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恩珠-
dc.creator李恩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46-
dc.description.abstractElijah is Known as a prophet who was active in Yahwism at the crisis when it fell into religious syncretism. The study on the period of Elijah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research of Elijah itself but also in the study of Monotheism in the Old Testament, particularly, religious circumstances in the kindom period. On the assumption that it passed through several editing processes with various sources, Elijah narratives, which appear in I Kings, chapter 16-22 and in Ⅱ Kings, chapter 1-2, take the complex shape of lots of discrepancies and contradiction in text. If so, several questions can be raised, including what was added during the redaction process, how Elijah featured in the original text and what is the historical nucleus of that time possibly found in the Elijah narratives. To answer these question, this thesis applied the analysis method which presents three editing layers; Dtr G, Dtr P, Dtr N which Gottingen school suggested to analyze Deuteronomistic History. By the analysis, those are detected. First of all, I Kings chpter 18 is composed of three independent stories; drought narraive, Carmel narrative, Obadiah narrative. And these originally independent stories had been combined by Deuteronomistic redactors. In chapter 18, Elijah appears as a helper of the king Ahab and a performer of miracles. Elijah as an opponent of the king Ahab was not the original picture of Elijah but the work of Deuteronomistic redactors. The confrontation between Yahweh and Baal presents the fact that Israelites worshipped both Yahweh and Baal and the Yahwistic tradition was being continued in spite of the religious syncretism. In chapter 19, the original story was the Elijah's pilgrimage narrative and this narrative is regarded to show that Elijah was connected with nomadic tradition, such as Rechbites tradition and was in line with Mosaic tradition. In chapter 21, Elijah does not appear in verse 1-16 which is regarded as an original part. The absence of Elijah in verse 1-16 indicates that Elijah had nothing to do with the Naboth incident. It seem that Deuteronomistic redactors made Elijah enter the stage in chapter 21, and they made Elijah show up in the opposite position of Ahab and Jezebeel because of their enmity toward Jezebeel who was pervent for Baalism. It can be said that the text which describes the religious circumstances in the kindom period best which Elijah worked is chapter 18.. According to chapter 18, in the time of Elijah, the trend of religious syncretism dominated, but the overall trend cannot be defined as polytheistic. In the original layers of chpter 18,19,21, Elijah appears to have taken a position of the advocate of Yahweh and the rescuer of Yahwism. This feature of Elijah is found clear when it is cpompared with that of Moses. The feature of Elijah shows that nomadic tradition of Yahweh was being continued although it belongs to minority, and it is unreasonable to contend that the religious circumstance was polythiestic although the syncretistic trend was rampant in those days. Elijah narratives are not a hitorical report in terms of historicity in modern times , but they surely have a historical nucleus which reflects the period that Elijah was active and show that what Elijah was like.;엘리야는 주전 9세기 북이스라엘 오므리왕조 아합왕 시대에 야웨종교가 종교적 혼합주의의 위기에 빠졌을 때 활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교적 혼합주의의 물결이 거세던 엘리야의 활동시대에 대한 연구는 엘리야에 대한 연구라는 것 자체로서도 중요하지만, 최근 구약 학계에서 제시되고 있는 구약성서의 유일신론 연구, 특히 왕국시대 종교 상황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열왕기상 16-22장과 열왕기하 1-2장에 나타나는 엘리야 전승은 그 본문안에 많은 모순과 불일치점들을 가지고 있는 복잡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본문 내에 다양한 자료들이 존재하며 본문에 대한 몇 번에 걸친 편집단계가 있었음을 전제하게 한다. 그렇다면 엘리야 전승의 원래의 모습은 어떠했으며 편집과 정에서 덧붙여진 부분들은 무엇이며 원래의 이야기에서 볼 수 있는 엘리야의 모습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 특히 편집과정을 거친 엘리야 전승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당시의 상황에 대한 역사적인 핵은 무엇일까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엘리야전승이 성서 안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기까지의 편집과정을 고찰하면서 이를 통한 엘리야 설화의 모습을 살피고 엘리야 전승의 역사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왕국시대인 북이스라엘 오므리 왕조 아합 왕 당시의 종교상황을 고찰하며 이런 고찰을 통해서 당시의 신관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볼 수 있는가를 밝혀 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엘리야 전승의 역사성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살펴보며 본고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Ⅱ장에서는 열왕기상 18:1-46의 분석을 통해서 본문이 가뭄설화, 갈멜산 설화, 오바댜 설화라는 세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히고 이 안에서 역사적 엘리야의 모습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열왕기상 19:1-18의 분석을 통해서 엘리야의 성산으로의 순례가 모세와 엘리야 사이의 관련성과 엘리야와 광야에서 야웨를 섬기던 레갑족속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본문임을 고찰하며 본문내의 문제들을 풀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열왕기상 21:1-29의 분석을 통해서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안에 나타나고 있는 당시의 사회적 상황은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며 엘리야가 본문에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엘리야전승의 편집자인 신명기사가의 모세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며 엘리야 전승내에 나타나는 엘리야와 모세의 유비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Ⅵ장에서는 앞단원을 요약, 정리함으로써 엘리야 전승이 역사적 핵을 가짐을 밝히고 이를 통해서 엘리야 전승에서 당시의 상황에서 혼합주의의 경향이 흐르고 있기는 했지만, 당시의 신관의 성격을 일부에서 주장하는 바대로 다신론적인 것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약어표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목적 = 1 B. 연구사 및 연구 방법 = 3 Ⅱ. 열왕기상 18장 1-46절에 나타난 엘리야의 모습 = 11 A. 문제 제기 = 12 B. 본문 주해 = 15 1) 가뭄 설화 (18:2,17abα,41-46) = 16 2) 갈멜산 제의 설화 (18: 18-40) = 18 3) 오바댜와 엘리야의 상면 이야기 (18: 2-16) = 27 4) 결론 = 30 Ⅲ. 열왕기상 19장 1-18절에 나타난 엘리야의 순례 = 32 A. 문제 제기 = 32 B. 본문 주해 = 35 1) 성산으로의 순례 - 19: 3b-17 = 36 2) 후기의 첨가 = 38 3) 결론 = 44 Ⅳ. 열왕기상 21장 1-25절에 나타난 엘리야 당시의 사회상 = 46 A. 문제 제기 = 46 B. 본문 주해 = 52 1) 나봇 이야기 - 21장 1-16절 = 52 2) 아합에 대한 엘리야의 경고 21:17-24 = 55 3) 후기의 첨가 - 21:19b, 20, 25-27, 29. = 57 4) 결론 = 59 Ⅴ. 역사적 엘리야와 신명기 사가 = 61 A. 모세에 대한 신명기 사가의 이해 = 61 B. 엘리야와 모세 = 65 Ⅴ. 결론 = 71 참고문헌 = 75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88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엘리야 전승-
dc.subject엘리야상-
dc.subject역사-
dc.subject왕상-
dc.subjectElijah Narratives-
dc.title엘리야 전승에 나타난 역사적 엘리야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왕상 18, 19, 21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f the Portrait of Historical Elijah in Elijah Narratives-
dc.format.pagevii, 8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