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라즐로 모흘리나기의 작업에 나타난 역동성 원리

Title
라즐로 모흘리나기의 작업에 나타난 역동성 원리
Other Titles
(The) Study on 'Dynamism' found whithin works of La´szo´Moholy-Nagy
Authors
고동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라즐로 모흘리나기작업역동성미술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라즐로 모흘리나기의 글과 작품에 나타난 '역동성'의 원리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20세기 이전의 작가들에 의해서도 역동적인 조형적 속성을 탐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은 종교적인 의도나 메세지를 극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색채, 형태 또는 구성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20세기에 이르게 되면 미래주의를 필두로 한 현대미술가들이 순수하게 시각적인 차원에서 움직임을 주된 소재로 삼게 되었다. 모흘리나기도 회화, 사진, 조각, 영화, 그리고 연극의 분야를 통틀어 역동성을 주요한 조형적 원리로 탐구하였으며, 실제적인 움직임을 실현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특히 모흘리나기는 20세기 초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역동성'을 새로운 조형 원리로 인식하였다. 러시아와 동부 유럽의 기하추상 작가들은 전쟁을 겪으면서 미술이 위기에 처한 서구 문명을 구제하여야 한다는 사명감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들은 새로운 사회질서로 과학기술 문명을 신봉하였고, 이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모흘리나기도 구축주의(constructivism)의 이념에 따라 과학문명에 의하여 고양된 새로운 차원의 역동성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모흘리나기가 탐구한 역동성의 원리와 실현 과정을 그의 이론과 작품을 통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움직임과 연관된 '시-공간', '빛' 그리고 '가상적 입체'에 관한 모흘리나기의 이론들은 주로 과학 이론과 실험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있다. 그의 책에는 상대성이론, 논리 실증주의, 인공적인 빛의 실험들과 엑스레이, 유리 건축, 사진, 영화, 인공광선, 기계, 전류 등이 소개되어 있다. 모흘리나기의 이론은 전통적인 미술이론의 영역을 넘어서 과학기술 문명의 변화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것이다. 모흘리나기의 작업에서 역동성은 착시적인 방법으로 동(動)적인 화면을 창출해내거나 빛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단계로부터 실제적인 빛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상태로 발전되었다. 우선 그의 비대상 회화에서 형상들이 비스듬하게 배치된 무한한 공간을 통하여 시-공간의 환영을 산출해내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간결하고 규칙적인 형상과 표현성이 최대한 배제된 상태에서 채색된 색면은 과학기술의 산물로서, 기계가 양산해내는 형태와 색상을 모방한 것이었다. 또한 포토몽타쥬와 스트레이트 사진에서는 역동적인 구도가 적용되는 동시에, 실제로 움직이는 인간의 형상이 도입되었다. 그는 사진의 신속하고 정확한 특성을 활용하여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모흘리나기는 개방되고 투명한 '시-공간'의 정의에 따라 '빛'을 새롭게 예술적인 수단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공간에 관한 그의 이론에서 구축주의 공간은 '움직이는 빛과 투명성'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는 물감으로 투명하게 교차면을 재현하였고, 캔버스의 재료로 금속성과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빛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빛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단계는 음화 사진을 탐구함으로써 성취되었다. 포토그램은 빛의 풍부한 변화를 감광지 위에 그대로 고정시키는 수법이다. 특히 그는 인공적인 광선을 이용하여 활발한 빛의 움직임을 얻어내고, 기록하는 성과도 낳았다. 그는 이와 같이 현대적인 재료와 수단을 통하여 빛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섬세하고 정확한 방식을 개발하게 되었다. 빛의 움직임을 산출해내려는 노력은 <빛과 공간의 변조기>에서 비로소 완성된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9년간에 걸쳐 완성된 이 작품은 역동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키거나 움직임의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움직이는 획기적인 것이다. 모흘리나기는 이러한 움직임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축(construction)'의 방식을 취하였다. 여기서 '구축'이란 작품의 형태와 재료를 과학자와 같이 철저한 실험과 기술직인 지식에 근거하여 제작하는 것을 가리킨다. 순수 조형성에 의한 실제 움직임은 영화나 연극과 같은 공연 예술로도 확장되었다. 그는 조각이 회전하면서 빛이나 공간 속으로 용해되는 과정의 추상 영화를 제작하였다. 연극의 무대에서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한 움직임과 탐색광이 사용되었고, 빛의 움직임이 관객 위로 비쳐지게 되었다. 이것은 기술적인 수단을 통하여 움직임을 창출해냄과 동시에, 관객에게 역동적인 시각적 경험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인 기능을 실현하는 성과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모흘리나기가 추구한 '역동성'은 과학기술 문명에 의하여 고양된 새로운 시대상을 상징한다. 그는 과학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풍부한 움직임을 산출해내었고, 예술이 지향하여야 할 바를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은 당시 일반화되었던 미래지향적인 정신과 유토피아니즘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1940-50년대의 키네틱아트 작가들은 좀더 발전된 수단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조각작품을 고안하였다는 점에서 모흘리나기를 계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작품은 합리주의와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현대문명의 도상으로서, 모흘리나기의 입장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또한 모흘리나기의 작업은 조각에 시간성을 도입함으로써 조각의 비물질화를 주도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그는 사진에서부터 움직임과 함께 빛을 주요한 요소로 다루었고, 움직이는 조각에서 움직임에 따라 공간과 빛이 조각의 형상을 이루는 단계를 직접 상연하였다. 그러므로 과학적인 방식과 원리를 결합하여 실제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내었던 모흘리나기는 기술적인 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조각에서 비물질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현대미술에서 움직임의 표현 가능성을 증대시켰던 것이다.;This theses analyzes 'dynamism' found within the works of La´szlo´ Moholy-Nagy. 'Dynamism' has frequently appeared prior to 20th century. While Baroque painters emphasized use of colors, forms, and compositions to help deliver religious messages and meanings, a group of modern artists such as Constructivists and Futurists accentuated the movement itself. Moholy -Nagy pursuited 'dynamism', a new visual principal through the combination of paintings, photographs, sculptures, films and drama and eventually succeeded in creating true dynamism. At the turn of this century, Moholy-Nagy started to recognize 'dynamism' a s a new principal of visual form. From the experience of the World War I, Geometric abstraction artists, originating from Russia and Eastern Europe ' were convinced that art ought to rescue the Western civilization at stake. They newly believe techno-scientific emergence as a order of society and tried to reflect this new order in their works. Moholy-Nagy also searched a new dimension of dynamism exalted by technological civilization based on Ideology of 'Constructivism'. Thus,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the course of dynamism's development appeared in the Moholy-Nagy 's theory and works and their effects in unifying art and science. As theory of space-time, Iight, and virtual volume related to motion were concentrated on scientific theory and experiments, Moholy-Nagy 's books were filled the theory of relativity, Logical positivism, laboratory works of artificial lights, X-ray, Glass architecture, photography, film and electric power. His writings about art focused on the achievements of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and their relevance to rather than traditional art theory. Dynamism in his works developed from dynamic plane of painting represented illusory or records of moving lights to actual movements, as exemplified in the true projection of moving lights. Moholy-Nagy once depicted space-time in non-objective painting, using the manner of infinite space in which shapes arranged diagonally. Simple and regular forms and colors applied in a objective way which excluded individual expression, were selected for imitating features produced by machine. Compositional character related to space-time was extended to photomontage and straight-photography. He used moving shapes of people, in photomontage and could capture the real moment of a movement applying the fast and the preciseness of camera. In 1923 during the Bauhaus period, he began to recognize light as an artistic medium, following his own space-time definition, open and transparent space, As defined in his theory of space, Constructivist space is characterized by light and transparency. He proceeded from method of painting with overlapping planes using pigment to the spraying technique and altering canvas bases to introduce light. However, the phase of capturing the actual light and its movements is more easily attainable by practicing basic photographic rules than painting. By experiment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he searched for the delicate and exact way to capture the image of moving lights. His will to represent the movements of lights in real space became reality in his kinetic sculpture. His , developed between 1922 to 1930, was dramatic in that it was not simply portraying dynamism or for recording the path of movements, but for creating the movement in and of itself. He took a stand, 'construction' to arrive at this motion, which is blue printing forms and colors of works based on the laboratory experiments and technological knowledge like a scientist. Kinetics of lights can also be discovered in his performing arts, films and dramas. He captured the scenes in film more efficiently with sculptures fused with light and atmosphere while rotating. On stages of drama, mechanical movements and roving search lights were applied and projected directly to the spectators. It is significant that social role of art came to be realized by directly offering dynamic visual experience to spectators as well as creating movements using mechanical devices. Moholy-Nagy's dynamism symbolized the new era and society of the future improved by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He created various effects of movements operated by mechanical devic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which the arts have to proceed. Works of Moholy-Nagy were consequences of spirit of future-oriented and utopianism spreaded over the whole society at that time. Kinetic artists that showed up in the 1940's and 50's could be called successors of Moholy-Nagy in the point that they devised kinetic sculptures with the more developed devices. Their works were icons of modem culture derived from trust of technology and accessed standpoint of Moholy-Nagy. His works were also distinguished that they leaded the road to 'de-materialization of sculpture' introducing 'time' element in the sculpture. Artist took the light as a important element in photography and display the state which space and time were fused to make a form of a sculpture, while it is moving in kinetic sculpture. Conclusionally Moholy -Nagy, who created real movement, extended the possibility of visualization of 'dynamism' by actively applying technical means and using de-materialized elements. in sculp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