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新羅後期 禪師塔의 硏究

Title
新羅後期 禪師塔의 硏究
Other Titles
So~nsa-ta´p in the last years of Shilla Dynasty
Authors
이연수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신라후기선사탑So~nsa-ta´pShilla Dynas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makes an inquiry into the So~nsa-ta´p (the stupas built in common ratrin of the emernent monks of the Ch'an school) that appeared in the Shilla society, concurrently with the expansion of Southern Ch'an School in the mid-nineth century, as a unique shape of stupa (octagonal typ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general shape of granite stupa (hexahedral type). It seems that tile So~nsa-ta´p in the last years was inflenced by the Huachung area, a center of Buddhist culture in those days In China. Especially, tie Sarira Tower of Seosang Buddhist Temple is worthy of note in that its feeling of the quality of the material is coincident wit]1 ornament of surface of the stupa.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sa-ta´p in the last years are as follows. In form, the So~nsa-ta´p consists, similarily to the general shape of granite stupa, elf the stylobate part, the ter·or body part and sangryoon part. In shape,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shape of granite stupa; ① it has' a lot of ornament of surfice of the stupa. ② it precisely copy~engraved octagonal building formation in its towel· part, and ③ it has many irregularities and unevenesses. In style it is diversified. Artisans' ways of expression are varied, and a many and large difference is shown on the level of the qualify of the works. On the basis of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So~nsa-ta´ps in the last years of Shilla Dynast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So~nsa-ta´ps in the last years of Shilla Dynasty is a modelled form of the suprembliss that was pursued in those· days. The view of Sukhavati In which the present world and the suprembliss were unified was represented through its creator and supporters, and this modeling is closely related with the needs of the lay believers. Influenced by the Southern Ch'an thought; and the Avatamska thought, along with the view of Sukhavati wishing to fro to the other world by mak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e representation of the view of sukhavati in which the present world and the suprembliss are unified by seeing that I myself is a Buddha, and that the present world is just the suprembliss, models the suprembliss explanatorily. The principal reason why the So~nsa-ta´ps in the East years of Shilla Dynasty was made in a variety of ways and had a large difference on the level of the quality of work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sculptors of Buddhist images and unskilled artisans, including kukkong artisans skilled in iconography and technique developed their own activities independently, by the help of demand for the Buddhist arts, their ways of expression came diversified, greatly differing on the level of technique. Bulsa in the former years was made by kukkongs on the national level, the So~nsa-ta´ps In the last years of Shilla Dynasty for the most part was made by local artisans, and kukkongs took part only in the events where the n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o~nsa-ta´ps, The difference in the artisans' level of technique gave rise to diversity of the So~nsa-ta´ps as well as of the fine arts in the last years of Shilla Dynasty.;이 논문은 新羅後期의 禪師塔에 대한 연구이다. 이 글을 쓰는 목적은 선사탑의 構成과 浮彫像들의 圖像들을 통하여 선사탑의 構造的 意味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리고 9세기에 신라사회에 나타나는 선사탑의 유래를 중국 선사탑중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는 華中지방의 사리탑에서 찾아보고 신라후기의 선사탑을 연대순으로 살핌으로써, 중국 선사탑의 형태가 기존의 신라의 불교미술과 상호 영향을 주어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당시의 淨土觀이 어떻게 조형화 되었나와 당시의 美感을 살피는 것이다. 禪師塔은 선사의 墓塔으로서, 基壇部, 塔身部, 相輪部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蓮池華藏의 형태를, 그리고 탑신부는 八角圓堂의 형태를 조형화 하였으며, 특히 기단부는 坐佛像臺座의 형태와 상호 영향을 주면서 변화한다. 그리고 선사탑의 표면에는 용, 사자, 신장상, 주악천인, 가릉빈가, 사천왕, 비천, 극락조 등을 浮彫하였는데, 이는 極樂의 聖衆들로서 탑을 수호하는 형상을 조형화한 것이다. 팔각원당형 선사탑은 9세기 중엽 南宗禪의 보급과 더불어 후기 신라사회에 등장하였다. 당시에는 중국 불교의 중심지가 華北에서 華中지방으로 옮겨졌고, 신라후기 선사탑도 화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선사탑의 유입초기에는 南宗禪의 嵩山이던 南岳(지리산)에 선사탑이 밀집되어 있다. 그리고 선사탑은 선사가 입적하고 나서 절이 주체가 되어 제작되었는데 이는 禪師塔碑가 선사탑 건립 이후에 왕의 허가를 얻어 세워지는 것과 제작 경위와 시기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선사탑의 건립시기는 선사의 입적연대와 탑비의 건립연대의 사이에 있지만 선사탑의 건립연대가 정확히 명기되어 있는 것은 극소수 뿐이다. 이렇게 신라사회에 세우지게된 팔각원당형 선사탑의 신라후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신라후기 선사탑의 크기는 3m 전후로 대부분 일정하고, 비례는 폭과 높이의 비율이 1:4와 1:3인 경우가 있다. 구성이 복잡하고 표면에 浮彫가 많아 화려해 보인다. 신라후기 선사탑은 양식이 다양하고 작품수준의 편차도 큰데, 이는 匠人들이 증가하고 중앙의 통합된 장인 체제가 아니라 사찰을 중심으로 한 분산된 체제가 된데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라후기 선사탑은 당시에 지향하던 極樂의 세계를 조형화한 것이다. 당시 사회 저변에 널리 퍼진 淨土觀이 조성자와 후원자를 통하여 신라후기 선사탑에 반영되었으며 이러한 조형은 일반신도의 요구와 맞물려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