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생태정의(Eco-justice)실현을 위한 기독교의 책임모색

Title
생태정의(Eco-justice)실현을 위한 기독교의 책임모색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in the view of Eco-justice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생태정의Eco justice기독교책임모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a Christian respon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co- Justice'. The concept 'Eco- Justice' was one of the topics introduced at the JPIC(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conference of WCC in March, 1990 in Seoul, This concept addressed environmental justice as related to social and economic justice. It also pointed out that the economic imbalanc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is mainly caused by ecological destruction. In this case, underdeveloped countries are experiencing ecological disasters caused by overpopulation, adverse condi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and underdeveloped technology. In the situation of these countries, development cannot be slowed down for ecological preservation because poverty causes underdevelopment, which in turn delays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have destroyed the ecological equilibrium because of overdevelopment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resources. The writer consents that in order to achieve 'Eco-Justice' we need the realization of just distribution and a new politico-economical system. This thesis tries to find how to realize the just distribution and a new politico-economical system. In Chapter Two, the writer divides the fundamental factors which cause 'Eco-Unjustnes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Furthermore, the writer investigates these factors. In Chapter Three, the writer addres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over expenditures in the military which causes an economic and ecological oppressing factor in third world countries. Additionally, suggestions are included for solving some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The first thing is to convert from 'Economic Growth-Oriented Viewpoint' to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Viewpoint'. Second, converting from 'National Egoism' to 'Earth Community -Oriented Viewpoint'. Third,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ng justice in resources and income through the 'International Regime'. In Chapter Four, the writer illuminates how we accept the realivation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EGO- Justice' practically in the views of Christianity through the Bible and theological ethics. It is especially bases on the ethics of stewardship, the Jubilee and almsgiving, which are the basis of biblical ethics, and formed by WCC's 'the Ethics of Responsible Society' and Walter Muelder's 'the Moral Law' in. Then, the writer presents the role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focuses on 'Eco- Justice' in three examples and makes suggestions for solutions. First, Korean Christionity should establish the just church view to the essence of being a church in solidarity with the poor. Second, the exploring of a new community movement of distribution which is a specific practice of church. Third, being in the triangular position of peaceful unification theology; which is bases on the emancipation of Jubilee. In conclusion, 'Eco-Justice' is not achieved by the effort of a single person or a country but by the collective effort of all the peoples of the world. Furthermore, the role of a church is very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collective power. Lastly,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proposition of a practical economic structure which will substitute for the current capitalistic system, which widen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Moreover, it is asked that a new policy surpass the temporary countermeasure of charity and assistance.;본 논문은 '생태정의'(Eco-Justice)의 관점으로 기독교윤리학의 성찰작업을 전개한다. '생태정의'란 1990년 3월 서울에서 개최되었던 WCC의 JPIC(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서울 대회의 주제 개념중의 하나로 사회적, 경제적 정의가 환경 정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개념은 특히 남북간의 경제적인 불균형의 문제가 생태계 파괴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후진 개발국은 인구증가와 기후 변화에 따른 가뭄과 홍수 등 경제 개발의 악재 그리고 낙후된 기술 환경등으로 더 한층 가혹한 생태 재난을 경험하고 있다. 빈곤은 저개발을, 저개발은 환경 낙후를 몰고 와 생태 보존을 이유로 개발 을 늦출 수는 없는 것이 후진 개발국의 입장이다. 반면 선진 산업국은 산업 혁명 이후 과도한 개발과 부의 축적에 따른 자원의 과소비로 연하여 생태계를 무참히 훼손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태정의를 이루기 위해서 빈부간의 정의로운 소득분배의 실현과 새로운 정치·경제 체제의 형성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요청되는 사안임을 주장하면서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려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제2장에서는 남북간의 생태 부정의를 야기시키는 그 근본 요인들을 정치, 경제, 사상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생태정의 이론의 역사적인 배경과 그 의미를 설명하면서 후진 개발국의 또 다른 경제적, 생태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군사비 과다 지출과 관련된 생태 평화의 문제도 살펴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경제적 노력 방안들을 크게 세가지로 제시해 보았는데, 그것은 첫째, '경제 성장 중심' 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중심'으로의 전환이며, 둘째, '국가 이기주의' 에서 '지구공동체 중심주의'로의 전환이고 셋째, 국제 레짐(International Regime)을 통한 자원과 소득의 분배 정의의 실현이었다. 제4장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정치, 경제적 생태정의 실현 방안을 기독교의 차원에서는 어떻게 수용할 수 있을지 성서와 신학 윤리를 통해 조정해 보았다. 그것은 특히 성서 윤리의 근간이 되는 청지기와 희년, 자선 및 공동 소유의 윤리를 기초로 하고, WCC의 '책임 사회의 윤리' 와 윌터 뮬더의 '인격적 공동체의 윤리'를 틀로 하여 이루어 졌다. 그리하여 생태정의를 지향하는 한국 기독교의 과제를 크게 세가지로 모색해 볼 수 있었다. 그것은 첫째, 교회 존재의 본질로서 '가난한 자들과 연대하는 정의로운 교회관의 형성'이었고 둘째, 교회의 구체적인 실천이라 할 수 있는'새로운 나눔의 공동체 운동 모색'이었으며 셋째, '희년과 샬롬의 정신에 근거한 평화통일 신학의 정립'이었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마지막으로 내린 결론은 '생태정의'는 한 개인이나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성취되기 어렵고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과 민족들과 국가들의 연대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그러한 연대적인 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남은 과제로는 빈부의 차를 극대화시키는 현 자본주의 체제를 대신할 구체적인 경제 체제를 제시 하여야 한다는 것과 임시 방편적인 자선과 원조의 대책을 능가하는 지속적인 제3의 정책이 요구된다는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