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의 경험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의 경험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Feminst Approach on Child Sexual Abuse
Authors
박순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어린이성폭력피해자경험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attern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en has getting various and diverse, there has been raised a need of study on child sexual abuse. Especially the child sexual abuse requires a different way of understanding from the general violence, in that its victims are children entirely dependent on adults and their injure may remain serious even in their growing-ups. In this thesis it is studied in two respects how the child sexual abuse occurs and exists continuously: gender inequality resulted from male oriented sexuality and the recognition that children are entirely dependent on adults. The thesis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and offender, and the pattern of abuse dynamics. And it contains how the sexually abused child and her mother who is solely responsible for the child-protection perceive the violence. The long-term effect of child sexual abuse is discussed in the end. The following are outcomes of this research. Firstly, The offender can be not only a stranger but also a family member. When a family member is the offender, the child eels threatened on one's security and is injured more seriously by distrust on the family member, and sometimes it is hard for the child to blame the offender openly. The authority of adults including the family members gets child sexual abuse easily generated. In addition, the offender utilizes a variety of .ways to keep the violence secret. The offender persuades the victim by compensation or physical superity to the victim. The child's innocence on sexuality could cause sexual abuse occurrences. Secondly, sexually abused children often blame their mothers who the children believe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breeding and did not protect themselves. The abused children recognize helpless social status of their mother unlike that of fathers with virtual authority, and choose the different lives from their helpless mothers'. Thirdly, sexual abused children regard themselves "bad girl" as they are not virginally chaste any more. In the other hand, in case of family offender, the victims protect the offender with family affection and keep the violence secret. Lastly, the victims look down on themselves based virginal chastity ideology, which causes themselves depressed and frustrated. Also the victims feel guilty for their being abused and think they should have done something against the violence. Sometimes the sexually abused experience drives the victims to protect themselves only by the sex itself. The above analysis shows that the child sexual abuse makes women to be a sexual objectification that it compels children 'to obey adults, and that the child sexual abuse is generated by excluding children in the sexual disclosure. Also the analysis shows that dichotomy of good girl and bad girl, and sex-segregated socialization through virginal chastity ideology make the victims to be helpless women. In conclusion, a fundamental structure change in our society and change of people's attitudes should precede for sexual abuse prevention and furthe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ctions for it.;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개념과 규정이 확대되고 그 범주가 다양하게 유형화되면서, 어린이 성폭력에 대한 개별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 성폭력은 어른에게 의존하고 있는 어린이가 그 피해대상이라는 점에서, 또한 성인이 된 후에도 그 피해 영향이 심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성폭력'과는 다른 이해방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남성 중심적 성문화를 통해 여성에 대한 통제를 유지 강화시키는 남녀불평등관계와 어린이를 무력한 존재로 보는 사회적 인식을 중심으로 어린이 성폭력의 발생과 유지구조를 살펴보았다. 논문 구성은 먼저 우리 나라에서의 어린이 성폭력의 현황을 살펴본 후,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 그리고 어린이 성폭력의 발생과 지속의 기제를 중심으로 그 맥락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다음으로 어린이를 보호해야 한다고 전제되는 어머니와 자신의 성추행 경험을 피해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경험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술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성폭력의 가해자는 처음 보는 타인뿐만 아니라 가족이 될 수 있다. 가족구성원이 가해자일 경우 어린이는 자신의 안전에 위협을 느끼고, 친지에게 갖고 있던 신뢰에 대한 배반감으로 인해 큰 상처를 입게 되거나, 가해자와의 친밀감때문에 그를 거부하거나 원망하기 힘들게 된다. 가족이 아니더라도 어른이 가진 권위는 어린이 성폭력 발생을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가해자들은 어린이들을 유인하고 비밀을 유지시키는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보상을 통해 유혹하기도 하고, 어른의 권위와 신체적 차이를 이용하는 강제적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어린이들의 성에 대한 무지도 어린이 성폭력의 발생, 유지 요인이 된다. 둘째,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들은 어머니가 자녀의 양육에 대해 척임을 지고 있다는 인식을 내면화하여 자신을 보호하지 못한 어머니를 원망한다. 또 한편으로는 실제적인 권력을 가진 아버지와 달리 무력한 어머니를 인식하고 어머니와 다른 삶의 방식을 택하거나 무력한 어머니를 보호하려는 입장이 된다. 셋째,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순결상실의 경험으로 인식하면서 자신을 '정숙하지 않은 여성'으로 내면화한다. 반면에 성폭력을 하나의 범죄행위라기 보다는 사랑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가해자를 보호하거나, 가해자가 가족구성원일 경우는 집안의 평화와 가족을 유지시키기 위해 침묵을 지키게 된다. 넷째, 피해자들은 순결이데올로기에 의해서 자신을 여자로서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되고, 이것은 무력감과 우울감에 빠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성폭력의 원인을 자신에게 돌리는 피해자들은 그로 인해 죄의식을 가지게 되고, 성폭력은 스스로 해결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또는 어린이 성폭력의 경험이 피해자로 하여금 성을 철저히 도구화하여 자신의 방어기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상의 분석은 여자 어린이에 대한 성폭력이 여성을 '성적 존재'로 대상화시키는 맥락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어린이에게 요구되는 복종 그리고 무성적 존재로서의 어린이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어린이 성폭력 경험은 순결이데올로기와 여성을 이분화시키는 남녀 차별적인 사회화 과정을 통해 피해자를 무력한 여성으로 만들어 낸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은 전반적인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어린이 성폭력의 피해 영향을 줄이고, 성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제시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