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자기생산(Autopoiesis)활동으로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탐구

Title
자기생산(Autopoiesis)활동으로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탐구
Other Titles
Self-Directed Learning as Human Autopoiesis
Authors
최영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lthough the society today extensively demands spontaneousness, creativ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 new world spirit, certain number of schoolrooms seem to be full of troubles, which are apathy, spiritlessness, anxiety, selfishness, and competitive spirit. The source of these troubles can be the school, society, system, government structure, etc, but when the scenes of classroom is put centered to analysis, the most notable problem is the cramming education. One reason why it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it fundamentally makes the students passive; it paralyses innate desire and passion for learning. The large demand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se days are related to this trouble. This demand is based on the educational anthropology, which means people, as a living thing have inner motives for spontaneous learning that is extracted from themselves. However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not embodied properly in the schoolrooms of Korea; it is in not understood rightly. Present writer considered the cause of this is Pedagogical Anthropologic error. In other words, teach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as a learner caused the problem. It can be overcame by understanding learners accurately as a human being.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explain - through the living system point of view - how the people are originally given motives and will for learning. It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how the learning itself be fulfilling its goal; also, it explained its premise, conditions and principals. The main topic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basis of the 'self-directedness' and what is its nature? Second, what is the principal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based on self-directedness? These researches above could be done by studying the literature and it proceeded by four parts. First, Present writer examined what does it mean to 'self-directedness' in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what is the limit of the existing analysis. Second, I explained the basis of the 'self-directedness', which people have as living thing, by principals of autopoiesis in living system. Third, I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be embodied in our real life and when does it expedite?' by investigating two special phenomenons, flow and communication which occurs in active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 considered what is autopoiesis of people as a conscious living thing. Fourth, I analyzed the condition and principal of a true self-directed learning that is centered around flow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that is produced through these process are written below: First, I pointed out the misunderstood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as a studying program that only concentrate on individual learners and their knowledge; also, to understand it more soundly, I brought up the necessity of a weighty meaning model that can relight its meaning within a life of a person as a living thing. I tried to find the meaning model in the process of Autopoiesis in living system, because all the living things produces them by themselves. As a living being, people grows up by themselves through self-transform, which is done self-recursively through interaction and voluntary feedback. This process is it of the living things' Autopoiesis. The core idea of this is all living things decides their growth themselves. I analyzed the scenes of flow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two phenomenons that appears in active participation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be realized in our life? These phenomenons indicate special interactions - the contacts with environment and feedback - which occur in conscious living thing and these lead to signifying phenomenon. Signifying phenomenon is a procedure of mental maturation, and flow and communication are signifying phenomenons that take place inner level(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d outer level(social and cultural) respectively. Furthermore, in the process, symbolic and transcendental mental phenomenon is revealed. Present researcher seized this as practical principals of self-directed learning. As I considered the method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ontains flow and communication as its motive power, it requires individual participation thorough flow and communication. By doing so, individual character and personality grows as well as their knowledge. To make this possible, ecological learning community as open system is essentially required. What the study above suggesting is as following: Firstly, si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a meaningful chance to maturate one's thought, it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 students' concrete life. The flow and communication here make the flow of energy happen which is essential for Autopoiesis. Secondly,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furthered under a open system, which is ecological learning system. An autonomous environment that does not contain artificial and oppressive factors is needed. The teacher's job here is to fulfill these conditions and promote the Autopoiesis of each individuals. Thirdly, self-directed learning is a study that maturates one's thought, which progresses with least outward show. Therefore, to prevent disorder and panic, supervisor should make the individual students' experience shared in class, so the learning energy flows. Lastly, whether the accomplishment is successful or not, can be answered by individual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growth of their inner thoughts. Therefore the procedures of the study can not be decided outside, and neither they can not judge the results. W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understood as a opportunity to maturate one's inner thought, teaching or learning may not be one standardized skill; it is more likely to be artistic activity that makes meaningful experience happen every moments. Learning will be creative itself if and only if when their class community offers unrestricted but serious communication as well as flow. This will reform the diseased;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새로운 시대정신에 따라 능동성, 창조성, 다양성 같은 가치들이 중요하게 요청되고 있으나, 그에 비해 학교 교실 현장은 무관심, 무력감, 불안, 이기심과 경쟁심 같은 병리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을 유발시킨 원인으로 학교, 사회, 제도, 정치적 구조 등 다양한 맥락을 지적할 수 있겠으나, 교실의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생각해 볼 때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바로 주입식 교육이다. 주입식 교육이 가지는 오류는 그것이 학습자를 끊임없이 수동적 위치로 전락시켜 생래적인 학습의 욕구와 힘을 마비시켜 버린다는데 있다. 현 시점에서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요구는 이런 문제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하나의 교육 인간학적 전제, 즉 자라나는 생명체로서 인간 안에는 자기 스스로 능동적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작용하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 주도적 학습은 실제 우리나라 학교교실 상황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의미가 불분명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와 의지가 생명 시스템적 관점에서 어떻게 인간 본성 안에 근거 지워지며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상황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어떻게 의미충족적인 자기 생산 활동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인지, 그 전제 조건과 실행 원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핵심을 이루는 자기주도성의 근거와 성격은 무엇이며 이는 인간의 삶 안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나아가서 그러한 자기주도성에 근거한 자기 주도적 학습 원리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본 논문은 다음 네 단계를 통하여 문헌연구로 진행되었다. 첫째, 자기 주도적 학습 개념에 내재한 자기주도성의 의미가 지금까지 어떻게 해석되어 왔으며 그 한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주도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둘째,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가진 자기주도성의 근거를 생명시스템의 자기생산(Autopoiesis) 원리로서 설명하였다. 셋째, 생명의 자기주도성은 인간의 일상적 삶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촉진되는가를 능동적 참여 활동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인 몰입과 대화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로써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어떻게 자기생산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넷째, 몰입과 대화가 중심이 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실제 학습 상황에서 어떻게 촉진될 수 있는지, 그 조건과 실행원리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기 주도적 학습 개념이 오늘날 학습자의 개인적이고 인지적인 차원에 초점을 둔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정도로 인식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삶을 전체성 안에서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적 해석 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해석 틀을 생명 시스템의 자기 생산 과정에서 찾고자 하였다. 왜냐 하면 모든 생명은 살아있는 동안 환경과의 구조접속과 자율적 피드백을 통해서 스스로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의 핵심은 유기체 스스로 자기 성장을 결정해 가는 자기주도성에 있다. 자기주도성이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능동적 참여가 수반된 인간 활동에 뚜렷이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 즉 몰입과 대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인간이 의식적 생명체로서 환경과의 구조접속과 피드백을 통해서 독특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과정으로서 여기서 의미화 현상이 나타난다. 의미화 현상이란 비가시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인간의 자기생산 과정이다. 인간의 내적 차원, 즉 생리・심리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미화 과정이 몰입이고, 외적 차원, 즉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의미화 과정이 대화이다. 이 과정에서 상징적이고 초월적인 정신 현상이 나타난다. 몰입과 대화 행위 안에서 발견되는 다차원적 의미화 과정이 비가시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간의 자기 생산 과정임을 발견하였다. 자기 생산 활동으로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은 몰입과 대화를 통한 전 인격적 참여 행위를 요구하며 그 결과 지식 뿐 아니라 개성과 인격을 창조하게 된다. 자기 생산적 학습이 촉진되기 위해서는 열린 시스템(Open System)으로서의 생태적 학습 공동체(Ecological Learning Community)가 필요하다.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인간의 자기생산, 혹은 자기창조 과정으로 이해할 때, 교수・학습 활동은 단순히 하나의 정형화된 기술일 수 없으며, 오히려 매순간 의미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행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학습 공동체 안에서 자유로우면서도 진지한 몰입과 대화 활동이 개성적으로 발현될 때, 학습 활동은 그 자체로서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이는 교실의 병리 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는 학습자들 자신과 그들이 속한 사회 구조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학습 활동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주도적 학습은 인간이 생존을 위해 벌이는 자기생산 과정으로 학습자의 구체적인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몰입과 대화는 자기생산을 위한 에너지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자기 생산적, 자기 주도적 학습은 열린 시스템, 즉 생태적 학습 공동체 안에서 촉진될 수 있다. 인위적이고 억압적인 요소들이 제거된 자율적인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 교사의 역할은 바로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학습자의 자기생산을 촉진시키는데 데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은 불확실성 안에서 진행되는 자기 창조 과정이다. 불확실성에 따른 무질서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몰입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학습자들의 고유한 체험들을 대화를 통해 학습 공동체의 공적 자산으로 교류하게 함으로써 학습 에너지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학업 성취 여부는 개인의 실질적인 참여 활동과 의미 체험에 근거한 내적 성장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과정은 외부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그 결과에 관해서도 타자가 일방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