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趙恩珠-
dc.creator趙恩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86-
dc.description.abstractThe Urban Climatology is a field of climatology which deals with uniquely warming urban climate by urbanization. The change of urban climate can be used as index of urbanization. With remote sensing technology, researcher can achiev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covered large area, so remote sensing is considered as major source of data in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Seoul region by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high-temperature and landuse by analyzing the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The data used this study are LANDSAT TM image of Seoul, each captured on Oct. 21, 1985 and Sep. 28, 1994. The surface temperature is extracted from band 6 of LANDSAT TM data., and change of temperature is analyzed. Prior to the analysis, Seoul's physical and human characteristics like terrain, urban wind, urbanization and urban climatology were researched. The result of analyzing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1985 was that semi-high and high-temperature areas were revealed at Eunpyung -ku, region covering Seoul station and Yongsan station, Shinchon, and Miasamkori area in northern Seoul, and at nearby Kimpo airport and part of Kangso-ku, Youngdungpo-ku, Kuro-ku and Kwanak-ku in southern Seoul. The result of analyzing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1994 was that semi-high and high-temperature areas were spreaded from those in 1985. Especially, new developing areas like Mok-dong, Seocho-ku, Kangnam-ku, Songpa-ku were remarkable. These areas are typical regions of urban redevelopment and new-housing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surface temperature between 1985 and 1994 was that changes at peripheral area were remarkable rather than existing urban center, sub-center and industrial area. The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outstanding at southern area rather than northern area. Especially, the high-temperature change at Seocho-ku, Kangnam-ku and Songpa-ku was remarkable. This show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change and landuse change. The large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was revealed at area of landuse change. The Seoul's semi-high and high-temperature areas are spreading in relation with landuse. The surface temperature is changing in proportion to change of urban function like redevelopment. Afte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urban climate and applying it to urban planning, Seoul can play a central role as a global city.;도시기후학은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점차 고온화되는 도시 특유의 기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도시기후의 변화는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원격탐사 기법은 넓은 지역에 나타나는 각종 지리정보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한 자료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도시기후 분야에 있어서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도시온도의 분포 및 그 변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서울의 지표온도의 공간적 분포양상을 관찰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고, 지표온도 변화를 분석하여 토지이용 변화의 진행과 지표온도 상승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985년 10월 21일과 1994년 9월 28일에 각각 촬영된 서울지역 LANDSAT TM 데이터 이다. LANDSAT TM 데이터의 6번 Band로부터 지표온도를 추출하였고, 온도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6번 Band를 제외한 나머지 6개의 Band를 토지이용 분류에 이용하였다. 분석에 앞서 지형, 도시풍, 도시화, 도시기후 등 서울이 가지고 있는 인문, 자연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1985년의 지표온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강북에 은평구와 서울역-용산역 구간, 신촌, 미아삼거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 청량리역 부근에서 준고온역 및 고온역이 나타나고 있다. 강남에서는 김포공항 부근과 강서구 일부 지역, 영등포와 구로구, 관악구 일부 지역에서 준고온역 및 고온역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1994년 9월 28일의 지표온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1985년의 지표온도 분포에 비해 준고온역 및 고온역이 확장되었으며, 특히 강남의 목동 신시가지와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의 신주거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도시 재개발과 신주거지 개발의 대표적 지역이다. 1985년과 1994년의 지표온도차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지표온도 분포 변화의 양상은 기존의 도심지나 부도심, 공장 밀집 지역에서보다는 외곽 지역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강북에서보다는 강남에서 지표온도 분포 변화 지역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에서의 지표온도 상승이 현격히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의 토지이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토지이용의 변화가 두드러진 지역에서 많은 지표온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서울지역의 지표온도는 토지이용 변화와 관련하여 고온역이 외곽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재개발 사업이나 주요시설 이전 등의 도시내 기능의 공간적 분포 변화에 따라 온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시기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도시계획에 적용함으로써 장차 세계의 중심도시로서의 서울이 인문적, 자연적으로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序論 = 1 A. 연구 목적 = 1 B. 자료 및 연구 방법 = 3 C. 도시기후에 관한 연구 동항 = 6 Ⅱ. 연구 지역의 개관 = 10 A. 지형 = 10 B. 기후 = 12 C. 도시화 = 17 Ⅲ. 서울의 토지이용 변화 = 23 A. 1985년의 토지이용 = 23 B. 1994년의 토지이용 = 25 C. 토지이용 변화 (1985-1994) = 26 Ⅳ. 서울의 지표온도 분포 변화 = 31 A. 1985년의 지표온도 분포 = 31 B. 1994년의 지표온도 분포 = 37 C. 지표온도 분포 변화 (1985-1994) = 42 Ⅴ. 종합적 고찰 및 결론 = 44 *참고문헌* = 47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54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토지이용변화-
dc.subject지표온도-
dc.subject분포-
dc.title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지표온도 분포 및 그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urface Temperature and Its Change with Landuse Change-
dc.format.pageviii, 5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