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도전적 목표가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도전적 목표가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Challenging Goal on Knowledge Creation: with Goal Acceptance and Proactive Effort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s knowledge becomes the all-important resource so much as to characterize the present society as the “knowledge society,” knowledge creation is a critical issue today. As a society advances towards the knowledge-based regime, competitive advantage of an enterprise is defined by its capability to constantly create new knowledge more so even than capital or productivity (Insu Kim, 1999; Prahalad & Hamel, 1990). While various studies have acknowledged corporate vision and intent as a requisite for creating knowledge (Nonaka & Takeuchi, 1995; Nonaka, 1994; Kim, l998; Pitt, 1990), how the corporate intent can be linked to knowledge creation is still open to question. To perceive the corporate intent as a meaningful factor for successful creation of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perative process of the corporal vision and intent.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ern the factors that contribute as core elements of this process, and based on their causative relation with various contextual factors, illuminate the procedural relations between corporal intent and knowledge creation. Assuming that undertaking a “challenging goal” constitutes an important component of steering an organizational intent to a quantum leap of knowledge creation, this paper examines knowledge creation in a situation where “a challenging goal” is established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innovation. As methods of researc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 exploratory mixed method design. First,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by way of in-depth interviews with officials at two business corporations that have successfully achieved knowledge creation within a situation of pursuing challenging goal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establish a theory of totality by examining the factors of the team members’ variegated experiences and their influences on successful knowledge creation. The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odel based on the subjects and finding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models, this research is able to verify the causative relations between challenging objectives, core factors, contextual factors and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 A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confirmation of the fact that goal value, that is, the presentation of a challenging goal serves as an effective dynamic for knowledge creation and successful innovation. It may be argued that undergoing the process of the intentional establishment of a challenging goal and sharing such by modifying the level of existing goals within an organ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essential potential of an organization. Furthermore, the effect of a challenging goal as a condition for successful innovation is achieved by the precondition of goal acceptance as personal goals, and such acceptance is accelerated by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of the processes of acceptance. Another significant finding of the research is the fact that recognition of the proactive effort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discrepancy reduction between challenging goals and prior knowledge base. The effective factors of proactive efforts are identified on two dimensions: the level of proactive effort may be elevated by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developed from goal acceptance, or by the structural reduction of discrepancies by examining the cultural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Considering how an organization timely copes with changes plays a critical role for survival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oday, it is more important and effective to reexamine the need to contend with internally constructed crisis by setting new challenging goals.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es on knowledge creation have not addressed the mechanism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setting and achieving goals. This research, however, clearly demonstrates that setting challenging goals and considering the mechanism of personal goals should be included a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mechanism for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and innovation.;지식사회라고 명명될 만큼 지식을 주요자원으로 보고 있는 오늘날의 조직 속에서, 어떻게 지식을 새롭게 창출할 것인가 하는 지식창출의 이슈는 매우 중요한 관심이 되고 있다. 지식사회로 발전해감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은 자본이나 생산효율성보다는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창출해 내는 능력에 의해 좌우된다(김인수,1999; Prahalad & Hamel,1990). 특히 많은 기존 연구들이 지식창출에 필요한 조건의 하나로 기업의 비전 및 의지에 대해 지적하고 있는데(Nonaka & Takeuchi,1995; Nonaka,1994; Kim,l998; Pitt,199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직의 의지가 어떻게 지식창출로 연계되는 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조직의 의지가 성공적인 지식창출로 연결되는 경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비전과 의지가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관한 프로세스가 밝혀져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의 핵심요인을 밝혀내고 전후 맥락요인과의 인과관계를 통해 조직의 의지와 지식창출 간의 과정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도약적인 지식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조직의 의지를 도전적 목표라고 예측하면서, 도전적 목표 상황 하에서 지식창출이라는 혁신의 조건을 탐색하고 검증해보자는 목적을 가지고 출발한다. 연구방법은 탐구적 혼합방법연구(exploratory mixed method design)에 의해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모두 실행한다. 일차적으로 질적연구를 통하여, 도전적 목표 상황 속에서 성공적으로 지식창출을 이루었던 두 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연구 목적은 도전적 목표가 내포하는 효과성에 비추어 성공적으로 이행했던 지식창출의 경험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팀원들의 다양한 경험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영향력을 집중적으로 탐색을 통해 실체이론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차적으로 양적연구를 통하여, 질적연구의 결과물로 도출된 주제와 모형으로부터 출발하여 계량적 연구모형을 수립한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통해 도전적 목표와 핵심요인, 맥락요인 및 혁신 프로젝트의 성공 간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모형을 일반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지식창출 및 혁신의 성공을 위하여 중요한 것은 목표의 가치, 즉 도전적 목표의 제시가 성공적 혁신을 이끌었던 영향력 있는 조건이었다는 사실에 대한 확인이 있었다. 조직 내부에서 기존의 목표수준 자체를 수정함으로써 의도적으로 도전전인 목표를 설정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은 조직의 근본적 역량 개선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나아가서 성공적 혁신의 조건이 되는 도전적 목표의 효과성은 나의 목표로의 수용이 전제되어야 하며, 수용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고려함으로써 목표의 수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목표 수용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확인된 주요 결과로서, 도전적 목표와 보유지식 간의 괴리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서 구성원들의 자발적 노력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두 가지 차원에서 자발적 노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을 수 있는데, 첫째는 위에서 주목했던 목표수용으로 인하여 내적 동기인 ‘주체적 책임의식’이 매개하여 자발적 노력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둘째, 괴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직의 문화적 요인을 탐색하여 구조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변화의 주기가 빠르게 돌아감으로 말미암아, 변화에의 대응이 곧 생존의 관건이 되고 있는 현상을 고려할 때에, 새로운 도전적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내부적으로 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재고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고 효과적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식창출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목표와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분명히 제안하고 있는 것은 도전적 목표의 설정과 및 그에 대한 나의 목표로서 수용할 수 있는 기제를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인 지식창출 및 혁신을 위한 메커니즘의 매우 중요한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