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희-
dc.creator김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22-
dc.description.abstractA Study on the Winter Cap in Joseon Dynast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hapes, materials and uses of the winter cap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ccording to sex and social status. It is not certain when the winter caps were used from in Korea, but it seems that they were used from ancient times consider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politics conditions. The clothes were developed in ways to be able to stop the cold because of the cold and the strong monsoons like polar regions in winter in korea. A literature record regarding the winter cap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ppears first TaejongSilRok(太宗實錄, a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The winter caps were opened up on a head in shape and made at fold or used with the fur lining.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cords in early Joseon Dynasty, different furs were used for the winter caps of the officials by classes, so we know that the different materials were used by social status. But a variety of winter caps were used regardless of class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While the use of winter caps became general and men and women of all ages widely put it on, the demand of the winter caps increased together. Due to this, the fight to obtain privileges on the production and sale of winter caps between handicraftsmen and merchants was followed by frequent lawsuits, and the winter caps were imported with expensive prices from China. The winter caps were classified as men's, women's and unisexual one, and each characteristics and wearing way are as follows. There are the Manseonduri(滿縇頭里) and Huihang(揮項) for men. The name of Manseonduri which a military officials put on to a public servant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t was put around the line with the Chomi(貂尾) at the front and back and an outer side edge of the Mohwihang(毛揮項). The Hwihang was a winter cap made by putting fur to black satin and was opened up on a head, and came down until shoulder if it was put on in order to keep head and cheeks warm. Although the Hwihang was known for men's winter cap, but there was no strict classification for men's and women's one in light of the record that woman put on a HwiHang in Yeongjo(英祖) 50 years (1774). There were the Ayam and Jobawi for women. The Ayam was originated from men's winter cap, the Yiam(耳掩) in Joseon Dynasty period, which was changed for women's winter cap and called as Ayam. the Ayam was used for protections against the cold and decorative purpose in case of going out by common ladies and young ladies, and when they were not able to have a formal costume, they substituted Ayam for it. The Chobawi was a winter cap for women which came ou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covered the ear completely with a round edge to reach cheeks in other to protect against the cold. When they were not able to have a formal costume, noble family ladies substituted Chobawi for it with courtesy use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it seems that Chobawi began to be used in accordance with a chignon, as doing women's hair up in a chignon became popular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le the activity of the women became common and outdoor activity clothes were introduced with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further convenient Chobawi seemed to be widely used rather than Ayam. There were Nambawi, Pungcha, Bolkki and Kulle for a unisexual winter cap. Nambawi was a winter cap which man and woman altogether put on with the Pungcha, and came to be worn widely by men and women of all ages as well as common people. In its shape, Nambawi was opened up to the upper side and was a swallow beak form which made a curve at 3 phases to the lower side equally by the right and left. Bolkki used to be attached to it to cover cheeks and a chin in the cold weather and it could be attached and taken off as necessary. Pungcha was similar with Nambawi, but different from the point that Pungcha was connected to Bolkki which covered cheeks. Bolkki was used to cover the chin and both cheek and the ears against the cold and was worn mainly by common ladies and children. Kulle was used as a hat for ornamentation as well as for keeping out the cold in high class homes. It was called as Dolmoja because a child wore it on it's first birthday, but a child put it on mainly to 4, 5 years old. Kulle for spring, summer and fall was made to be well ventilated with thin silk spaced to 3~5 pieces and loosely intersected, but one for winter was made for keeping out the cold with black silk which was not sewed up but overlapped as nine slices of cloth. The winter cap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ave been examined as described above. The winter caps were used for protecting the body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s and changed as being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 a decoration besides for a ceremony. They were worn by men and women of the upper class in the early period but came to be worn widely by men and women of all ages as well as common people in the late period. We know that there was a common fashion of dress and ornament across all social classes in light of similarity between the winter hats of the nobility and one of the common people, although the society was rigidly hierarchical. In conclusion,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and name of the winter caps in literature records and the form feature and usage of Manseonduri and Huihang for men which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previous papers, and cla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Yiam and Yangyiam(凉耳掩) in their names, and examined the process of the fight to obtain privileges on the production and sale of a winter cap between handicraftsmen and merchants as the demand of the winter cap increased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Various names such as Yiam(耳掩), Hoeom(狐掩), Pigyeon(披肩), Hoyiam(胡耳掩), Sopungcha(小風遮), Hangpungcha(項風遮), Samsangeon(三山巾) were given on a winter cap according to the tim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sometimes a name or a form is used together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s, so the difference of them is ambiguous. Also, the remains are limited to things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so there is a limit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ure and the remains. Therefore, the further research on it is hoped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comparison with the winter cap of the north ethnics whose climate are similar with that of Korea.;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다양한 방한모에 대하여 성별, 신분별로 대별하여 형태, 재료, 용도 등을 살펴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방한모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기후 · 풍토 등의 자연환경과 지정학적인 영향으로 보아 상고시대부터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한대(寒帶)에 못지않은 추위와 강한 계절풍으로 인하여 의복은 추위를 막을 수 있는 구조로 발달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에 대한 문헌기록은 태종실록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방한모는 대부분 머리 위쪽이 트여있는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겹으로 만들거나 안에 모피를 대어 사용했다. 조선초기의 문헌기록을 보면 관리들의 방한모에 쓰인 모피를 계급별로 정하기도 하여, 재료에 따라 귀천(貴賤)의 구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비교적 계급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방한모가 사용되었다. 방한모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남녀노소 널리 착용하게 되면서 방한모의 수요도 함께 늘어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방한모의 제작과 판매를 둘러싸고 수공업자[匠人]와 상인간의 이권다툼은 잦은 소송으로 이어졌으며, 중국으로부터 방한모가 비싼값으로 수입되는 폐단이 생겨나게 되었다. 방한모를 남성용, 여성용, 남녀공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징과 착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용 방한모에는 만선두리(滿縇頭里)와 휘항(揮項)이 있다. 만선두리는 무신(武臣)들이 공복에 착용했던 것으로, 모휘항(毛揮項)의 앞과 뒤 그리고 바깥쪽 가장자리를 초미(貂尾)로 선을 두른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휘항은 검은 공단에 모피를 넣어 만든 것으로 머리 위는 뚫려 있고, 쓰면 어깨까지 내려와 머리둘레와 양 볼은 물론 어깨까지 따뜻하도록 만들어진 방한모이다. 영조 50년(1774)에는 여자도 휘항을 썼다는 기록이 있어 남자들의 방한모로 알려진 것과 달리 남녀가 엄격한 구분을 두어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용 방한모에는 아얌과 조바위가 있다. 아얌은 원래 조선시대 남자의 방한모이던 이엄(耳掩)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 말기에는 여성용 방한모로 변화되어 착용하면서 아얌이라 불렀다. 외출 시에 방한과 함께 장식적인 목적으로 일반 서민부녀자들과 젊은층에서 애용하였으며, 예장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는 이것으로 대신하기도 하였다. 조바위는 조선 말기에 생겨난 여성용 방한모로, 일반적인 형태는 빰에 닿는 부분을 동그랗게 하여 귀를 완전히 덮게 하고,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오그라져 있어 방한의 구실을 한다. 또한 개화기에 반가 부녀자들이 예장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 이것으로 대신하기도 하여 의례적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 조바위는 쪽찐머리에 적합한 형태로 19세기말 여자들의 쪽찐머리가 일반화 되면서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맞물려 개화기에 서양문물의 유입과 함께 여성들의 활동이 보편화 되고 활동성 있는 의복이 도입되면서, 아얌보다는 좀 더 간편한 형태인 조바위가 여성들의 방한모로 널리 사용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남녀 구별 없이 착용하던 방한모에는 남바위, 풍차(風遮), 볼끼, 굴레가 있다. 남바위는 풍차와 함께 조선시대 남녀가 모두 썼던 방한모로 말기에는 착용범위가 넓어져 서민층은 물론 남녀노소가 함께 착용했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가 뚫려 있고 아랫부분은 좌 · 우 동일하게 아래까지 3단계로 곡선을 이루는 제비꼬리 모양이다. 추운 날씨에 뺨과 턱을 가리기 위한 볼끼가 따로 부착된 것도 있는데 필요에 따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었다. 풍차는 남바위와 형태는 비슷하나, 뺨을 가리는 볼끼까지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 다른 점이다. 볼끼는 턱과 양 뺨, 귀를 덮기 위한 간단한 방한용구로, 주로 서민층의 여자들과 어린아이들이 사용하였다. 굴레는 조선후기 상류층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방한을 겸한 장식적인 쓰개로 사용되었으며, 돌을 맞이한 어린이가 많이 쓴다하여 돌모자라고 하는데 4 ․ 5살까지의 어린아이가 주로 착용했다. 춘 · 추 하절기용 굴레는 얇은 비단을 사용해 3~5조각으로 간격을 두고 성글게 교차시켜 통풍이 잘되도록 하였고, 동절기용은 검은 비단으로 아홉조각의 천을 꿰메지 않고 겹쳐놓아 방한모로써의 목적도 겸하였다. 이상으로 조선시대의 방한모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한모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용도 이외에 장식의 목적과 더불어 예모(禮帽)로써의 역할 등 여러 가지로 활용되면서 변화되어 갔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상류계급에서 주로 사용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착용범위가 넓어져 서민층은 물론 남녀노소가 함께 착용하였다. 또한 양반들과 서민들의 방한모가 유사한 것으로 보아 엄격한 신분사회에서도 사회계층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는 복식유행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방한모의 유래 및 명칭을 살펴봄과 동시에 기존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남성들이 주로 사용하였던 만선두리와 휘항에 대해 형태적 특징과 그 쓰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엄(耳掩)과 양이엄(凉耳掩)의 명칭에 따른 차이점을 밝히고자 했으며, 조선후기 방한모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수요가 늘어나면서 발생한 방한모의 제작과 판매를 둘러싼 수공업자[匠人]와 상인간의 이권다툼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방한모는 시대에 따라 이엄(耳掩), 호엄(狐掩), 피견(披肩), 호이엄(胡耳掩), 소풍차(小風遮), 항풍차(項風遮), 삼산건(三山巾) 등 다양한 명칭이 나타나고 있으나, 문헌에 따라 때로는 명칭이나 형태가 혼용되어 그 구분이 모호하다. 또한 유물은 대부분 19세기~20세기 초의 것으로 한정되어 있어 문헌과 유물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이와 관련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우리나라와 기후가 비슷한 북방계 민족의 방한모와 비교 ·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방한모의 역사 4 A. 방한모의 유래 4 1.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방한모 10 2.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방한모 15 B. 조선후기 방한모의 수입(輸入) 23 C. 방한모의 제작 및 판매 28 1. 원료의 수급 29 2. 제품의 생산 31 III. 방한모의 종류와 특징 34 A. 남성용 34 1. 만선두리(滿縇頭里) 34 2. 휘항(揮項) 35 B. 여성용 41 1. 아얌 41 2. 조바위 44 C. 남녀 공용 48 1. 남바위 48 2. 풍차(風遮) 52 3. 볼끼 55 4. 굴레 56 IV. 서양문물의 유입에 따른 변화 61 V.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8 부록73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56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방한모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inter Cap in Joseon Dynasty of Korea-
dc.creator.othernameKim, Sung Hee-
dc.format.pagex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