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혜수-
dc.creator우혜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8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89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클레(Paul Klee, 1879-1940)의 회화에 나타난 음악적 모티브에 관한 고찰이다. 클레는 사회, 문화, 정치적 변혁기인 20세기 초에 출생하여 현대미술의 선구자의 한 사람으로서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음악과 미술을 접목하려는 여러 시도들 중에서 어느 누구보다 성공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화가이다. 클레의 회화에 음악은 어떠한 배경에서 도입되었으며 음악이 적용되는 구체적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본 논문의 내용이다. 본 논문은 클레 개인의 일생과 예술관에서 음악의 위치와 음악적 모티브가 도입되는 이론적 근거들을 밝힘으로써 그의 작품에 보이는 막연한 음악적 느낌들을 구체화하여 클레의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의도에서 마련되었다. 클레는 동시대의 화가들 중에서도 드물게 음악에 대단한 열정과 관심을 가진 바이올리니스트이자 화가로서 그의 삶과 예술은 음악과 밀접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모차르트의 연주에는 거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기교와 표현능력이 뛰어난 음악가였다. 이같은 개인적 배경과 더불어 독일의 음악적 분위기, 괴테의 사상과 모차르트의 다성음악 등의 영향은 자연스럽게 음악을 최고의 정신적 가치로 받아들이게 했다. 클레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의 예술의 기본 개념은 '균형'이다. 그가 회화에 음악을 도입한 것은 이러한 개념에서 비롯한다. 약 9000점에 달하는 클레의 작품들은 반복되지 않는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어서 특정한 미술 사조에 속하지 않으며, 구상적인 면과 추상적인 면을 공유하면서도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다를 초월하는 특성이 있다. 특정한 범주를 초월하여 균형이라는 개념을 획득하기 위해 그는 구상과 추상, 시각과 청각, 공간과 시간 등의 상반된 성질을 종합하고자 하였으며 그 방법들 중의 하나가 미술과 음악의 결합이었던 것이다. 클레는, 음악은 18세기 말의 다성음악(多聲音樂)을 통해 이미 절정에 이르렀으나 미술은 아직 그러한 시기에 달하지 못했으므로 미술도 음악과 같은 절정기에 도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뒤떨어진 어느 한쪽과 앞선 다른 한쪽의 수준을 맞추려는 이러한 생각도 클레가 가진 균형감의 표현이었다. 미술과 음악을 결합하는 방법에도 균형의 개념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클레는 20세기 이전에 주로 이루어졌던 방법인 음악과 관련이 있는 대상의 표현과 함께 18세기 말의 다성음악의 엄격한 법칙을 회화에 도입함으로써 전통과 현대라는 상반된 개념을 결합하고 있다. 이것이 음악적 회화를 시도한 동시대의 다른 화가들과의 차이점이다.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를 비롯한 화가들이 단지 음악과 관련된 대상이나 음악적 느낌, 시청각의 공감각적 효과의 표현에 그치고 있는 반면 클레처럼 구체적 대상은 물론 음악의 법칙을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는 전무후무한 일이다. 클레가 소재로 한 음악과 관련된 대상은 악기, 음악가, 극장, 음악부호 등으로 다양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클레는 선과 색채를 음악의 음(音)과 동일시하여 대위를 적용함으로써 다성적 회화를 완성하며 이 두 가지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성적 회화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 시도된 클레 회화의 음악적 모티브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분석을 통해 음악이 단지 회화의 소재로서 도입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개인적 배경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균형'이라는 보다 넓은 클레의 기본 예술관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점에서 본 연구는 클레의 음악적 회화뿐 아니라 예술의 전반적 이해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This paper is about the musical motives in Klee's painting. Klee was born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society, the culture, and the politics were reformed. Living in this time, he constructed his original art world. Especially, he suggested the most successful solution in connecting painting and music.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what is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music into painting and what is the specific way of the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osition of music in his life & art, and to make clear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Klee's art more easily through making concrete the ambiguous musical feeling. Klee was a violinist who had passion and concern in music. His performance of Mozart was outstanting. Therefore, it was so natural that his life and painting were close to music. With this personal background, the influences of the musical atmosphere of Germany, the thoughts of Goethe and Mozart made him think music as the most valuable spirit. His introduction of music to painting is due to the 'balanc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his art. Almost 9000 of his art works are too various to belong to a special art trend, and they include both abstract and concret aspect. For obtaining the concept balance he tried to synthesize some contrary conceptions the abstract and the concret, the visual and the audio, the temporal and the spatial. And one of these ways was the connection of painting and music. Klee thought that painting had to attain the summit as music did at 18th century. This thought, that is, to equalize undeveloped one with developed one was also a kind of expression of his balance. The concept balance infuenced to the way of connecting art and music. And, he also associated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ty by introducing the principle of polyphony to abstract painting. This is the big difference with contemporary painters who tried musical painting. In the contrast with other painters like Kandinsky who just tried to evoke related subjects, musical feelings and synesthesia, Nee tried to express not only musical objects but also musical principle to his paintings. That was the first attempt. There are various musical objects-instruments, musicians, theater, and musical signs- which Klee used. Furthermore Klee accomplished synthetic polyphonic painting by identifying the line and the color as a sound and applying polyphony to them. We can sum up that the musical motives in Klee's painting is not just a subject matter, rather it bases on historical and personal background and arises from his basic concept of art, 'balance'. On this side I expect this study can offer a new viewpoint in understanding not only Klee's musical painting but also Klee's whole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 동기와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 Ⅱ. 클레 회화에 음악이 도입된 배경 = 7 A. 생애와 음악 = 7 1. 성장기 (1879-1898) = 10 2. 음악적 모티브의 형성기 (1898-1921) = 12 3. 음악적 모티브의 종합기 (1921-1940) = 16 B. 18세기 말 독일 예술의 영향 = 18 1. 괴테 = 19 2. 푹스 = 24 3. 모차르트 = 26 Ⅲ. 클레 회화의 음악적 모티브 = 31 A. 구상 / 추상적 특징 = 31 B. 음악적 대상 = 37 1. 인물 = 39 1) 오페라의 등장인물 = 39 2) 음악가 또는 연주가 = 40 2. 사물 및 부호 = 42 1) 사물 : 건물, 악기, 무대풍경, 소도구 = 42 2) 부호 : 늘림표, 높은음자리표, 페달표시, 악보 = 43 C. 음악적 제목 = 45 D. 다성적 회화 = 46 1. 다성음악 이론의 도입 = 49 1) 대위(counterpoint)와 다성(polyphony)이란? = 49 2) 다성음악 이론의 도입 = 50 2. 선의 다성 = 53 1) 선의 독립 = 53 2) 평행 구성 = 55 3) 대칭 구성 = 57 4) 선율 구성 = 58 3. 색채의 다성 = 61 1) 색채의 독립 = 61 2) 푸가 이미지 = 64 3) 색사각형 구성 = 65 4) 변형된 색사각형 구성 = 70 4. 종합적 다성 : <파르나스 산으로>를 중심으로 = 71 Ⅳ. 결론 = 76 참고문헌 = 79 그림 = 83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075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클레회화-
dc.subject음악-
dc.subject모티브-
dc.subjectKlee's Painting-
dc.title클레 회화에 나타난 음악적 모티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sical Motives in Klee's Painting-
dc.format.pagexi, 10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