consumption as a result of increased purchasing power. Expressly, in the mid-latter 17th century, expansion of a millitary camp and construction of castle which was induced by Ho-Qoe(□□) and increasing of dining out population could be growing the consumption of beef. However, the government authorities had to make the restriction act by the reason of increasing of beef requirment conflicted with national policy for probibition of beef marketing. Government authorities permitted only Dosa in Sung-Gyun-Guan as a slaughter and declared a forbidden clause to another slaughter. In gorvernment, they allow the Jeon-Bok who can be properly controled and acknowledged. Neither more nor less, Hyun-Bang had the monopoly and Sung -Gyun-Guan solved the financial problem. The monopoly of Hyun-Bang is different from other Shi-Jeon which has the oligopoly right for ban to chaotic distribution(禁難廛權). Their oligopoly right for ban to chaotic distribution is reinforced the monopoly for the Hyun-Bang. Therefore, Hyun-Bang can maintain their right without relation of enlarged commercial policy(通共政策) for the abolition of the oligopoly right for ban to chaotic distribution even through they did not included in the six authorized market(六矣廛). Jeon-Bok who has the backing of Sung-Gyun-Guan had the monopoly and managed the Hyun-Bang, therefore they had to the duty that is obligatory labor to Sung-Gyun-Guan and Sok- Jean(贖錢) to the Sam-Sa(三司). Especially Sok-jeon is play a role to take the slaughter right under the national policy for the ban of slaughter of cattle. Hyun-Bang paid the money for penalty(贖錢) instead with monthly rice presentation(朔米) to Pyoung -Si-Suh(平市署). That is appearance of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 Sam-Sa and comfortable commercial transaction within different system to other Shi- Jeon. Monopoly of Hyun-Bang was challenged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currency of Seoul in 18th century. The increase of slughter profit and influx of foreign cattle induced the illegal slaughter, hence merchant of Bong-Sang-Shi(奉常寺) and trader of fork market(猪肉廛) as a privileged merchant encroached the monopoly of Hyun-Bang. For the reason of such like challenge, Jeon-Bok found the chamge of the proper reaction. At first, Hyun-Bang excluded the points of merit encroachment. They paid money to avoid the obligatory labor(應役) and after all they had only economical burden. They tried to reduce the Sok-Jeon to Sam-Sa and to trade the Kun-Kak(筋角) which was donated. That is reducing the obligation and concentrating to the trade behavior. Moreover, Hyun-Bang tried to expansion of current profit. Jeon-Bok, they enlarged the quantity and item of marketing and carry out direct sales with other country with exclusion of Woo- Jeon(牛廛). They searching for the new ways of surviving because their monopoly encroached. As a result, Hyun-Bang realized the way of profit magnification through competetion as a substitute of monopoly as a parasitic relation with authority. Hyun-Bang as a commercial organization can be consolidating their character. The effort of Hyun-Bang can be show the reaction to the new competitive power. They found the way which was changing their character to survive in a changing environment of commercial system. We can confirmation the commercial development pattern of Seoul in latter 18th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 changing of Hyun-Ba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