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경-
dc.creator이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1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북한 영화를 중심으로 나타난 ‘일하는 여성’ 형상의 특성과 정책적 관계를 살피는 것이다. 북한 여성에 대한 기존연구 대부분이 정책과 제도라는 총론적 수준에서 정치 및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지적하면서 주요 선전 매체로서 북한 영화에 나타난 여성 형상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접근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여성정책이 정책이라는 공식적 창구를 통해 강제하는 한편으로 문화예술을 통한 선전과 교육을 주요 수단으로 삼아 인민들의 자발적 동의를 유도함으로써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유지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여성정책과 여성의 구체적인 삶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성정책을 중심으로 광복 이후 현재에 이르는 시기까지 여성정책과 관련 시대상황을 점검하였다. 북한의 현대사를 여성정책을 중심으로 구분한 것은 본 연구의 목적이 여성정책과 여성의 구체적인 삶의 분석에 있는 만큼 정치사회사보다는 여성정책을 중심으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각 시기별 여성정책과 사회적 상황을 고찰함으로써 북한이 지배이데올로기를 어떻게 강제하여 왔으며, 시기별 이상적 여성상을 어떻게 제시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각 시기별 여성정책과 구체적인 여성의 삶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화에 주목하였다. 분석대상 영화는 각 시기별 여성정책을 대표할 수 있는 8작품을 선정하여 기호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외, 주요 여성주인공 영화들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영화분석의 제한성을 보완하였다. 영화 분석을 통해 얻고자 한 핵심은 영화를 통해 구현된 ‘일하는 여성’의 구체적인 형상과 그 형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함의와 이데올로기이다. 북한 영화 속에 그려진 여성들의 형상은 북한정책에서 제시한 이상적이고 모범적인 여성상과는 거리가 있었다. 그 거리는 인민성과 현실성을 강조하는 북한 영화의 제작 특성상 구체적인 생활 현장을 표현해야 하는데 대상화된 현실과 이상적 여성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여성정책은 생활 속에서 어떤 문제를 갈등으로 삼고, 어떤 논리로 설득하느냐로 드러난다. 이 설득이 유효성을 획득할 때 주민들의 동의도 커지고 자발적으로 정책에 동참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 한다. 상대적으로 생활 속에 갈등으로 도출되는 부정적 현상이 곧 북한 당국의 정책과 현실생활 사이의 거리를 일정 정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여성정책은 여성의 권익신장이나 자아실현보다는 시대별 노동정책이 추구하는 지향점을 쫒고 있다. 이는 각 시대별 여성정책에서 제시하는 여성상이 북한 영화를 통해 그대로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 영화의 ‘일하는 여성’ 형상은 각 시기 정책에 부응하는 이상적 여성상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화 속의 모든 인물들이 주인공(protagonist)과 같이 이상적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영화 속의 여성 부주인공(antagonist)이나 조연(tritagonist)들은 정책의 지향과 다르게 개인주의적‧이기주의적‧형식적 관료주의적인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책과 현실 사이의 거리나 정책지향의 지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인민성의 원칙이란 예술창작에서 인민이 공감할 수 있는 현실을 그려야 한다는 원칙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어떤 정부가 어떤 정책을 펼치든 간에 정책의 목표가 현실에 적용되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정책과 현실 사이 지체(遲滯)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로 북한에서 영화가 갖는 사회적 기능이기도 하다. 정책과 의식, 정책과 현실 사이의 격차가 크거나 갈등이 심각할 때 북한 당국이 목표로 하는 공산주의적 새 인간으로의 개조가 쉽지 않음을 읽을 수 있었다. 영화 속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현실이 반영되는 것은 북한예술창작의 인민성 원칙 때문이다. 둘째, 북한에서는 정책을 주체적‧ 모범적으로 수행하는 주체로서의 여성은 남녀의 성(gender) 차이에 관계없이 노동정책을 구현하는 영웅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의 남녀 주인공의 위상이나 직책을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관료직‧전문직에서 종사하거나 상급자의 배역을 맡고 있으며 그 상급자가 종종 여성의 혁신적 행위를 무시하거나 반대하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성별의 분업에 의한 성차별보다는 같은 분야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의 능력이 우월하거나 전문성을 갖추었다는 고정인식의 반영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여성주인공의 경우에는 하급자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혁신적 성과를 내면서 직장 내의 직급과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지만 여성조연의 경우에는 하급자의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가정의 모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나는데,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노동과 함께 가사노동의 이중 부담을 지고 있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었다. 특히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이러한 인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미혼여성이 사회노동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가사노동을 하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고 심지어 가사노동 분담을 기피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기혼여성인 경우에는 사회노동 뿐만 아니라 퇴근 후 가사노동 전담을 여성 자신은 물론 가족까지도 당연시하고 있다. 이는 가부장제적 관성의 뿌리 깊이 온존이며 이는 직장 내에서의 여성의 직업, 직급 및 연령과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영화에서는 국가적‧사회적으로 기여하는 여성이 과중한 이중부담으로 인하여 남편과 가사 및 육아 분담문제로 갈등하고 충돌하는 소재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다. 북한당국의 체제유지를 위한 지배이데올로기의 강제와 동의는 당과 수령의 은덕에 힘입어 신화적 모델로 성장한 숨은 영웅을 발굴하여 인민들로 하여금 자기 내면화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부정적 인물에 대한 개조는 징계나 처벌보다는 모범‧희생적 모델을 통하여 감화‧감동시키는 작동기제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고난의 행군 이후부터는 용서와 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이른바 일정한 결함이 있어도 사회적 순결성을 고집하지 않고 포용하고 받아들이는 인덕정치‧광폭정치의 생활적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분석 대상으로 삼은 영화의 공간적 배경은 주로 협동농장과 경공업 공장, 상업판매소였다. 이는 실제 북한의 직업별 성별 분업에서 볼 때 여성들이 협동농장을 비롯하여 경공업 공장, 상업판매소 등에서 일하고 있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농장과 공장, 상업판매소에서 ‘일하는 여성’은 당의 정책에 충실하며 새로운 성과를 낸다는 면에서 남성과 차이가 없었다. 다만 예전에는 농장과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보다 상업판매소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직업에 대한 긍지나 자아존중감이 낮았는데 1990년 중반 이후에는 변화가 나타난다. 대내외적 변화와 경제난의 여파로 점차 상업이나 서비스직 근무를 선호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농촌보다는 도시적 삶을 지향하는 모습을 영화에서 쉽게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북한은 여성정책을 통해 집단을 위해 희생 헌신하는 여성상을 강제하고, 인민들의 동의를 얻기 위하여 영화를 통하여 선전, 교육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지체되고 갈등하는 불일치를 조연의 형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영화 속 조연 배우들의 개인주의적인 다양한 모습은 북한이 의도하는 공산주의적 새 인간 창조가 생활의 내면까지 규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The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features of ‘working women’ and national policy reflected in North Korean(NK) films. Also,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women, it is mainly about policy and institution building from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women characters in films, the major propaganda tool.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following assumption: North Korean policy on women induces voluntary consents through cultural propaganda and education while it forces people to obey the authority. This is the way the regime gets a tight grip on its people. For analysis of women related policies and situations, the period from 1945 until recent time is divided. The classification of NK modern history around women policy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fits mo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n the classification of political history. By delving into each women policy and social moods, the paper analyzed that how each policy was conducted to maintain NK ruling and how the authority presented ideal women in each period. The paper adopted semiotics by selecting films representing policies on women of the time as propaganda, based on women policies of each period and social situations. The movie selection focuses on time representational features of a movie and the movie analysis limitation was made up for through movies whose main figures are women. The point pursued via movie analysis is to show detailed working women’s lives and its social implication and ideology. Women in NK movies are different from ideal women which its policy pursu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ccurs because movies are apt to show the real lives and there is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Policies regarding women are about what kind issue becomes a conflict and how to persuade people. When this persuasion is valid, people are willing to consent and ar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policies. Negative phenomenon emerging from conflicts in real lives is a baromete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reality and NK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K policy on women is about what the labor policy of each period aims rather than what individual woman pursues for improvement and self-realization. It confirms that ideal type of women is described in movies. In other words, working women in movies portrayed ideal women fit for the labor policy. However, not all the characters in films were described ideal as protagonist. Other female antagonists and tritagonists showed individualistic, selfish, or bureaucratic features contrary to what the policy aimed. It means that films well reflected the gap between stark realities and policy intentions. NK art creation sticks to principle that artistic work should keep in touch with reality so that it resonates among its people. Also, whatever NK policy is, it is natural that the aim of policy takes certain time to be absorbed by ordinary people. And that is where NK propaganda movies come in. Movies serve as a tool to minimize the time gap. It shows that when policy keeps a distance from reality and perception of people, it is challenging for the authority to reinvent people into ideal communism followers. The reason movies allow the depiction of ugly reality is that NK art creation is deeply rooted in its people. Second, in North Korea, women are portrayed as people’ hero implementing labor policy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 However, social status and job title between women and men in movies reveals a big difference. Men are more likely to play superiors well-educated roles. This part can be translated into widespread prejudice that men are more capable or educated than women in the same field, rather than gender discrimination based on stereotype. Women protagonists climb up social and corporate ladder, starting from the low level and bringing stellar performances. On the contrary, woman antagonists are usually stuck in low-level jobs. The difference is even bigger at home. It takes for granted that women should take care of work labor and household chores. But, single women and married ones share little similarity in this conception. Single women are described to avoid household chores when they have jobs. Nevertheless, it is perceived that married women are responsible for social and labor and household chores. It is because that patriarchalism still lingers. And it turns out that it has something to do women’s jobs, positions and age. Since mid 1990s, movies have dealt with the reality: working mothers have difficulties joggling their lives and fight with husbands over household chores and child-rearing. Coercion and consent as tools to control people and sustain the regime create heroes who make people believe they can be them. Correction of negative characters shows that the authority tries to touch people’ minds and embrace them rather than punishing them. Especially forgiving and embracing are easily found since the ‘difficult march’ period. It means that despite errors, politics pursuing virtue is promoted without sticking to social integrity. Third, film locations are mainly factories, farms, and shops. It reflects that more women have these kinds of jobs than men in reality. Also, those working women in these workplace are loyal to the authority and bring about great results like men do. In the past, women in shops had lower self-esteem and job pride than women in farms and factories. This has changed since mid 1990s. Through sweep change and economic difficulty, more women prefer to have a job in service or sales and fancy city lives rather than country lives. Naturally, this can be easily seen in movies. The study shows that NK films serve as a tool to promote policies and educate people in order to idealize sacrifice of women for the regime and attract consents from people. At the same time, movies show dispatch among policies and realities and resulting conflicts via antagonists. Individualism well reflects that revamping people into ideal communism followers has limitation since the authority cannot intercept people’ min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선행 연구 고찰 및 연구 방법 6 A. 선행 연구 고찰 6 1. 북한 여성정책 연구 6 2. 북한 여성상 연구 10 3. 북한 영화 연구 12 B. 연구 방법 13 1. 기호학적 방법 13 2. 서사구조 분석 16 3. 미장센(mise-en-scene) 분석 19 C. 연구 범위와 분석 대상 21 1. 연구 범위 21 2. 분석 대상 30 Ⅲ. 사회주의 건설기의 남녀평등 정책과 여성형상(1945-1967) 37 A. 여성정책과 사회현실 37 1. 주요 여성 정책 37 2. 전반적 사회 현실 42 3. 여성 주인공 영화 현황 49 B. 영화에서 나타난 ‘일하는 여성’ 형상 51 1. 해방된 여성 : <내고향>(1949) 51 2. 재건사업에 참여하는 가두 여성: <신혼부부>(1955) 64 3. 천리마 여성기수: <정방공>(1965) 80 C. 반봉건 남녀평등을 추구하는 여성상 96 Ⅳ. 주체사상 수립기의 여성혁명화 정책과 여성형상(1968-1989) 99 A. 여성정책과 사회 현실 99 1. 주요 여성정책 99 2. 전반적 사회 현실 104 3. 여성 주인공 영화 현황 111 B. 영화에서 나타난 ‘일하는 여성’ 형상 117 1. 3대혁명의 실천적 여성 : <우리 렬차 판매원>(1972) 117 2. 숨은 영웅 여성: <생의 흔적> (1989) 132 C. 여성혁명화 과업을 수행하는 주체적 여성상 150 Ⅴ. 사회주의 고난기의 여성 헌신독려 정책과 여성형상(1990-2006) 153 A. 여성정책과 사회 현실 153 1. 주요 여성정책 153 2. 전반적 사회 현실 156 3. 여성 주인공 영화 현황 162 B. 영화에서 나타난 ‘일하는 여성’ 형상 166 1. 자력갱생의 실천적 여성: <녀인의 손>(1995) 166 2. 과학혁명의 실천적 여성: <이어가는 참된 삶>(2002) 184 3. 선군혁명의 실천적 여성: <그들은 제대병사였다>(2002) 200 C. 선군시대 고난을 극복하는 희생적 여성상 213 Ⅵ. 시기별 ‘일하는 여성’ 형상과 정책적 여성상의 유형과 함의 217 A. 노동공간 차이에 따른 유형과 함의 217 1. 농장의 ‘일하는 여성’ 218 2. 공장의 ‘일하는 여성’ 219 3. 상업 판매소의 ‘일하는 여성’ 222 4. 농장과 공장, 상업판매소의 ‘일하는 여성’ 형상의 차이 223 B. 시기에 따른 유형과 함의 225 1. 주연 배우의 일하는 여성 형상 변화 225 2. 조연 배우의 일하는 여성 형상 변화 227 C. 북한영화가 제시하는 일하는 여성상 232 Ⅶ. 요약 및 결론 239 참고문헌 259 <부록-1> 『조선중앙년감』수록 예술영화 목록 269 <부록-2> 여성관련 법과제도 및 세부내용 280 Abstract 2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3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영화에 나타난 '일하는 여성'형상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Working Women’ Features in North Korea Films-
dc.creator.othernameLee, Mi Kyoung-
dc.format.pageix, 29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