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수정-
dc.creator노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1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의 조선시대(朝鮮時代)와 일본의 에도시대(江戶時代)의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식물무늬는 인간이 농경생활을 시작한 신석기 시대부터 활발히 그려지고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는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주식의 풍요를 기원하게 되고 따라서 기원과 바람의 표현수단인 무늬에 식물무늬를 사용하였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식물무늬는 식물숭배사상과 대지모신(大地母神)을 상징하는 무늬로서 활발히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식물무늬 중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꽃무늬는 아름다움, 미인(美人), 번영과 풍요, 재생과 영생 등을 상징한다. 식물의 형태를 나타낸 무늬는 각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사조(思潮), 종교, 미감(美感) 등에 따라서 각기 특색을 나타내면서 상징적인 뜻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깊다.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나는 식물무늬에는 연꽃, 모란, 매화, 국화, 석류, 복숭아, 월계, 포도, 대나무, 추해당, 불수감, 동백, 영지, 호리병박, 난초, 작약, 수국, 닥풀, 천죽, 벚꽃, 수선화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결과 빈도수가 4회 이상 나타난 식물무늬인 연꽃, 모란, 매화, 국화, 석류, 복숭아, 월계, 포도, 추해당, 불수감, 대나무, 동백만을 다루었다. 조선시대의 직물류에 나타난 식물무늬의 상징성은 조선시대를 지배하였던 유교의 이념에 부합하는 상징성을 갖는 것들과 인간이 일반적으로 기원하는 부귀(富貴), 장수(長壽), 다남(多男), 다복(多福) 등의 상징성을 갖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에도시대 직물에 나타나는 식물무늬는 조선시대의 직물에 나타나는 식물들에 비하여 그 종류의 범위가 넓고 다채롭다고 할 수 있겠다. 매화, 대나무, 소나무, 국화, 단풍, 벚꽃, 모란, 오동, 등나무, 싸리, 갈대, 창포, 접시꽃, 동백, 붓꽃, 호리병박, 나팔꽃, 버드나무, 해당, 조팝나무, 포도, 백합, 민들레 등이 있다. 일본의 식물무늬도 조선식물무늬와 마찬가지로 빈도수가 4회 이상의 식물무늬인 매화, 대나무, 소나무, 국화, 단풍나무, 벚꽃, 모란, 오동나무, 등나무, 싸리나무를 다루었다. 일본의 복식에 나타난 식물무늬는 가문(家紋)에 사용된 식물무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이념적, 종교적 상징성을 갖기보다는 계절의 변화 또는 당시 유행하였던 식물을 중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선시대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는 신분의 위계질서가 엄격하였고 그에 따른 직물의 종류와 무늬의 종류에 엄격한 규정을 두었으므로 그 종류에 있어서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무늬의 표현 방법에서도 조선시대의 직물은 활옷이나 소품류를 제외하고는 무늬를 은은하며 소박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그 표현에 있어서는 사실적으로 표현된 것도 많았고 도안화하여 단순하게 그 특징만을 살려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에도시대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는 장식성이 두드러지게 발달하였고 지극히 회화적인 표현들이 많다. 직조를 기본으로 염색과 자수 접박(摺箔)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무늬를 보다 다채롭고 화려하게 표현하였다. 실제 식물과의 비교에서도 무늬의 표현을 주로 염색과 자수로 표현하였으므로 식물의 묘사를 아주 정교하고 자세하게 표현하였다. 식물무늬를 중심으로 한국 복식류 및 직물류 유물 86점과 일본 복식류 유물 63점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연꽃무늬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그 뒤를 이어 모란, 매화, 국화, 석류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각 무늬는 특정한 상징성을 갖는 식물들로 각각 군자, 선비 등 유교적 상징성과 다산, 다남, 부귀, 장수 등 인간들의 일반적인 염원을 상징성으로 갖는 식물들이 무늬로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일본의 직물류에 나타나는 식물무늬에서는 매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대나무, 소나무, 국화, 단풍이 그 뒤를 이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들 무늬들은 사대부의 품성과 지조 등의 상징성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회화적 무늬로 표현되면서 계절을 나타내는 모티프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직물류에 사용된 식물무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었지만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었으며 상징성에서도 같은 식물무늬라고 할지라도 한국과 일본에서 다른 의미로 표현되는 것도 있었다. 한국과 일본의 식물무늬를 시작으로 동물무늬와 기하학무늬 등 다른 무늬들의 후속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언급하게 될 한국과 일본의 식물무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지하여, 한국과 일본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This paper is about the plant patterns expressed on garments during Korea's Joseon era and Japan's Edo era. The plant patterns mentioned here are speculated to be in use since the Neolithic ages when our ancestors were mostly farmers. Agricultural prosperity was the top priority and as a sign of a wishful thinking, plant patterns were used. Basically plant patterns represented the idea of mother earth and plant worshipping and grew bigger or popular as time progressed. There are many forms of plant patterns butthe majority of these fit into the category of flower patterns. Flower patterns also hold various meanings such as beauty, beautiful women, prosperity, reincarnation and eternal life. It is especially more meaningful as these symbols usually reflect what went on the society, religion, general consensusand sense of beauty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During the Joseon era, most apparent patterns were as listed: lotus, peony, plum blossom, pomegranate, peach, chinese rose, bamboo, grape, begonia, horned orange, camellia, Ganoderma lucidum, orchid, hydrangea, bottle gourd, hollyhock, nandina, cherry blossom, narcissus. Distinctivecharacteristics of plant patterns from Joseon era would be that majority of these symbols bear lessons or morals from Confucianism. Also another big part was consisting of symbols that represented basic wishful things such as: wealth, longevity, prosperity, good luck. Compared with plant patterns from Joseon era, patterns from Edo era are much more diverse in its variations. Most used patterns were: plum blossom, bamboo, pine, chrysanthemum, maple, cherry blossom, peony, paulownia, wisteria, bush clover, reed, iris, hollyhock, camellia, blue flag, bottle gourd, morning glory, willow, chinese rose, bridal wreath, grape, lily, dandelion. These patterns, unless used as a family crest, were used to represent a popular fashion or seasonal changes rather than that of certain ideas or religions. Patterns of Joseon era were strictly tied to a social hierarchy system which limited usage of certain patterns for certain social classes. This fact may have had an affect on the variations of pattern we see today. Even in term of expression, most garments were decorated with a rather plain-looking pattern & colors with an exception of Korean wedding robe (Hwarrot) or accessories. Furthermore, some patterns were made to look as real as possible when some patterns were simplified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In other hand, Patterns of Edo era were somewhat overly decorative with extremely illustrative expressions. These patterns were basically weaved creations with a usage of color dyeing techniques and embroidery in simulative manner. As a result, the garments were colorful and varied. Also due to advanced usage of color dyeing techniques and embroidery, plants were expressed in the most realistic manner. 86 pieces of Korean clothing & garments with 63 pieces of Japanese garment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ee the most used plant patterns in Korea were lotus, peony, plum blossom, chrysanthemumand pomegranate. Each patterns had very distinctive meanings to them such as: a man of honor, a scholar, a symbol of Confucianism, prosperity, wealth and longevity. It can be said that things people wish for are the most popular ones to be used as patterns. Unlike Korean patterns, Japanese patterns were most likely to be seen in a form of plum blossom, bamboo, pine, chrysanthemumand, maple. These patterns did have some hints of idealistic nature such as chastity and manly attributes yet as the patterns became more illustrative, they were reduced in their meanings as a mere sign of seasonal changes. Within this essay, it was proved that Korea and Japan had very distinctive plant patterns with some of them being very similar to each other and some of them being very different to each other. In some cases, patterns shared same symbolic values yet with different actual meanings. This particular study of plant patterns of Korea and Japan could be a starting point of which could expand into fields of animal patterns and geometrical patterns. Furthermore, it would be very desirable to recognize even mo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s it would contribute much to a clear and complete understanding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식물무늬의 기원과 상징성 3 A. 식물무늬의 기원 3 B. 식물무늬의 상징성 4 Ⅲ.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식물무늬 6 A. 상징적 의미와 조형성 6 1. 연꽃〔蓮花〕 6 2. 모란〔牧丹〕 8 3. 매화(梅花) 9 4. 국화(菊花) 11 5. 석류(石榴) 12 6. 복숭아(天桃) 14 7. 월계(月桂) 15 8. 포도(葡萄) 17 9. 추해당(秋海棠) 18 10. 불수감(佛手柑) 20 11. 대나무〔竹〕 21 12. 동백〔椿〕 22 B. 한국복식 유물의 식물무늬 사용 빈도 분석 23 1. 여자복식에 나타난 식물무늬 23 2. 남자 복식에 나타난 식물무늬 26 3. 이불 및 기타에 나타난 식물무늬 28 Ⅳ. 에도시대 직물에 나타난 식물무늬 31 A. 상징적 의미와 조형성 31 1. 매화(梅, うめ) 31 2. 대나무(竹, たけ) 33 3. 소나무(松, まつ) 35 4. 국화(菊, きく) 36 5. 단풍나무(楓, かえで) 38 6. 벚꽃(櫻, さくら) 39 7. 모란(牧丹, ぼたん) 41 8. 오동나무(桐, きり) 42 9. 등나무(藤, ふじ) 43 10. 싸리나무(萩, はぎ), 갈대(葦, あし) 44 B. 에도시대 유물의 식물무늬 사용 빈도 분석 46 Ⅴ.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 식물무늬의 비교 분석 50 Ⅵ.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2 부록 68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528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의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lant(植物) Patterns on the Textil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Korea and during Edo Period in Japan-
dc.creator.othernameNoh, Soo Jeong-
dc.format.pagexv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